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창의․인성 함양을 위한 실과 의생활 단원 프로그램 개발 1) - ‘창의적인 의생활의 실천’ 단원을 중심으로 -
이용수 100
- 영문명
- Development of Clothing & Textiles Program for Enhancing Creativity and Personality - Focusing on the Unit Practice of Creative Clothing & Textiles -
- 발행기관
- 한국실과교육학회
- 저자명
- 조윤주(Cho, Younjoo)
- 간행물 정보
-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28권 제4호, 255~269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2.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실과 ‘창의적인 의생활의 실천’ 단원을 중심으로 2011개정 실과 교과서의 특징을 파악 하고, 창의․인성의 함양 프로그램 개발을 통하여 수업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창의․인성교육 요소를 선정하고 실과 의생활 단원의 프로그램을 준비-개발-개선 단계를 거쳐 완성하였다. 또한 6학년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의 일부를 적용하여 평가 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실과교과서, 선행연구 등을 통하여 실과 의생활 영역의 창의성 요소는 유창성, 융통성, 독창 성, 정교성, 문제해결능력, 호기심, 몰입의 7개, 인성 요소는 책임, 자율, 배려, 존중, 협동, 시민의식의 6개로 선정하였다.
둘째, 실과 ‘창의적인 의생활의 실천’ 단원의 창의․인성 함양을 위한 프로그램으로서 7개의 주제로 선정,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의 각 주제는 받침 만들기(컵받침, 마우스패드), 주머니 만들기(물병 주머니), 덧소매 만들기(헌옷 이용), 아기모자 만들기(대바늘뜨기 이용), 친환경수세미(코바늘뜨기 이용), 인형 만들기(십자수 이용), 헌옷 재활용(헌옷 등으로 아우인형 만들기)이다.
셋째,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3개의 주제(받침 만들기, 주머니 만들기와 헌옷 재활용)를 적용하였다.
그 평가 결과는 평균 2.63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인성(2.50)보다 창의성(2.77)에 평가 점수가 다소 높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볼 때 급변하는 사회와 교육환경의 변화에 따른 지속적이고 다각적인 연구를 통하여 사회 변화에 적응하는 창의적인 인재,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인재 양성의 창의․인성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extbook’s characteristics focusing on the unit ‘Practice of Creative Clothing & Textiles’ and develop clothing & textiles programs to enhance creativity and personality. The paper first derived creativity and personality factors based on previous literature. The clothing and textiles program based on the 2011 revised curriculum was conducted by the following steps: preparation, development, and improvement.
A selected part of the developed program was then applied to elementary 6th grade students and the results were assessed.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First, based on the textbook and previous studies, creativity factors were selected to be fluency, flexibility, originality, punctualness, problem-solving ability, curiosity and commitment.
Personality factors were chosen to be responsibility, self-discipline, benevolence, respect, cooperation, and citizenship.
Second, seven topics consisted the developed programs to foster creativity and personality.
The topics were: Making cupboard or mouse pad , Making pouch for bottle , Making arm-warmers , Knitting hat for babies , Knitting scrub sponge , Making a key holder , and Making A-uh doll from old clothes and old materials .
Third, three of the topics were experimented on elementary students. Those who went through the program showed a high average score of 2.63, a positive result. The creativity score(2.77) was somewhat higher than the personality score(2.50).
Based on these results, more programs should be researched and developed to provide school teachers with learning materials and students with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Moreover, these programs could help students be more creative, letting them adapt better to social changes, and be caring and sharing with others.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IV. 연구결과
V.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어린이와 청소년 대상의 학교 외 식생활교육 현황 분석
- 대학생의 진로성숙도와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 자아 존중감 및 자기 효능감의 인과적 관계
- 초등 SW교육 방향 탐색 및 모델 개발
- 에니어그램에 따른 중학교 발명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발명 자기효능감 비교
- 초등학교 실과 로봇교육의 현장 적합성 분석 사례 연구
- 2011 개정 실과교과서의 ‘쾌적한 주거와생활자원관리’ 단원 비교 분석 1
- 로봇키트 활용 교육이 중학생의 창의적 인성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 초등 실과에서 SNS게임을 활용한 소비교육 방안 탐색 1) - 팜빌(Farmville)을 중심으로 -
- 2015개정 실과 교육과정 ‘가정생활’ 분야 개발에서의 쟁점 및 방향
- 창의․인성 함양을 위한 실과 의생활 단원 프로그램 개발 1) - ‘창의적인 의생활의 실천’ 단원을 중심으로 -
- 발명교사인증제의 발전적 방향 탐색
- 1980년대 우리나라 아동의 의생활과 교육
-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초등 가정생활영역의 내용요소 분석
- 지식재산보호교육에 있어서 학습촉진요인과 학습장애요인 분석
- STEAM을 적용한 초등발명영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 실과 교구 기준안 개발
- 실과 수업에서 문제 해결 능력 신장을 위한 프로젝트 기반 학습 모형 구안
- 초등학생의 공학기술-디자인 융합교육에 대한 교육요구도 분석
- 가네(Gagné)의 목표별 수업이론에 기초한 초등학교 환경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