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아 STEAM교육 실행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이용수 1597

영문명
Trends Analysis of Early Childhood STEAM Education Research in Korea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김혜원(Kim Hye Won)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5호, 1211~1234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3.0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를 대상으로 한 STEAM교육 연구를 활동유형, 구성내용, 평가내용별로 동향을 파악하여 그 분석결과를 향후 유아 STEAM교육을 실행하고 연구함에 있어 방향설정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국내에서 유아 STEAM교육 적용에 대한 논의가 처음 공론화된 2013년부터 2019년까지의 학위논문과 학술논문을 대상으로 유아 STEAM교육과 관련한 연구물을 수집하였다. 최종 수집된 연구물들의 활동유형을 분석하기 위한 기준으로는 ‘연계형’, ‘통합형’, ‘융합형’을 제시하였으며, 구성내용을 분석하기 위한 기준으로는 STEAM의 구성요소인 과학(Science), 기술(Technology), 공학(Engineering), 수학(Mathematics), 예술(Arts)을 설정하였다. 마지막으로 평가내용을 분석하기 위한 기준은 ‘창의성 영역’, ‘인지적 영역’, ‘정의적 영역’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 STEAM교육에 관한 연구들에서 가장 많이 이루어진 활동유형은 ‘연계형’이며, 이 중 예술영역을 중심으로 한‘A-ATEAM’이 가장 활발히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 STEAM교육을 구성하는 교육내용을 구성요소별로 살펴보았을 때, 가장 많이 다루어진 교육영역은 ‘기술영역’이며, 세부 내용에 있어서는 ‘예술영역’의 ‘다양한 주제, 기호, 아이디어 선택 및 평가’에 대한 내용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 STEAM교육을 실행한 연구에서 적용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활용된 평가도구의 하위내용에서 가장 많이 살펴본 평가영역은 ‘창의성 영역’이었으며, 이 중 ‘창의적 사고’에 관한 평가가 가장 많이 이뤄진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rends in STEAM education studies for infants by activity type, composition and evaluation details and to assist in setting directions in implementing and researching early childhood STEAM education in the future. To this end, studies related to early childhood STEAM education were collected from academic papers and academic papers from 2013 to 2019 when discussions on the application of early childhood STEAM education were first discussed in Korea. The criteria for analyzing the activity types of the final collected studies were ‘connection’ and ‘integration’ and ‘fusion’ and the criteria for analyzing the composition were set up for STEAM components such as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mathematic and art. Finally, the criteria for analysing the assessment are ‘creative’, ‘cognitive domain’ and ‘affective domai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tudies on early childhood STEAM education found that the most common types of activities were ‘connection’ and ‘A-STEAM’ centered on the arts area was the most active. Second, when we looked at the contents of education that make up the early childhood STEAM education by component The most frequently mentioned area of education is the technology sector. And much of the details covered were about “choosing and evaluating subjects, symbols and ideas” in the art field. Third, in a study conducted on early childhood STEAM education, the most common area of assessment in the lower content of the assessment tools used to analyze the effects of application was the area of creativity, among which the most assessment was made of ‘creative thinking’.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혜원(Kim Hye Won). (2020).유아 STEAM교육 실행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 (5), 1211-1234

MLA

김혜원(Kim Hye Won). "유아 STEAM교육 실행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5(2020): 1211-123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