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식민지시기 고전주의 운동과 전통담론

이용수 226

영문명
A Study on the Meaning of Classical Movement in 1920 s and 1930 s
발행기관
한국문화융합학회
저자명
김윤경(Kim, Yunkyung)
간행물 정보
『문화와융합』제40권 7호, 701~722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11.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20년대 국민문학론자들이 정전화 과정에서 선택하고 배제한 ‘고전(canon)’ 혹은 ‘조선적인 것’이 무엇이며, 이를 통해 구체화하고자 했던 ‘조선심’이란 무엇인가를 밝히는 한편, 이후 30년대 말의 『문장』파 문인들의 상고주의가 선택한 전통 혹은 고전을 국민문학론자들의 그것과 비교․대조함으로써 그 차이가 어디에서 기인하는가를 분석하였다. 1920년대와 30년대 말의 고전부흥운동은 ‘문화적 민족주의’라는 공통된 성격을 지니고 있었지만, 전자가 제국주의에 의한 식민현실을 인식한 민족적 자기인식의 근대적 실천이었다면, 후자는 근대 사회의 메커니즘이 종식된다는 위기의식에서 출발한 탈근대 혹은 반근대적 실천이었다. 이처럼 표면상으로는 20년대의 국민문학론과 30년대 말의 전통주의가 국학연구와 문학사의 고전을 발굴하고 정전화하는 유사한 실천전략을 구사하고 있었지만, 그 이면에서 작동하는 이념적․세계관적 입장은 대조적이었다 해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그러나 전통담론 내에서 정전(canon)의 선택과 배제를 통해 자기 정체성을 확립하려 했다는 점에서 두 시기의 인식론적 유사성을 발견할 수 있다. 고전부흥운동을 통해 발굴된 정전은 원래부터 불변의 것으로 존재했던 것이 아니라, 일정한 윤리적․미적 가치를 기준으로 선택․배제 된 이데올로기적 산물이다. 근대국민국가에서 정전의 상당부분은 ‘국민’의 개념, 특히 국민 통합의 정점에 위치하는 국가 중심의 최고 권위를 기반으로 하는 정치적 내셔널리즘을 통해 형성되었다. 이처럼 정전화가 내셔널리즘과 결합하여 민족 공동체의 통합과 지배의 기제가 되는가 하면, 이에 저항하는 새로운 정전을 구축함으로써 전통적으로 배제되어 왔던 특정 그룹 또는 공동체가 그들 자신의 인종적․민족적․젠더적 정체성을 확립하는 수단이 되기도 했다. 식민지 상황에서 전통과 고전이 담론의 중요한 대상으로 부각되었다는 것은 이러한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앞서 말한 바와 같이, 고전부흥운동은 제국주의(20년대) 혹은 군국주의(30년대 말)의 외피를 쓴 타자의 위협적 체험으로부터 자기상실의 위기를 극복하고자 한 식민지 지식인의 자기 형성의 의지가 반영된 것이었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reveals what is ‘canon’ or ‘Chosun shim’ that the national literary theologians chose and excluded in the process of dialect in the 1920s, and what ‘Chosun shim’ they wanted to embody through this. And analyzed the difference by comparing the meaning of tradition or classics chosen by classicists of the “sentences” of the 1930s with those of the 1920s. The classical revival movement in the late 1920s and 1930s had a common characteristic of ‘cultural nationalism’, but if the former was a modern practice of national self-awareness that recognized colonial reality by imperialism, the latter was a crisis of ending the mechanism of modern society It was postmodern or anti-modern practice starting from consciousness. On the surface, while the national literary theory of the 1920s and the traditionalism of the 1930s chose similar methods of practice, their respective ideological attitudes were contrary. However, there is a common point that they tried to establish their identity through traditionalism. The modern nation-state is based on the political nationalism which regards nationalism as the best value. Thus canon, combined with nationalism, became the basis of the integration and domination of the national community. The classical revival movement reflected the willingness of colonial intellectuals to defend themselves against external threats of imperialism(1920’s) or militarism(1930’s).

목차

1. 서론 : 『문장』파와 국민문학의 고전부흥론
2. 단일 민족 신화로서의 ‘조선심’ 혹은 ‘조선적인 것’
3. 민족주의 이념성에 함몰되지 않은 전통
4. 근대의 좌절과 고전 부흥론의 대두
5.『문장』파의 고전 수용
6. 결론을 대신하여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윤경(Kim, Yunkyung). (2018).식민지시기 고전주의 운동과 전통담론. 문화와융합, 40 (7), 701-722

MLA

김윤경(Kim, Yunkyung). "식민지시기 고전주의 운동과 전통담론." 문화와융합, 40.7(2018): 701-72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