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1980년대 우리나라 아동의 의생활과 교육
이용수 118
- 영문명
- A Study on the Clothing & Textiles of Children in Korea and its Education in the 1980’s
- 발행기관
- 한국실과교육학회
- 저자명
- 정미경(Chung, Mee-Kyung)
- 간행물 정보
-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28권 제4호, 271~286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2.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1980년대 아동의 의생활과 의생활 교육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1980년대 아동의 의생활및 초등학교 의생활교육에 관한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내용은 1980년대의 의생활, 1980년대 아동의 의생활, 1980년대 초등 의생활 교육으로 구성하고 문헌과 인터넷, 개인 소장 자료 등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정리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1980년대 의생활은 경제적 고도성장, 개인소득증가, TV와 매스컴의 발달, 여성 사회진출의 본격화, 교복자율화 정책, 86아시안 게임, 88올림픽 게임, 해외여행자유화 정책 등으로 패션문화의 활성화와 고급화, 기성복 생산과 유통의 본격화와 해외 유명 패션브랜드 도입, 전통한복에 대한 인식 변화, 의복관리의 편리화 등 의생활에 많은 변화를 가져온 시기였다.
둘째, 1980년대 아동의 의생활은 성인복에서와 같이 아동복의 고급화와 브랜드화가 이루어져 그수준이 높아졌으나, 자녀수의 감소로 공부제일주의와 핵가족화에 따른 과잉보호로 해야 할 일들을 스스로 못하고 의타심이 커져 아동의 의생활 역량이 낮아진 시대였던 것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1980년대 의생활교육은 속옷위생, 의복의 정리와 보관, 만들기에서 구상하기가 강화되었고 기성복의 본격화에 걸맞게 의복의 소비와 유통이 새로운 교육내용으로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반면 세탁 및 피복재료 내용은 약화되고 다림질, 재봉틀이 삭제된 것이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연구의 결과를 통해 1980년대는 급변한 의생활에 부응하여 의생활 교육 또한 큰 변화를 가져온 전환점의 시기로 결론지어지며, 전통한복 교육 강화와 소비가 심화된 현대의 프리틴 세대인 초등 5,6학년의 의복 소비 및 구매행동 실태 연구를 통해 의생활 교육의 방향을 위한 기초자료의 마련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ake a look at the clothing & textiles and its education *for children in Korea in the 1970’s, and to construct the fundamental reference for other studies in the future. Literatures, references from the internet were reviewed. The major findings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lothing & textiles of Korean in the 1980’s were influenced by personal income growth, the development of TV and mass media, uniforms liberalization policy, 86 Asian Games, 88 Olympic Games, overseas travel liberalization policies. Therefore clothing & textiles in the 1980 s can be characterized as enabled the advanced culture of fashion, full-scal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ready-to-wear and overseas famous fashion brand introduction, change perceptions of traditional Korean clothes, ease of clothing management Second, The changes of social and clothing & textiles of Korean in the 1980’s were reflected in children s clothing & textiles as development of children s ready-made wear industry. In contrast to the 1980s, the lower the garment and textile life skills of children Third, After 1981, the clothing & textiles education was revised due to the change in the clothing culture in the society. Hygiene of underwear, handling and storage of clothing, consumption and distribution of clothing & textiles were emphasized, advancement in technology of electric washing machines, ready-to-wear garments industry.
It can be concluded that clothing & textiles of children in Korea and its education in the 1980’s were seriously affected by social changes. It can also be said that the clothing & textiles education adapted to the changes of clothing culture in Korea, to fulfill its purpose educationally.
목차
I. 서론
II. 1980년대의 의생활
III. 1980년대 아동의 의생활
IV. 1980년대 아동의 의생활교육
V.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어린이와 청소년 대상의 학교 외 식생활교육 현황 분석
- 대학생의 진로성숙도와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 자아 존중감 및 자기 효능감의 인과적 관계
- 초등 SW교육 방향 탐색 및 모델 개발
- 에니어그램에 따른 중학교 발명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발명 자기효능감 비교
- 초등학교 실과 로봇교육의 현장 적합성 분석 사례 연구
- 2011 개정 실과교과서의 ‘쾌적한 주거와생활자원관리’ 단원 비교 분석 1
- 로봇키트 활용 교육이 중학생의 창의적 인성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 초등 실과에서 SNS게임을 활용한 소비교육 방안 탐색 1) - 팜빌(Farmville)을 중심으로 -
- 2015개정 실과 교육과정 ‘가정생활’ 분야 개발에서의 쟁점 및 방향
- 창의․인성 함양을 위한 실과 의생활 단원 프로그램 개발 1) - ‘창의적인 의생활의 실천’ 단원을 중심으로 -
- 발명교사인증제의 발전적 방향 탐색
- 1980년대 우리나라 아동의 의생활과 교육
-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초등 가정생활영역의 내용요소 분석
- 지식재산보호교육에 있어서 학습촉진요인과 학습장애요인 분석
- STEAM을 적용한 초등발명영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 실과 교구 기준안 개발
- 실과 수업에서 문제 해결 능력 신장을 위한 프로젝트 기반 학습 모형 구안
- 초등학생의 공학기술-디자인 융합교육에 대한 교육요구도 분석
- 가네(Gagné)의 목표별 수업이론에 기초한 초등학교 환경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