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015개정 실과 교육과정 ‘가정생활’ 분야 개발에서의 쟁점 및 방향
이용수 247
- 영문명
- Issues and Directions of the 2015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about development of the ‘Family Life’ part
- 발행기관
- 한국실과교육학회
- 저자명
- 전세경(Jeon, Se-kyung)
- 간행물 정보
-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28권 제4호, 19~36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2.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2015개정 교육과정의 고시 시점에서 실과 교육과정 중 ‘가정생활’ 분야의 개발 과정에서 제기되는 논쟁점은 무엇이었는지, 그 쟁점들에 대한 논의는 어떻게 전개되어 왔는지를 살펴본 것이다. 이를 위해 총론 차원에서 어떤 조건들이 요구되었는지, 교과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적 조건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었는지를 간략히 살펴보고, 구체적으로 다음과 몇 가지 쟁점들을 추출하여 논의하였다. 첫째, 실과 교육과정 중 ‘가정생활’ 분야의 성격과 목표는 어떻게 진술되었는가, 둘째, 핵심역량 중심 교육과정 개발은 어떠한 시사점을 주었는가, 셋째, 핵심역량은 무엇으로 어떻게 제시되 었는가, 넷째, 내용 구성에서 무엇을 핵심개념으로 하였는가, 다섯째, 국가·사회적 요구는 내용 선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 여섯째, 내용 선정에서 엄격성과 적절성의 문제를 어떻게 접근해 나갔는 가, 일곱째, 내용 조직에서 연계성과 계속성, 통합성은 어떻게 접근되었는가, 여덟째, 교과 간 중복에 대한 조치는 어떻게 해결하여 갔는가 이다. 이로써 새롭게 개정 고시된 2015 실과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도록 하고, 다음 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이론적 자료가 될 수 있도록 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focused on recognizing what the raising issue on the development of the ‘Family Life’ is in the course of the Practical Arts curriculum, which is included on the government curriculum guideline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examining how to flow that raising issue’s discussion.
I expecially discussed the following extracted issues on the general theory level in advance of looking into briefly what the condition is needed and what the basic condition has been to develop the subject curriculum. First, how to describe the aim and its characteristics of the ‘Family Life’ part in the course of the Practical Arts curriculum. Second, what is the implications in developing the curriculum centered the core competency? Third, how to present the core competency sort. Forth, what is the key concept on that content composed?
Fifth, which influence have the nation and sociality’s requires effect on in choosing the content? Sixth, how to access the rigidity and property in choosing the content? Eighth, how to solve the repetition among the subject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understand about the 2015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This study will be theoretical reference for following revised curriculum.
목차
I. 서론
II. 2015개정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본 지침 및 방향
III. 실과 교육과정‘가정생활’분야의 개발과 관련된 쟁점들
IV.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어린이와 청소년 대상의 학교 외 식생활교육 현황 분석
- 대학생의 진로성숙도와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 자아 존중감 및 자기 효능감의 인과적 관계
- 초등 SW교육 방향 탐색 및 모델 개발
- 에니어그램에 따른 중학교 발명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발명 자기효능감 비교
- 초등학교 실과 로봇교육의 현장 적합성 분석 사례 연구
- 2011 개정 실과교과서의 ‘쾌적한 주거와생활자원관리’ 단원 비교 분석 1
- 로봇키트 활용 교육이 중학생의 창의적 인성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 초등 실과에서 SNS게임을 활용한 소비교육 방안 탐색 1) - 팜빌(Farmville)을 중심으로 -
- 2015개정 실과 교육과정 ‘가정생활’ 분야 개발에서의 쟁점 및 방향
- 창의․인성 함양을 위한 실과 의생활 단원 프로그램 개발 1) - ‘창의적인 의생활의 실천’ 단원을 중심으로 -
- 발명교사인증제의 발전적 방향 탐색
- 1980년대 우리나라 아동의 의생활과 교육
-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초등 가정생활영역의 내용요소 분석
- 지식재산보호교육에 있어서 학습촉진요인과 학습장애요인 분석
- STEAM을 적용한 초등발명영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 실과 교구 기준안 개발
- 실과 수업에서 문제 해결 능력 신장을 위한 프로젝트 기반 학습 모형 구안
- 초등학생의 공학기술-디자인 융합교육에 대한 교육요구도 분석
- 가네(Gagné)의 목표별 수업이론에 기초한 초등학교 환경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