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실리콘 고무의 물리적 특성을 바탕으로 한 심미적 가능성 연구 및 작가 분석
이용수 259
- 영문명
- A Study on the Aesthetic Possibilities of Silicone Rubber and the Analysis of Artists’ Work - Focusing on Releasability, Adhesiveness, Fluidity -
- 발행기관
- 한국조형디자인학회
- 저자명
- 이선용(Lee, Seon-yong)
- 간행물 정보
- 『조형디자인연구』조형디자인연구 제21집 4권, 225~240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2.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실리콘 고무는 안전한 재료로서 산업 전반에서 50년대 이후 널리 사용되어 왔다. 실리콘 고무는 예술 활동을 하는 작가들에게도 매혹적인 소재로 재료 특유의 물성을 바탕으로 다양한 색채 및 질감을 이용하여 그들의 작품 세계를 다양하게 표현해왔다. 재료의 무해성과 독특한 물성에 힘입어 신체와의 직접적 결합이 핵심인 장신구 분야에서도 다각도로 활용되고 있고 개인 작가가 갖추기 어려운 안전 설비 없이도 작업이 가능하여 널리 활용되고 있다. 이들 작가들은 실리콘 고무의 이형성, 접착성, 유동성의 물리적 특성을 활용하는데 각각에 해당하는 작가들의 작품세계와 구현방법을 분석하여 또 다른 조형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Silicone rubber has been widely utilized as a safe material across all industries since 1950s.
Due to peculiar properties of the matter, silicone rubber has fascinated many artists and enabled them to express their ideas with various colors and textures. Harmless and distinctive aspects of the material are also suitable for making jewelry which is essentially body-oriented and necessarily worn. The artists and jewelers have actively used silicone rubber s physical properties, releasability, adhesiveness and fluidity. This analysis shows artists works using those three properties and suggests aesthetic and technical possibilities.
목차
Ⅰ. 연구 목적과 방법
Ⅱ. 실리콘 고무의 물리적 특성
1. 실리콘 고무의 개요
2. 실리콘 고무의 특성
3. 실리콘 고무의 이형성, 접착성, 유동성의 표현방법
Ⅲ. 실리콘 고무로 표현된 심미적, 예술적 표현 및 작가 분석
1. 이형성을 활용한 작가 분석
2. 접착성을 활용한 작가 분석
3. 유동성을 활용한 작가 분석
Ⅳ.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00 년대 이후 하이브리드 환경조형물의 유형 분석 연구
- 이강효의 《분청 퍼포먼스》에 관한 연구
- 1 인가구 맞춤형 IoT 융합 의자 디자인에 관한 연구
- 삶과 죽음의 모티브의 조형화 사례 연구
- 마이스터 요제프 알버스가 현대 건축유리 발전에 끼친 영향
- 앙리 베르그송의 기억 해석 이론을 바탕으로 한 루이스 부르주아의 조형 표현 연구
- 업사이클링 사례분석을 통한 리디자인 지도방안연구
- 디지털 기술을 응용한 융복합 오브제 디자인 연구
- 백동 여성수식(女性首飾) 제작방법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미술교과 내 공예교육의 흐름 연구
- 조선후기 칠궁과 내부 의장물 비교 연구
- A Study on the Formation Process of Chinese Logo Design by the Influence of Reform and Opening Policy
- 석고주형 진공주조법을 활용한 기물 제작 사례 연구
- 중국 전통 문화를 바탕으로 한 애니메이션 캐릭터 디자인 연구
- 실크 교직물의 이지케어 성능 향상 연구
- 도자브랜드의 아트 콜라보레이션 경향 연구
- 자넷 에힐만의 기류 조각에 나타난 융합공예적 특성 연구
- 비푸 스리빌라사(Vipoo Srivilasa)의 작품에 관한 연구
- 예술의 창의적 사고에 기반 한 그래픽 디자인의 창작과정 연구
- 실리콘 고무의 물리적 특성을 바탕으로 한 심미적 가능성 연구 및 작가 분석
- 조형디자인연구 제 21집 4권 목차
- 애니메이션 캐릭터에 나타난 민족성의 차이
- 혼합 현실 기술을 활용한 무형 문화유산의 디지털 보호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BEST
더보기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고전 회화기법을 활용한 미술대학 서양화 실기 교과 연구 - 템페라 기법 적용사례를 중심으로
- T. J. 디모스와 창의적 생태 센터의 활동 - 기후변화 시대 시각예술의 연구, 교육, 큐레토리얼 실천
- 고교학점제에서의 진로 탐색 미술 활동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공동 주체성(co-agency)의 가능성과 한계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