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헤겔철학에서 용서담론과 회복적 정의

이용수 358

영문명
Forgiveness Discourse in Hegel’s Philosophy and Restorative Justice
발행기관
한국문화융합학회
저자명
조극훈(Keuk-Hun, Cho)
간행물 정보
『문화와융합』제39권 5호, 953~984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10.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헤겔의 용서담론을 근거로 회복적 정의의 실현과 참된 용서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데 있다. 헤겔은 용서를 인격적 주체들간의 상호인정으로 규정하였다. 회복적 정의의 전제인 인간의 자율성, 공동체성의 근거가 된다. 그리고 회복적 정의의 궁극적인 목적은 참된 용서를 통해 정의를 회복하는 데 있는데, 헤겔의 용서담론은 이러한 회복적 정의를 실현하는데 철학적 근거를 제시한다. 용서에 관한 선행 연구는 주로 죄와 벌에 대한 피해자의 심리적 보상에 주안점을 두었다. 심리적 보상은 가해자의 사죄와 보상을 전제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형사사법은 가해자의 사죄와 보상의 정도에 따라 사면 절차를 두고 있다. 이러한 의미의 용서는 가해자의 반성과 보상을 전제로 하는 조건적 용서이다. 조건적 용서의 한계는 조건이 변화되었을 때 용서가 지속되지 못한다는 데 있다. 그에 반해서 가해자의 반성과 보상이라는 조건과 무관하게 용서하는 무조건적인 용서가 있다. 무조건적인 용서는 “용서할 수 없는 것을 용서하는 것”으로 도덕적 용서이다. 이 논문은 조건적 용서와 무조건적 용서의 화해의 가능성을 헤겔의 상호인정에서 발견하고자 한다. 논의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먼저 헤겔의 형벌론과 회복적 정의 개념을 제시한다. 다음으로 헤겔의 용서담론을 회복적 정의의 맥락에서 살핀다. 이후 데리다의 무조건적인 용서를 둘러싼 논란을 제시하고 영화 <밀양>분석을 통해 참된 용서의 가능성을 살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restorative justice and the possibility of true forgiveness based on Hegel’s forgiveness discourse. Hegel defined forgiveness as the mutual recognition of the personal subjects. It is the basis of human autonomy and community, which is the premise of restorative justice. And the ultimate goal of restorative justice is to restore justice through true forgiveness, and Hegel’s forgiveness discourse provides a philosophical basis for realizing this restorative justice. Until now, studies on forgiveness have focused mainly on victims’ psychological compensation for sin and punishment. Psychological compensation is based on the assumption of the offender’s apology and compensation. The criminal justice system has amnesty procedures in accordance with the degree of apology and compensation of the perpetrator. Forgiveness in this sense is a conditional forgiveness on the premise of the perpetrator’s reflection and compensation. The limit of conditional forgiveness is that forgiveness persists when conditions change. On the contrary, there is unconditional forgiveness irrespective of the conditions of the abuser’s reflection and reward. Unconditional forgiveness is moral forgiveness as “to forgive what can not be forgiven”. This paper attempts to find the possibility of reconciliation between conditional forgiveness and unconditional forgiveness in Hegel’s mutual recognition. The order of discussion is as follows. First, Hegel’s theory of punishment and restorative justice are presented. Next, we examine Hegel’s forgiveness discourse in the context of restorative justice. And then, we present the controversy surrounding Derrida’s unconditional forgiveness and examines the possibility of true forgivenes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movie Miryang.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죄와 벌 그리고 회복적 정의
3. 헤겔의 용서담론
4. 무조건적 용서와 조건적 용서
5. 교정과 진정한 용서
6.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극훈(Keuk-Hun, Cho). (2017).헤겔철학에서 용서담론과 회복적 정의. 문화와융합, 39 (5), 953-984

MLA

조극훈(Keuk-Hun, Cho). "헤겔철학에서 용서담론과 회복적 정의." 문화와융합, 39.5(2017): 953-98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