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디지털 기술을 응용한 융복합 오브제 디자인 연구
이용수 402
- 영문명
- A Study on Convergence Object Design using Digital Technology - Focusing on Arduino -
- 발행기관
- 한국조형디자인학회
- 저자명
- 김송휘(Jin, Song-hui)
- 간행물 정보
- 『조형디자인연구』조형디자인연구 제21집 4권, 11~2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2.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디지털 혁명’이라 불리는 현상으로 말미암아 인간의 생산방식에는 크나큰 변화가 생겼으며, 이러한 변화는 또한 예술분야에도 영향을 주며 새로운 패러다임을 가져다주었고 각 분야에서는 디지털 기술을 응용하는 새로운 기술, 창의적인 방법을 찾아가는 사람이 많아지고 있다. 아두이노 플랫폼은 이러한 시대에서 탄생한 디지털 전류제어 플랫폼으로서 저렴한 가격과 쉬운 접근성, 왕성한 커뮤니티를 기반으로 많은 예술가와 개발자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많은 아티스트들은 아두이노 혹은 유사한 전류제어 플랫폼을 이용하여 다양한 시도를 하고, 새로운 작품을 보여주고 있다. 이런 예술가의 작품들은 작품의 장단점을 가지고 있지만 아두이노와 같은 전류제어 플랫폼과 센서들을 적절히 사용하면 장점들을 극대화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시대에 발을 맞추어 디지털 기술과 금속공예기법을 융합하여 디지털 센서로 작동되는 키네틱 융복합 오브제를 제작하였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하여 금속공예가 디지털 전류제어기술인 아두이노 플랫폼을 이용하여 더 한층 발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예술분야와의 융합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영문 초록
A phenomenon called the digital revolution has caused a significant change in production methods. These changes have also influenced the arts and brought about new paradigms, and accordingly, there are many people who are finding new technologies and creative ways to apply digital technology in their respective fields. The Arduino platform is a digital current control platform created in this digital era and has been loved by many artists and developers due to its affordable price, easy accessibility, and active community. Many artists have made various attempts using Arduino or similar current control platforms and are presenting new work. The works of these artists hav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but using current control platforms and sensors such as Arduino properly can maximize their advantages. In this study, a kinetic convergence object was developed that is operated by a digital sensor by combining digital technology and metal crafting techniques. In addition, this study revealed that metal craft can be further developed using the Arduino platform and digital current control technology and can be integrated with other art fields.
목차
Ⅰ. 서 론
1. 연구목적
2. 연구범위 및 방법
Ⅱ. 본 론
1. 융복합의 의미
2. 아두이노 플랫폼
3. 여러장르에서의 전류제어기술
Ⅲ. 디자인 및 제작과정
1. 디자인 컨셉
2. 제작과정
Ⅳ. 결 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00 년대 이후 하이브리드 환경조형물의 유형 분석 연구
- 이강효의 《분청 퍼포먼스》에 관한 연구
- 1 인가구 맞춤형 IoT 융합 의자 디자인에 관한 연구
- 삶과 죽음의 모티브의 조형화 사례 연구
- 마이스터 요제프 알버스가 현대 건축유리 발전에 끼친 영향
- 앙리 베르그송의 기억 해석 이론을 바탕으로 한 루이스 부르주아의 조형 표현 연구
- 업사이클링 사례분석을 통한 리디자인 지도방안연구
- 디지털 기술을 응용한 융복합 오브제 디자인 연구
- 백동 여성수식(女性首飾) 제작방법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미술교과 내 공예교육의 흐름 연구
- 조선후기 칠궁과 내부 의장물 비교 연구
- A Study on the Formation Process of Chinese Logo Design by the Influence of Reform and Opening Policy
- 석고주형 진공주조법을 활용한 기물 제작 사례 연구
- 중국 전통 문화를 바탕으로 한 애니메이션 캐릭터 디자인 연구
- 실크 교직물의 이지케어 성능 향상 연구
- 도자브랜드의 아트 콜라보레이션 경향 연구
- 자넷 에힐만의 기류 조각에 나타난 융합공예적 특성 연구
- 비푸 스리빌라사(Vipoo Srivilasa)의 작품에 관한 연구
- 예술의 창의적 사고에 기반 한 그래픽 디자인의 창작과정 연구
- 실리콘 고무의 물리적 특성을 바탕으로 한 심미적 가능성 연구 및 작가 분석
- 조형디자인연구 제 21집 4권 목차
- 애니메이션 캐릭터에 나타난 민족성의 차이
- 혼합 현실 기술을 활용한 무형 문화유산의 디지털 보호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BEST
더보기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고전 회화기법을 활용한 미술대학 서양화 실기 교과 연구 - 템페라 기법 적용사례를 중심으로
- T. J. 디모스와 창의적 생태 센터의 활동 - 기후변화 시대 시각예술의 연구, 교육, 큐레토리얼 실천
- 고교학점제에서의 진로 탐색 미술 활동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공동 주체성(co-agency)의 가능성과 한계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