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로봇키트 활용 교육이 중학생의 창의적 인성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138
- 영문명
- An effect that an education utilizing a robot kit has on middle school students’ creative personality and scientific attitude
- 발행기관
- 한국실과교육학회
- 저자명
- 강명희(Kang, Myunghee) 장지은(Jang, JeeEun) 윤성혜(Yoon, Seonghye)
- 간행물 정보
-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28권 제4호, 37~57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2.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디지털 기기의 이해와 활용 능력이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데 필요한 핵심역량으로 대두됨에 따라, 이를 효과적으로 함양시키기 위한 로봇활용 교육이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으며, 저렴한 비용으로 쉽게 제작할 수 있도록 설계된 반제품형 로봇키트 활용 교육은 그 가능성을 인정받고 있다. 본 연구에 서는 로봇키트 활용 교육의 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선행연구를 통해 창의적 인성 및 과학적 태도를 학습성과 변인으로 상정하고, 로봇키트 활용 교육 전후에 이들 변인에 향상의 증거가 보이는지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중학생 30명을 대상으로 로봇키트 활용 교육을 4주에 걸쳐 8차시 실시하 여, 대응표본 t검정으로 사전-사후 변화를 분석하고, 개방형 설문 및 면담 결과를 질적으로 분석하 였다. 연구결과, 창의적 인성과 과학적 태도 변인 모두 로봇키트 활용 교육 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으며, 학습자들의 진술 또한 이를 뒷받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중학생들의 창의적 인성과 과학적 태도 향상을 위한 로봇키트 활용의 교육적 가치와 가능성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으며, 로봇키트 활용 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한 교육전략의 고안 및 교육환경 구축을 제안하 였다.
영문 초록
As the ability to utilize and understand a digital device comes to the fore as core competency necessary for living in modern society, an education utilizing a robot for effectively cultivating this becomes the center of interest. And in case of an education utilizing a half-finished robot kit designed so as to be easily manufactured at low cost, its potential is recognized. In order to empirically check the effect of education utilizing a robot kit, this study assumed creative personality and scientific attitude to be a learning outcome variable, and checked whether an evidence of improvement in these variables was shown before and after an education utilizing a robot kit. To this end, 8 sessions of education utilizing a robot kit were given to 30 junior high school students over 4 weeks. And changes with pretest and posttest data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open-ended question and interview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study, both creative personality variable and scientific attitude variabl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after an education utilizing a robot kit, and it was shown that learners’ statement also supported this. Through this, the potential of education utilizing a robot kit for improvement in middle school students’ creative personality and scientific attitude was empirically checked. And building an education environment and designing an education strategy for the activation of education utilizing a robot kit was suggested.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IV. 연구결과
V.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어린이와 청소년 대상의 학교 외 식생활교육 현황 분석
- 대학생의 진로성숙도와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 자아 존중감 및 자기 효능감의 인과적 관계
- 초등 SW교육 방향 탐색 및 모델 개발
- 에니어그램에 따른 중학교 발명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발명 자기효능감 비교
- 초등학교 실과 로봇교육의 현장 적합성 분석 사례 연구
- 2011 개정 실과교과서의 ‘쾌적한 주거와생활자원관리’ 단원 비교 분석 1
- 로봇키트 활용 교육이 중학생의 창의적 인성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 초등 실과에서 SNS게임을 활용한 소비교육 방안 탐색 1) - 팜빌(Farmville)을 중심으로 -
- 2015개정 실과 교육과정 ‘가정생활’ 분야 개발에서의 쟁점 및 방향
- 창의․인성 함양을 위한 실과 의생활 단원 프로그램 개발 1) - ‘창의적인 의생활의 실천’ 단원을 중심으로 -
- 발명교사인증제의 발전적 방향 탐색
- 1980년대 우리나라 아동의 의생활과 교육
-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초등 가정생활영역의 내용요소 분석
- 지식재산보호교육에 있어서 학습촉진요인과 학습장애요인 분석
- STEAM을 적용한 초등발명영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 실과 교구 기준안 개발
- 실과 수업에서 문제 해결 능력 신장을 위한 프로젝트 기반 학습 모형 구안
- 초등학생의 공학기술-디자인 융합교육에 대한 교육요구도 분석
- 가네(Gagné)의 목표별 수업이론에 기초한 초등학교 환경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