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생의 진로성숙도와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 자아 존중감 및 자기 효능감의 인과적 관계
이용수 687
- 영문명
-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Career Maturity, SES, Self-esteem, Self-efficacy of the College Student
- 발행기관
- 한국실과교육학회
- 저자명
- 서우석(Seo, Wooseok)
- 간행물 정보
-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28권 제4호, 149~171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2.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성숙도와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간의 인과관 계를 밝히는 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개발원의 한국청소년 패널조사 (KYPS)의 자료를 활용하여 1,398명의 대학생 자료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과 AMOS 20.0을 활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분석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 밝혀진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진로성숙도와 부모의 사회 경제적 지위,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를 가설적으로 제시한 이 연구모형의 적합도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아존중감은 자기효능감(β=.568)과 진로성숙도(β= .156)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기효능감도 진로성숙도(β=.250)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는 자기효능감이나 진로성숙도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자아존중감(β=.107)에는 직접적 매개효과를 검증되었다. 또한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는 자기효능감(β=.061)을 통해 간접적으로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structural relations among four variables(socioeconomic status, self-esteem, self-efficacy, career maturity) of college students b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total of 1,398 participants in the sixth Youth Panel Data conducted by the Korea Institute for Youth Development.
Results fro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es indicated the following: Firstly, The research model proposed by research was supported. Secondly, all of the hypotheses were tested; SES had an direct impact on the self-esteem and an indirect impact on the career maturity through self-esteem. Self-esteem had an impact on the self-efficacy and an direct impact on the career maturity through self-efficacy. and self-efficacy had an impact on the career maturity.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som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및 연구모형
III. 연구 방법
IV. 연구의 결과
V.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어린이와 청소년 대상의 학교 외 식생활교육 현황 분석
- 대학생의 진로성숙도와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 자아 존중감 및 자기 효능감의 인과적 관계
- 초등 SW교육 방향 탐색 및 모델 개발
- 에니어그램에 따른 중학교 발명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발명 자기효능감 비교
- 초등학교 실과 로봇교육의 현장 적합성 분석 사례 연구
- 2011 개정 실과교과서의 ‘쾌적한 주거와생활자원관리’ 단원 비교 분석 1
- 로봇키트 활용 교육이 중학생의 창의적 인성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 초등 실과에서 SNS게임을 활용한 소비교육 방안 탐색 1) - 팜빌(Farmville)을 중심으로 -
- 2015개정 실과 교육과정 ‘가정생활’ 분야 개발에서의 쟁점 및 방향
- 창의․인성 함양을 위한 실과 의생활 단원 프로그램 개발 1) - ‘창의적인 의생활의 실천’ 단원을 중심으로 -
- 발명교사인증제의 발전적 방향 탐색
- 1980년대 우리나라 아동의 의생활과 교육
-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초등 가정생활영역의 내용요소 분석
- 지식재산보호교육에 있어서 학습촉진요인과 학습장애요인 분석
- STEAM을 적용한 초등발명영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 실과 교구 기준안 개발
- 실과 수업에서 문제 해결 능력 신장을 위한 프로젝트 기반 학습 모형 구안
- 초등학생의 공학기술-디자인 융합교육에 대한 교육요구도 분석
- 가네(Gagné)의 목표별 수업이론에 기초한 초등학교 환경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