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이강효의 《분청 퍼포먼스》에 관한 연구

이용수 179

영문명
A Study on Lee Kanghyo’s Buncheong Performance - Focusing on the Extension of Material Propriety in Crafts Works and Physical Rhythm used by Samulnori
발행기관
한국조형디자인학회
저자명
홍지수(Hong, Ji-su)
간행물 정보
『조형디자인연구』조형디자인연구 제21집 4권, 297~318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12.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최근 한국 현대도예의 전통미술에 대한 재탐색은 정확한 형태로 존재하거나 드러나는 가시적(可視的) 형식보다 이면에 내포된 심미적(審美的) 의미와 맥락을 궁구하여 새롭게 변용하는 것에 더 중점하고 있다. 따라서 ‘전통의 변용과 재창조’는 옛 재료나 기술, 형식에 국한되지 않고 새로운 예술의 개념과 표현을 추구하기에 재료, 방법, 매체를 구분 짓지 않는 다양한 통섭적 시도가 두드러진다. 이 중에서 이강효의《분청 퍼포먼스》는 사물성과 실용성을 중시하는 전통 공예의 방법을 따르고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옛 분청이 지닌 자유스러움과 자연 분방함 등 범자연주의를 지향하는 한국공예의 특질에 한층 가까이 다가가고 있다는 점에서 특히 주목할 만하다. 이강효는 옛 분청 특유의 자유분방함과 즉흥성, 생동감의 원천을 공예가가 오랫동안 작업하며 체화시킨 탈의식화된 리듬과 감각에서 찾고 풍물, 굿거리 등 한국의 전통음악을 재해석한 사물놀이의 장단을 접목하여 분청 퍼포먼스라는 새로운 미술 형식으로 확장한다. 이강효의《분청 퍼포먼스》는 ‘결과’보다 ‘사건’이 중요한 과정예술을 지향한다는 점에서 서양미술의 해프닝이나 추상표현과 유사성을 갖고 있다. 또한 《분청 퍼포먼스》의 물성표현은 재료의 본성을 존중한다는 점에서 1960년대 한국 개념미술을 모태로 1970~80년대 물성과 신체의 관계를 탐구해온 한국 현대회화와의 시각적 유사성이 보인다. 하지만 이강효의 퍼포먼스 작업은 물질과 행위를 매개로 삼은 자기 환원에 관심이 있기보다 한국미술을 배태해온 장인들의 공예적 태도와 자연과 내가 기(氣)로 연결되어 있다는 동양적 사고의 맥락 속에서 확장된 것이다. 이강효가 리듬을 매개로 옹기나 분청 같은 전통공예의 수법과 사물놀이 장단을 활용하는 것은 전통에 근간해 새로운 것을 만들어내는 작가의 방법을 확인해준다. 이를 입증하기 위해 본 연구는 이강효의 분청 퍼포먼스의 가장 큰 특징을 공예작업에 바탕을 둔 물성표현과 신체 리듬의 확장으로 보고 미적 특질을 규명하고자 한다. 첫째, 서구 개념미술 및 한국 단색화의 물성과 신체성을 이강효의 물성표현과 비교 분석하고 둘째, 이강효의 분청 퍼포먼스가 지닌 미적 특질과 독자성을 주장하기 위해 그가 공예작업에서 체화된 리듬과 감각을 사물놀이 장단과 융합하는 이유를 궁구해보고자 한다.

영문 초록

In recent years, the expressions of Korean contemporary ceramics has focused on devising and transforming the aesthetic meanings and contexts contained in the inside rather than visible forms of traditions existed and revealed in the exact forms. They are seeking the definitions and expressions of new arts, not limited to old materials, techniques, and forms in the transformation and re-creation of tradition, and so various consilient attempts are also increasing. In particular, Lee Kanghyo s Buncheong Performance draws attention that he is more approaching to characteristics of Korean crafts which has pursued the naturalness and unrestrictednes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Buncheong, even thought he does not follow traditional craft methods which have considered objecthood and practicality as important. Lee Kanghyo expands into a new art form called Buncheong Performance while he seeks the free-spiritedness and impromptu liveliness of traditional Buncheong in the de-conscious rhythm and sense that the craftmen have accumulated for a long time as well as he grafts the rhythm of Samulnori that is reinterpreted Korean traditional music like Pungmul, Gutgury rhythm, etc. Lee Kanghyo s Buncheong Performance has similarity with the happening or abstract expression of Western art from the point that he pursues process art that event is more important than result. In addition, since the expression of material property of Buncheong Performance respects the nature of materials, it shows the visual similarity with the Korean contemporary painting, which has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ial property and the body in the 1970s and 1980s on the basis of Korean conceptual arts in the 1960s. However, instead of being interested in self-reduction through materials and behaviors, Lee Kanghyo s performance work is expanded in the context of the craft attitude of the craftsmen who have made Korean art and the oriental thoughts that nature and I are connected with Ki. Utilizing the technique of traditional crafts such as Onggi and Buncheong and Samulnori rhythm, Lee Kanghyo confirms the artist s method of creating new things based on tradition. In order to prove this, this study seeks to identify the aesthetic qualities of Lee Kang hyo s “Bungcheong performance” as the expansion of material property expression and body rhythm based on craft work. This study, first, analyzes the material property and corporality of Western conceptual art with Korean monochrome painting. Second, In order to disclose the aesthetic qualities and uniqueness of Lee Kangyo’s “Bungcheong performances”, it attempts to find the reasons why he integrates the rhythm and sensation embodied in craft work with the Samulnori.

목차

Ⅰ. 서 론
Ⅱ.《분청 퍼포먼스》의 배경과 제 논의 : 시연(試演)의 확장
Ⅲ. 《분청 퍼포먼스》에 나타난 물성표현
1. 서구 개념미술의 물성표현과의 비교
2. 한국 물성파 회화와의 비교
Ⅳ. 《분청 퍼포먼스》에 나타난 신체 리듬의 확장
1. 공예가의 몸에 체화된 리듬과 감각
2. 공예 작업의 ‘리듬’과 사물놀이의 ‘장단’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홍지수(Hong, Ji-su). (2018).이강효의 《분청 퍼포먼스》에 관한 연구. 조형디자인연구, 21 (4), 297-318

MLA

홍지수(Hong, Ji-su). "이강효의 《분청 퍼포먼스》에 관한 연구." 조형디자인연구, 21.4(2018): 297-31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