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비푸 스리빌라사(Vipoo Srivilasa)의 작품에 관한 연구
이용수 268
- 영문명
- A Study of Works by Vipoo Srivilasa - Focused on Hybridity Theory
- 발행기관
- 한국조형디자인학회
- 저자명
- 원경환(Won, Kyung-hwan) 우혜승(Woo, Hye-seung)
- 간행물 정보
- 『조형디자인연구』조형디자인연구 제21집 4권, 179~197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2.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현대 사회는 모더니즘 붕괴와 포스트모더니즘의 부상으로 차이와 다원화에 대한 담론이 활성화되었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혼종성(混種性)과 타자성(他者性)을 강조하는 포스트식민주의가 등장하여 제3세계 작가들과 성적 소수자를 표현한 작가들의 미술계 진입을 용이하게 했다. 이러한 미술계의 흐름에서 현대도예를 볼 때, 비푸 스리빌라사(Vipoo Srivilasa)의 작품은 혼종성을 기반으로 이주민의 정체성, 동성애, 환경 등의 사회문제를 드로잉과 키치적 형태를 빌어 유머 있게 풀어냈다는 점에서 주목받을 만하다. 그는 백토를 이용해 불상을 모티프로 인간 또는 동물의 형상을 본뜬 키치적 성격의 피규어를 제작하고 작품의 표면에는 청화 안료로 다양한 패턴을 그려 넣거나 식물 모양의 유니트로 장식을 한다. 그는 이러한 키치적 형태를 통해 관람자들이 작품의 주제에 쉽게 접근하도록 한다. 또한, 개인의 정체성 문제에서 나아가 문화 정체성에 관심을 가지며 세계화, 정보화, 다원화라는 시대의 흐름에 따라 예술을 매개로 세계 각지의 사람들과 소통하고 있다. 이로써 비푸 스리빌라사는 예술을 통해 자신의 삶을 표현하고 다양한 사람들과 이를 향유하므로 현대도예에 예술의 사회적 기능과 효과적인 소통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영문 초록
In modern society, the discourse of difference and diversification is activated by the collapse of modernism and the rise of postmodernism. With the appearance of post-colonialism emphasizing the hybridity and otherness, it became easier for the third world artists and the artists expressing the sexual minorities to enter the art world. Looking at modern pottery in this tendency, the works by Vipoo Srivilasa are worth noticing in the aspect of humorously expressing the social problems such as the identity of immigrants, homosexuality, and environment based on the hybridity in the kitschy form and drawing. He produces a kitschy figure taking after a form of human or animal with the motif of Buddha statue using the white clay, and then draws diverse patterns with blue paints on the surface of the work, or decorates it with a plant-shaped unit. His kitsch shapes allow the viewers to approach the themes of his works more easily. Furthermore, the themes of his works range from individual identity problem to cultural identity issues, which shows that Srivilasa intends to communicate with people around the world in the time of globalization, information and diversification. As Vipoo Srivilasa is expressing his own life through art and also enjoying this with diverse people, he is suggesting the social function and effective communication methods of art to modern pottery.
목차
Ⅰ. 서 론
1. 연구 목적
2. 연구 범위 및 방법
Ⅱ. 혼종성 이론에 관하여
1. 혼종성 이론의 배경
2. 혼종성 이론의 특징과 호미바바의 혼종성 개념
3. 현대미술에서 나타나는 혼종성
Ⅲ. 비푸 스리빌라사의 작품 분석
1. 내용적 측면
2. 형식적 측면
Ⅳ.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00 년대 이후 하이브리드 환경조형물의 유형 분석 연구
- 이강효의 《분청 퍼포먼스》에 관한 연구
- 1 인가구 맞춤형 IoT 융합 의자 디자인에 관한 연구
- 삶과 죽음의 모티브의 조형화 사례 연구
- 마이스터 요제프 알버스가 현대 건축유리 발전에 끼친 영향
- 앙리 베르그송의 기억 해석 이론을 바탕으로 한 루이스 부르주아의 조형 표현 연구
- 업사이클링 사례분석을 통한 리디자인 지도방안연구
- 디지털 기술을 응용한 융복합 오브제 디자인 연구
- 백동 여성수식(女性首飾) 제작방법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미술교과 내 공예교육의 흐름 연구
- 조선후기 칠궁과 내부 의장물 비교 연구
- A Study on the Formation Process of Chinese Logo Design by the Influence of Reform and Opening Policy
- 석고주형 진공주조법을 활용한 기물 제작 사례 연구
- 중국 전통 문화를 바탕으로 한 애니메이션 캐릭터 디자인 연구
- 실크 교직물의 이지케어 성능 향상 연구
- 도자브랜드의 아트 콜라보레이션 경향 연구
- 자넷 에힐만의 기류 조각에 나타난 융합공예적 특성 연구
- 비푸 스리빌라사(Vipoo Srivilasa)의 작품에 관한 연구
- 예술의 창의적 사고에 기반 한 그래픽 디자인의 창작과정 연구
- 실리콘 고무의 물리적 특성을 바탕으로 한 심미적 가능성 연구 및 작가 분석
- 조형디자인연구 제 21집 4권 목차
- 애니메이션 캐릭터에 나타난 민족성의 차이
- 혼합 현실 기술을 활용한 무형 문화유산의 디지털 보호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BEST
더보기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고전 회화기법을 활용한 미술대학 서양화 실기 교과 연구 - 템페라 기법 적용사례를 중심으로
- T. J. 디모스와 창의적 생태 센터의 활동 - 기후변화 시대 시각예술의 연구, 교육, 큐레토리얼 실천
- 고교학점제에서의 진로 탐색 미술 활동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공동 주체성(co-agency)의 가능성과 한계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