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물질 이미지와 공포성의 관계 연구

이용수 149

영문명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ial Image and Fear
발행기관
한국문화융합학회
저자명
오정미(Oh Jeongmi)
간행물 정보
『문화와융합』제44권 1호, 715~733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1.30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에서는 홀림군과 물질의 결합에서 발생하는 공포의 자질을 확인해보고자 한다. 그동안 물질의 공포성에 대한 논의는 드물었다. ‘물’과 ‘불’은 단순한 환경적 요소나 환각이 아닌, 물질의 상상력에서 공포를 읽어낼 수 있는이야기의 원형이 된다. ‘물’과 ‘불’이 가지는 원형은 이야기의 맥락에서 논의되어야 한다. 더불어 공포와 죽음이라는의미적 자성을 띠고 있는 주체들과의 결합 양상도 논의될 필요가 있다. 도깨비, 여우는 물과 불로 전환된다는 공통의 특징을 갖는다. 특히 호랑이, 도깨비, 여우 등 홀리는 존재와 물질적 존재들이 하나의 의미소로 결합한 후, 의미의 강화가 있었다. 이렇듯 서사의 기능과 물질의 상호 관련성을 찾기 위해서는 호랑이, 여우, 도깨비의 홀리는 이야기에서 유사한 이야기들을 수집하고 기능(function)면에서 ‘불’과‘물’의 공포적 자질을 확인해야 했다. 호랑이의 비와 여우비는 물을 뿌리는 행위가 연상되는 원형으로, 결혼을 포함하는 낭만적인 서사보다는 잡아먹힌다는 의미가 극대화된 공포의 서사이다. 호랑이비와 여우비는 호식의 의미로 ‘물’과 결합되어 있고, 여우비와 도깨비의 비는 유혹의 의미를 공유한다. 도깨비불에서는 유독 비와 불의 연관성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특히 도깨비불은 한(恨)이 매개된 인불이라는 점에서 같은 유형으로 판별할 수 있다. ‘물’은 생명과 죽음의 물을, ‘불’은 생성과 소멸의 불로서 양가성을 나타낸다. 홀림군의 설화에서 ‘불’과 ‘물’은홀림군이라는 이중적 존재와의 결합을 통해 ‘홀림’을 강화하는 결과를 낳았다. 이중적 존재의 변신과 목격을 통해비일상적인 공간이 생겨나고, 그것이 목격이나 접촉되었을 때 공포성이 대두된다. 이렇듯 ‘불’과 ‘물’은 변신의 양상이 아닌, 물질적 원형성에 근거한 당위성을 갖는다. ‘불’과 ‘물’이 갖는 상상력 안에는 ‘공포’와 ‘정신적 죽음’이 내재되어 있고, 이러한 원형적 의미가 홀림군이라는 주체(motif)와 결합하여 홀림의 기능을 좀 더 강화하는 효과를야기한다. 결국 이러한 물질들 또한 공포를 실재화한 은유의 상징들이라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In this paper, we try to confirm the qualities of fear generated by the binding of substances with the Bewitchment type. During that time, discussions about the fear of matter were rare. “water” and “fire” are not simple environmental elements or hallucinations, but are the prototypes of stories in which fear can be read from the imagination of matte. The prototypes of “water” and “fire” must be discussed in the context with the subject having the semantic magnetism if fear and death. Dokkaebi and foxes have the common feature of turning into water and fire. In particular, after the seductive and material beings such as tigers, Dokkaebi, and foxed were combined into one semantic element, there was an enhancement of meaning. Collect similar stories from the seducing stories of tigers, foxes, and Dokkaebi to find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function of the story and the substance, and we had to confirm the horrifying qualities of “fire” and “water” in terms of function. The tiger-rain and fox-rain are prototypes associated with the act of watering, and are not romantic epics that include marriage, but horrifying epics that mean “be hunted and preyed on” Tigers and foxes are combined with “water” in the sense of fear and the rain of foxes and Dokkaebi share the meaning of temptation. In Dokkaebi, the relationship between toxic rain and fire became prominent. In particular, Dokkaebi can be identified by the same type in that it is a ‘human-fire’ mediated by a grudge. “Water” shows ambivalence as water of life and death and “fire” as fire of generation and extinction. In the tale of the Bewitchment type. “fire” and “water” have produced the result of strengthening “bewitchment” through the combination with the dual existence of the seduction type. The transformation and witnessing of dual beings creates an extraordinary space that raises fear when witnessed or touched. “Fear” and “mental death” are inherent in the imagination of “fire” and “water”, and the meaning of such archetype ins combined with the subject(motif) of the Bewitchment type, and the function of Bewitchment is strengthened. After all, it can be said that these substances are also symbols of the metaphor that makes fear a reality.

목차

1. 서론
2. 물질과 홀림군의 결합 양상
3. 물질의 공포적 속성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오정미(Oh Jeongmi). (2022).물질 이미지와 공포성의 관계 연구. 문화와융합, 44 (1), 715-733

MLA

오정미(Oh Jeongmi). "물질 이미지와 공포성의 관계 연구." 문화와융합, 44.1(2022): 715-73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