학술논문
실과 수업에서 문제 해결 능력 신장을 위한 프로젝트 기반 학습 모형 구안
이용수 41
- 영문명
- Development of Project-based Learning Model for Promoting the Problem Solving Ability on Practical Arts Subject Instruction
- 발행기관
- 한국실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방기혁 박행모 김용익 이성숙 박광렬
- 간행물 정보
-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28권 제4호, 287~304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2.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실과 수업에서 문제 해결 능력 신장을 위한 프로젝트 기반 학습 모형을 구안하기 위한 것으로서, 실과 수업에서의 문제 해결 능력과 과정, 프로젝트 기반 학습과의 관계, 프로젝트 기반 학습의 교육적 가치 및 모형 등을 고찰하고, 실과 수업에서 적용할 수 있는 프로젝트 기반 학습의 진행 과정을 비교·분석하여 실과 수업에서 문제 해결 능력 신장을 위한 프로젝트 기반 학습 모형을 구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관련 문헌, 연구 자료 및 보고서 등을 수집·분석하는 문헌 연구 방법을 적용하였다.
구안된 프로젝트 기반 학습 모형은 준비, 계획, 실행, 평가 등의 4단계로 구성하였으며, 단계별로 세부 과정은 프로젝트 기반 학습 과정에서 학생들의 문제 해결 능력이 신장될 수 있도록 체계적인 문제 해결 과정을 각 단계에 반영하였다. 그리고 각 단계가 유기적으로 상호 연계 또는 피드백 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구안된 프로젝트 기반 학습 모형은 실과 수업에서 프로젝트 기반 학습에 적합한 교육내용에 실질적으로 적용하여 초등학교 학생들의 문제 해결 능력을 신장하고 실과 수업을 발전적으로 개선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실과교육 내용 및 수업 운영 방법에 따라 유연성 있게 변형할 수 있으므로 수업 과정에서 다양한 활동 방법과 교수·학습 자료들이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study was for developing the model of project-based learning for promoting the problem solving ability on practical arts subject instruction through the review of literature. For this problem solving ability and project-based learning were considered and the processes of project-based learning were analysed.
The developed model composed of 4 levels such as preparation, planning, execution, evaluation and each level divided into the 15 detailed processes of the project-based learning process. Also it was to ensure that each process was to be linked organically and adjusted feedback,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problem solving abilities are formed through the process of project-based learning were to be improved through the concrete problem solving process
This model will be used in the promo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problem solving abilities, the improvement of practical arts subject instruction substantially, and the utilization of various activity methods and teaching-learning materials in instruction procedure.
목차
Ⅰ. 서론
Ⅱ. 실과 수업에서 문제 해결 능력과 프로젝트 기반 학습의 관계
Ⅲ. 실과 수업에서의 프로젝트 기반 학습 모형
Ⅳ. 실과 수업에서 문제 해결 능력 신장을 위한 프로젝트 기반 학습 모형의 구안
Ⅴ. 결론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어린이와 청소년 대상의 학교 외 식생활교육 현황 분석
- 대학생의 진로성숙도와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 자아 존중감 및 자기 효능감의 인과적 관계
- 초등 SW교육 방향 탐색 및 모델 개발
- 에니어그램에 따른 중학교 발명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발명 자기효능감 비교
- 초등학교 실과 로봇교육의 현장 적합성 분석 사례 연구
- 2011 개정 실과교과서의 ‘쾌적한 주거와생활자원관리’ 단원 비교 분석 1
- 로봇키트 활용 교육이 중학생의 창의적 인성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 초등 실과에서 SNS게임을 활용한 소비교육 방안 탐색 1) - 팜빌(Farmville)을 중심으로 -
- 2015개정 실과 교육과정 ‘가정생활’ 분야 개발에서의 쟁점 및 방향
- 창의․인성 함양을 위한 실과 의생활 단원 프로그램 개발 1) - ‘창의적인 의생활의 실천’ 단원을 중심으로 -
- 발명교사인증제의 발전적 방향 탐색
- 1980년대 우리나라 아동의 의생활과 교육
-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초등 가정생활영역의 내용요소 분석
- 지식재산보호교육에 있어서 학습촉진요인과 학습장애요인 분석
- STEAM을 적용한 초등발명영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 실과 교구 기준안 개발
- 실과 수업에서 문제 해결 능력 신장을 위한 프로젝트 기반 학습 모형 구안
- 초등학생의 공학기술-디자인 융합교육에 대한 교육요구도 분석
- 가네(Gagné)의 목표별 수업이론에 기초한 초등학교 환경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업중단 위기 고등학생의 학업중단 예방을 위한 은유 활용 자아성찰 프로그램(M-SRP)개발
- 미디어 기반 영어 말하기 포트폴리오 활동이 대학생의 말하기 능력과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 대체가능성 논변과 쾌락의 개별성 문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