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목회상담을 위한 애도 과정의 이해와 목회자의 자세

이용수 190

영문명
The Understanding of Grieving Process for Pastoral Counseling and Attitude of Pastor - Centering on Cheongjun Lee’s Novel
발행기관
한국문화융합학회
저자명
장미영(Jang Mi Yeong)
간행물 정보
『문화와융합』제39권 5호, 853~884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10.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문학과 목회상담교육을 연계하기 위한 학제 간 연구이다. 본 연구 목적은 문학작품을 통해 효과적인 목회상담을 위해 인문학 기반의 목회자 역할을 살피고 목회자로서 갖추어야 할 소양을 짚어보려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소설가 이청준의 작품 중, 자식의 죽음을 다룬 『벌레 이야기』(2002)와 부모의 죽음을 다룬 『축제』(2003)이다. 대체로 목회자는 애도작업을 돕는 역할을 수행하는 경우가 많아 각기 다른 상황에 처해 있는 유족들과의 대면에 탄력적으로 대처해야 할 필요를 크게 느끼게 된다. 이에 본고는 이에 대한 연구가 목회자가 유족들에 대한 심리적인 통찰을 소홀히 하지 않아야 한다는 당위적 태도가 내면화되는데 일조하기를 기대한다. 본고의 연구 방법은 이청준의 소설이 그려내고 있는 애도 과정을 살펴 유가족의 정신세계와 행동의 변화를 고찰함으로써, 살아있는 사람들이 죽음으로 인한 상실의 고통을 의미 있게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찾는 데 중점을 두었다. 이로써 본고는 가족의 죽음으로 고통 속에 있는 내담자/피상담자의 병리적 증상을 진단하고 이를 건강한 상태로 변화시킬 수 있는 긍정적인 애도로의 유도 가능성을 모색해 보았다. 연구 결과 이청준의 『벌레 이야기』와 『축제』는 죽음의 문제를 다루고 있는 것이 아니라 역설적으로 상실을 경험한 유가족들의 삶에 대한 태도를 다루고 있는 소설로 평가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두 작품을 통해 본고는 유가족들이 상실의 고통 속에 침잠하지 않고 건강한 삶을 살아가기 위해 어떤 방식으로 고통의 극복을 모색할 수 있는지 그에 대한 방안과 참조점을 포착해냈다. 본 연구의 성과는 죽은 사람과 관련된 살아있는 사람들의 상실 경험 이후의 애도 문제가 개인이나 사회 전반에 미치는 영향력이 매우 크기에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주제라는 것을 부각시킨 것이다. ‘죽음’은 유가족들에게 ‘상실’이라는 외상을 남기는 것에서 그치지 않는다. 유가족들은 상실을 겪은 이후의 삶을 그 이전과 다름없이 똑같이 살 수는 없다. 살아있는 사람들이 죽은 사람의 죽음을 처리하는 방식이나 ‘죽음’을 대하는 태도는 동시대의 다른 사람들에게 사회․문화적인 반향을 불러일으킨다. 그러기에 ‘죽음’이나 ‘애도’는 문화적 기호로 사유되기도 한다. 이러한 문화적 기호는 한 사회의 사상이나 이념 또는 가치를 변혁시킬 수 있는 힘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애도’에 대한 신중한 사회적 관심이 요청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pioneer a new topic that is called here ‘grieving consulting’ to create human-centered consulting culture based on humanities, the very basis for this study. To this end, 『The Story of a Warm』(2002) that is about death of one’s child and 『The Festival』(2003) that is about death of parents were chosen among works of the novelist Cheonjun Lee. Centering on these two novels, this study examines the grieving process reflected in them to investigate the metal state and behavioristic changes of the bereaved and to find ways to help living persons overcome the agony of losing their beloved ones in a meaningful manner. This study examines pathological symptoms of readers(clients) in pain because of death of their family members and seeks literature- therapeutic possibilities of turning them back into a healthy condition. Thology and Literature has a common goal to expand the meaning of a life. To achieve that goal, these two domains of knowledge seek to get rid of pain as one faces it. With a life’s pain as a theme, literature helps readers intuitively understand the cause of agony and ponder over the way to relieve such pain. Likewise, medical science makes a diagnosis of causes of pain among people who suffer from agony and seeks to find ways for them to get rid of such pain. As such, healing of pain is a commission given to literature and medical science. Treating the symptoms is a basic need of people when they feel pain either mentally or physically. Mostly, treatment begins from the heart because the basic prerequisite of treatment is the patient s conviction that he can recover and strong will to expand the meaning of his life. The completion of treatment is called healing. Healing is a state that the cause of pain has been completed removed or a patient comes to have stronger belief and hope in expanding the meaning of his life as well as greater values to his life. In this context, 『The Story of a Warm』(2002) and 『The Festival』(2003) do not handle the matter of death. Rather, these novels paradoxically describe attitudes toward a life among the bereaved who have gone through loss. In other words, these two works focus on how to overcome agony so that the bereaved can continue living a healthy life rather than being deep in pain of loss. ‘Death’ goes beyond merely leaving a trauma of loss to the bereaved. After the feeling of loss, the bereaved ones can no long live their lifes exactly in the same way they did before. The way that the bereaved handle death and their attitudes toward ‘death’ evoke a cultural echo. That is why ‘death’ is also spoken of as a cultural preference. Such a cultural preference may work as a dynamic force that transforms an idea, ideology, or value in a community. Since the experience of loss among the bereaved who lost their beloved ones in death is of significant influence not only on related individuals but also on the entire society, this is a topic to be seriously addressed.

목차

1. 서론
2. 진정성의 부재와 적개심의 전위-『벌레 이야기』
2.1. 진정성의 부재에 따른 병리적 애도
2.2. 『벌레 이야기』에 나타난 애도 방식과 시사점
3. 제의와 애도, 그리고 기억의 확장-『축제』
3.1. 제의를 통한 기억의 공론
3.2. 애도문화의 변화
3.3. 『축제』에 나타난 애도의 의미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미영(Jang Mi Yeong). (2017).목회상담을 위한 애도 과정의 이해와 목회자의 자세. 문화와융합, 39 (5), 853-884

MLA

장미영(Jang Mi Yeong). "목회상담을 위한 애도 과정의 이해와 목회자의 자세." 문화와융합, 39.5(2017): 853-88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