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병원간호사의 VDT증후군 영향요인

이용수 53

영문명
Factors Affecting Visual Display Terminal Syndrome in Hospital Nurses
발행기관
한국자료분석학회
저자명
조승희(Seung Hui Cho) 조규영(Gyoo Yeong Cho)
간행물 정보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Vol.18 No.5, 2801~2815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자연과학 > 통계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10.30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간호사들의 VDT증후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B광역시에 소재하는 300병상이상 규모의 종합병원 5곳에서 근무하며 3개월 이상 VDT 작업을 한 간호사 170명이었으며,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통해 직무스트레스, 건강증진행위와 VDT증후군을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t-test, ANOVA, Pearson 상관계수,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VDT증후군 정도는 직업만족도, 1일 VDT 작업시간, 1회 VDT 연속작업시간, VDT 작업 시 자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 정도는 5점 만점에 3.53점±.48점, 건강증진행위 수행정도는 2.14점±.36점, VDT증후군 자각증상정도는 4점 만점에 1.56±.74점이었다. 직무스트레스와 VDT증후군은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건강증진행위와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건강증진행위 수행정도가 낮을수록 VDT증후군 증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VDT증후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직업만족도, 1회 VDT 연속작업시간, VDT 작업 시 자세, 직무스트레스, 건강증진행위로 설명력은 26.7%이었다. 따라서 간호사의 VDT증후군개선을 위하여 건강증진행위와 직업만족도를 향상시키고,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examined the factors that affect VDT (visual display terminal) syndrom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nurses who worked at 5 general hospital with capacities of over 300 beds in city B.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70 hospital nurses, who had at least 3 months experience of VDT work.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via the SPSS/WIN 20.0 program.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everity of VDT syndrome according to subjects’ socio-demographic and work-related characteristics, the factors job satisfaction, VDT work time per day, continuous VDT work time per session and posture during VDT work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VDT syndrome averaged at 1.56±.74 out of 4 points. Job stress was found to be correlated with VDT syndrome,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were found to be negatively correlated with VDT syndrome. Factors that affected VDT syndrome for the subjects were job satisfaction, continuous VDT working time per session, posture during VDT work, job stress, health promoting behaviors. The explanatory power was 26.7%. In conclusion, there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when developing the program preventive strategy to decrease VDT syndrome.

목차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논의
5.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승희(Seung Hui Cho),조규영(Gyoo Yeong Cho). (2016).병원간호사의 VDT증후군 영향요인.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18 (5), 2801-2815

MLA

조승희(Seung Hui Cho),조규영(Gyoo Yeong Cho). "병원간호사의 VDT증후군 영향요인."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18.5(2016): 2801-281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