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연인 간 갈등 상황에서 존댓말의 사용이 정서 관련 변인과 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319
- 영문명
- Effect of Honorifics on Emotional Variables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in Conflict Between Romantic Partners
- 발행기관
- 한국문화융합학회
- 저자명
- 최유진(Yoojin Choi) 정태연(Taeyun Jung)
- 간행물 정보
- 『문화와융합』제43권 5호, 805~829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5.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whether the use of honorifics in a conflict situation between couples has positive benefits for the relationship by affecting emotion-related variables. A total of 76 college students read scenarios of conflict between couples and wrote their words with honorifics or plain forms, and then responded self-reported to emotions,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norms of emotional expressions, conflict coping methods,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The results revealed differences between the honorifics group and the plain forms group in all variables. The honorifics group showed less anger, higher suppression, higher cognitive reappraisal, higher norm of emotional expression, higher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lower negative emotional behavior expression among conflict coping methods. In addition, the mediating effects of cognitive reappraisal and negative emotional behavior expression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type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In other words, it was confirmed that the use of honorifics in conflict situations had positive effects on relationship satisfaction by regulating emotions and reducing directly expressing negative emot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s the role of the language system (honorifics / plain forms), a culture-specific communication system in Korea, in the conflict situations between couple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가설
4. 연구
5.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블렌디드 러닝 기반의 공연 작품 제작 실기 수업 사례 연구
- 잭슨 폴록의 추상표현주의에서 나타나는 재즈의 미학
- 발목 근력 및 관절가동범위, 동적안정성에 있어서 연부조직가동화기법(IASTM)과 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PNF)의 효과 비교
- 대학 교양교육에서의 문제중심학습 적용 사례 연구
- 포스트휴먼 담론과 인간 관찰의 전환적 태도
- 통합예술치료 국내 연구동향 분석
- 공감교육을 통한 도시사회의 이해
- 일제강점기 복제영장 연구
- 완전 채식주의자를 위한 김치
- 공동체 마을의 소리경관자원의 구성과 특성 비교 분석
- 실용음악 전공생을 위한 PBL 실감융합콘텐츠 제작 수업사례 연구
- 여성신분상승담에 나타난 아비투스
- 코로나 19로 인한 대학생의 게임시간 증가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학습실재감 제고를 위한 비대면 강의 운영사례 연구
- 교수역량 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교원의 인식
- 여성국극 김경수의 공연양식 연구
- ‘디지털세종시문화대전’ 집필사업 고찰
- 한 영 의문문 화행의 실현 양상에 관한 대조 연구
- 저항성 운동이 제2형 당뇨마우스의 인슐린 저항성 및 골격근 IGF-1, BDNF 및 FNDC5 mRNA 발현에 미치는 영향
-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 대한 학습자와 교수자 인식 연구
- 지역 문화자산 기반 힐링콘텐츠의 접근 가능성 모색
- 한중 이중주어문의 대조 분석 및 교육적 활용
- 한국전쟁(韓國戰爭)과 지역인식
- 미세먼지 위험인식, 미세먼지 불안민감성, 정신건강 및 삶의 질에 관한 연구
- A대학교 RC[기숙형 대학] 교육의 효과성 분석
- 퇴계 이황의 매화시첩(梅花詩帖) 과 요한 볼프강 폰 괴테의 「식물의 변형(Metamorphose der Pflanze)」에 나타난 식물윤리에 대한 비교 연구
- 경력단절 여성을 위한 이야기치료 단일 사례연구
- 이용악 시에 나타난 코라
- 코로나 19시대 비대면 수업 참여경험이 있는 대학생에 관한 포토보이스 연구
- 비실시간 비디오 강의와 실시간 웹 컨퍼런싱 강의
- 미술품 시장의 신뢰성과 미술품 구매의도와의 관계 연구
- 만요(漫謠)의 선행연구와 특징
- 일제강점기 가수 백년설의 군국가요 가사에 나타난 일제의 선전 선동 양상에 관한 연구
- 온라인 환경 수업과 오프라인 환경 수업에서 한국어 학습자의 몰입과 자기효능감 비교 분석
- 인공지능 알고리즘 기반의 뉴스배열 양상 연구
- 실용음악 악기 케이블의 사운드 비교
- 연인 간 갈등 상황에서 존댓말의 사용이 정서 관련 변인과 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학습 성취도와 교수자의 학업적 지원이 프로그래밍 학습 계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의 전통놀이에 대한 인식과 활용실태
- 공공미술 슈즈트리 논란에 대한 담론 분석
- 중국조선족 서신에 나타난 ‘화류(花柳)’ 키워드의 함의
- 일제강점기 권번 기생의 일람표 연구(1)
- 인공지능 시대의 스토리텔링과 이야기 향유방식
- 고려가요 소재 재즈작품의 음악적 해석에 대한 고찰
- 단군신화 신단수(神壇樹)와 생태적 숭고 미
- 지역 경찰의 조직문화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