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어린이와 청소년 대상의 학교 외 식생활교육 현황 분석
이용수 439
- 영문명
- Current Status of Out-of-School Dietary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Adolescents
- 발행기관
- 한국실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경애(Lee, Kyoung Ae)
- 간행물 정보
-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28권 제4호, 305~326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2.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와 청소년 대상의 학교 외 식생활교육 현황을 조사하여 그 동향과 특징을 파악하고 학교 식생활교육과의 연계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정부 부처, 지방자치단체, 보건소, 농업기술센터 등의 공공기관과 농협, 생활협동조합 등의 민간 기업이나 단체를 대상으로 2015년에 실시된 어린이와 청소년 대상의 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정부 부처(식품의악품안전처, 농림축산식품부, 보건복지부), 지방자치단 체, 보건소, 농업기술센터. 농수산식품공사, 청소년수련관(청소년 문화의집, 청소년문화센터), 공공도 서관, 복지기관 등의 공공기관과 농협, 생활협동조합, 기업, 종교단체, 병원 등의 민간 기업이나 단체 등 다양한 기관에서 어린이와 청소년 대상의 학교 외 식생활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둘째, 현재 진행되는 어린이와 청소년 대상의 학교 외 식생활교육은 전반적으로 조리활동을 위주로 하는 교육이 많았다. 그러나 식품의약품안전처와 지방자치단체, 보건소, 일부 기업, 병원에서는 영양(식습관, 편식교정 등)과 식품 안전을 위주로 한 이론교육이 이루어졌고, 농림축산식품부, 농업 기술센터, 농수산식품공사, 농협은 농어촌 체험을 비롯한 바른 식생활 교육이 실시되었다.
셋째, 어린이와 청소년 대상의 학교 외 식생활교육은 초등학교의 경우 이론교육의 내용은 학교 정규교과 식생활교육의 심화․보충 교육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며 요리교실이나 농어촌 체험의 식생활교육은 창의적 체험활동(자율활동, 동아리활동, 진로활동)과 연계하여 활용할 수 있다. 중학교의 경우는 학교 외 식생활교육을 자유학기제 활동과 창의적 체험활동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최근 어린이와 청소년들의 올바르지 못한 식습관과 비만 증가의 우려가 높아지는 현실에서 어린이와 청소년의 식생활 개선과 바른 식습관 형성을 위해 학교 외 여러 공공기관 및 민간 기관 등에서 학교 외 식생활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는 시간적 제약으로 학교에서 식생활교육을 충분히 실시하지 못하는 현실에서 고무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학교 외 식생활교육은 아직까지 학교교육과의 연계 없이 운영주체별로 별도로 운영되고 있으므로 학교 외 식생활교육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학교 식생활교육과의 연계방안이 강구되어 진행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out-of-school dietary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adolescents.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on out-of-school dietary education program which public agencies, private enterprises, and private organization have conducted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adolescents in 2015.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Ministry of Health & Welfare, local governments, health centers, agricultural technology centers, public corporation, foundations, youth training centers, public libraries, welfare agencies, National Agricultural Cooperative Federation, consumer cooperatives, private enterprises, religious organizations and hospital have conducted the out-of-school dietary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adolescents.
Second, a lot of the out-of-school dietary educations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adolescents gave the first consideration to cooking. However,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local governments, health centers, some private enterprises, and hospital educated knowledge of desirable eating habit or food safety.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agricultural technology centers, and National Agricultural Cooperative Federation educated green dietary life by the farm village experience and cooking.
Third, the out-of-school dietary educations could be applied to supplementary or in-depth dietary education of regular course, and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in elementary school.
They could be applied to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and Free Learning Semester in middle school.
Conclusively it is encouraging that the out-of-school dietary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adolescents were conducted in various agencies. But connecting them to regular course in school should be considered.
목차
I. 서론
II. 연구 방법
III. 연구 결과
IV.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어린이와 청소년 대상의 학교 외 식생활교육 현황 분석
- 대학생의 진로성숙도와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 자아 존중감 및 자기 효능감의 인과적 관계
- 초등 SW교육 방향 탐색 및 모델 개발
- 에니어그램에 따른 중학교 발명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발명 자기효능감 비교
- 초등학교 실과 로봇교육의 현장 적합성 분석 사례 연구
- 2011 개정 실과교과서의 ‘쾌적한 주거와생활자원관리’ 단원 비교 분석 1
- 로봇키트 활용 교육이 중학생의 창의적 인성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 초등 실과에서 SNS게임을 활용한 소비교육 방안 탐색 1) - 팜빌(Farmville)을 중심으로 -
- 2015개정 실과 교육과정 ‘가정생활’ 분야 개발에서의 쟁점 및 방향
- 창의․인성 함양을 위한 실과 의생활 단원 프로그램 개발 1) - ‘창의적인 의생활의 실천’ 단원을 중심으로 -
- 발명교사인증제의 발전적 방향 탐색
- 1980년대 우리나라 아동의 의생활과 교육
-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초등 가정생활영역의 내용요소 분석
- 지식재산보호교육에 있어서 학습촉진요인과 학습장애요인 분석
- STEAM을 적용한 초등발명영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 실과 교구 기준안 개발
- 실과 수업에서 문제 해결 능력 신장을 위한 프로젝트 기반 학습 모형 구안
- 초등학생의 공학기술-디자인 융합교육에 대한 교육요구도 분석
- 가네(Gagné)의 목표별 수업이론에 기초한 초등학교 환경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척도 검사 설계를 적용한 수직척도화
- 고등학생의 진로적응력 주요 예측변수 탐색: XGBoost 및 SHAP 적용
- 초등학교 수학 기초학력 진단검사 문항난이도와 문항변별도에 미치는 요인 탐색 및 예측 모형 비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