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교 실과 로봇교육의 현장 적합성 분석 사례 연구
이용수 101
- 영문명
- A Case Study on Relevance Analysis of Robot Education in Practical Arts
- 발행기관
- 한국실과교육학회
- 저자명
- 문대영(Moon, Dae-Young)
- 간행물 정보
-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28권 제4호, 135~148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2.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실과 로봇교육의 현장 적합성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의 참여자는 A지역 초등학교 교사 중에서 6학년 실과를 가르치면서 로봇교육을 수행한 경험이 있는 교사 30명이다. 이연구에 적용한 조사 도구는 교육과정, 교과서, 학생, 교사, 교구의 다섯 가지 영역으로 구성하여 개발하였다. 현장 적합성을 부연 설명할 수 있는 질적 자료를 확보하기 위해서 6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한 비구조화 개별 면담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과 로봇교육의 현장 적합성 평균값은 4점 만점에 2.61점으로 조사되었다. 현장 적합성 영역별로는 ‘교과서’ 영역 3.07점, ‘교육과정’ 영역 2.96점, ‘학생’ 영역 2.81점, ‘교구’ 영역 2.16점, ‘교사’ 영역 2.03점의 순으로 확인되었다. ‘교과서’ 영역의 현장 적합성은 ‘적합’으로 판정할 수 있으 며, 평균 점수가 상대적으로 낮은 ‘교구’ 영역과 ‘교사’ 영역은 현장 적합성의 부정적 요소로 작용한 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실과 로봇교육의 현장 적합성을 문항별로 조사한 결과, ‘교육과정’ 영역의 1번, 2번, ‘교과서’ 영역의 4번, 6번, ‘학생’ 영역의 9번 문항은 평균 3점 이상으로 확인되어 ‘적합’에 해당하였다.
한편, ‘교사’ 영역의 10번, ‘교구’ 영역의 13번 문항은 평균 2점 이하로 확인되어 ‘부적합’에 해당하 였다. 향후 실과 교과를 통한 로봇교육의 현장 정착을 위해서 ‘교사’ 영역의 연수 지원 문제와 ‘교구’ 영역의 교구 구입 예산 확보 문제를 집중적으로 논의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evance of robot education in practical art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30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carried out robot education in practical arts of 6th grade. An instrument investigat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toward robot education was developed based on the five domains such as curriculum, textbook, student, teacher, and teaching material. And the qualitative data were acquired by interviewing with six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results were as follow:
First, the mean of relevance of robot education in practical arts was 2.61 out of 4 point, and the mean of relevance of sub-domains were 3.07 on ‘textbook’ domain, 2.96 on curriculum’ domain, 2.81 on ‘student’ domain, 2.16 on ‘teaching material’ domain, and 2.03 on ‘teacher’ domain. The relevance of ‘textbook’ domain was decided appropriate, whereas the ‘teaching material’ and ‘teacher’ domain were shown negative respond.
Second, the mean of the relevance of the 1st, 2nd, 4th, 6th, and 9th question were surveyed above 3point, therefore these provisions were decided appropriate. While the 10th and 13rd question were surveyed below 2 point, so these provisions were decided unsuitable factors. In order to establish robot education in practical arts the issues of in-service teacher training and expansion of budget for teaching material should be discussed intensively.
목차
I. 서론
II. 연구 방법
III. 연구결과
IV.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어린이와 청소년 대상의 학교 외 식생활교육 현황 분석
- 대학생의 진로성숙도와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 자아 존중감 및 자기 효능감의 인과적 관계
- 초등 SW교육 방향 탐색 및 모델 개발
- 에니어그램에 따른 중학교 발명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발명 자기효능감 비교
- 초등학교 실과 로봇교육의 현장 적합성 분석 사례 연구
- 2011 개정 실과교과서의 ‘쾌적한 주거와생활자원관리’ 단원 비교 분석 1
- 로봇키트 활용 교육이 중학생의 창의적 인성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 초등 실과에서 SNS게임을 활용한 소비교육 방안 탐색 1) - 팜빌(Farmville)을 중심으로 -
- 2015개정 실과 교육과정 ‘가정생활’ 분야 개발에서의 쟁점 및 방향
- 창의․인성 함양을 위한 실과 의생활 단원 프로그램 개발 1) - ‘창의적인 의생활의 실천’ 단원을 중심으로 -
- 발명교사인증제의 발전적 방향 탐색
- 1980년대 우리나라 아동의 의생활과 교육
-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초등 가정생활영역의 내용요소 분석
- 지식재산보호교육에 있어서 학습촉진요인과 학습장애요인 분석
- STEAM을 적용한 초등발명영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 실과 교구 기준안 개발
- 실과 수업에서 문제 해결 능력 신장을 위한 프로젝트 기반 학습 모형 구안
- 초등학생의 공학기술-디자인 융합교육에 대한 교육요구도 분석
- 가네(Gagné)의 목표별 수업이론에 기초한 초등학교 환경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척도 검사 설계를 적용한 수직척도화
- 고등학생의 진로적응력 주요 예측변수 탐색: XGBoost 및 SHAP 적용
- 초등학교 수학 기초학력 진단검사 문항난이도와 문항변별도에 미치는 요인 탐색 및 예측 모형 비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