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Easy-care Performance Improvement of Silk Union Cloth
- 발행기관
- 한국조형디자인학회
- 저자명
- 김규범(Kim, Kyu-beom) 김문식(Kim, Moon-sik)
- 간행물 정보
- 『조형디자인연구』조형디자인연구 제21집 4권, 335~348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2.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염축가공에 대한 이전 연구의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실크 교직물의 이지케어 성능 향상을 위하여 상업적으로 활용 가능한 연속공정개발을 하고자하였다. 스테인리스 소재로 제작된 연속처리 장치를 이용하여 장비의 부식으로 인한 내구성에 대한 문제점을 해소하였다. 그리고 스텐실 장치를 설치하여 직물에 가해지는 장력과 직물이 가공액의 수면으로의 떠오름으로 인한 불균일 처리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교직물 소재로는 면, 모, 폴리에스터를 이용하여 직물 조성이 다른 소재를 제직하여 연속처리 공정에서 소재와 조성에 따른 구김 및 신축성에 미치는 처리온도와 시간의 영향을 고찰하였다. 상업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이지케어 성능을 가진 실크 교직물에 대한 기초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속 염축 가공이 실크 교직물의 스트레치성과 방추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스트레치성과 방추성이 증진되고, 세탁수축율 및 세탁견뢰도가 개선된 결과를 얻었고, 스텐실 장치를 사용하여 균일한 표면을 가진 가공이 가능하였다. 이를 통하여 실크 교직물의 실용성 향상을 통한 수요확대 및 염축 가공공정의 생산성 향상을 위하여 지속적이 추가 연구가 이루어졌으면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problems of previous studies on salt shrinkage processing. To improve the easy-care performance of silk fabrics, they wanted to develop a continuous process that could be commercially utilized. A continuous processing unit made of stainless steel was used to solve the problem of durability due to corrosion of equipment. The stencil unit was then installed to address the problem of dealing with imbalances caused by the tension and fabric applied to the fabric rising to the surface of the processed solution. Textile materials were produced using cotton, wool, and polyester for different materials. The effect of treatment temperature and time on wrinkle recovery and stretch in the continuous processing process was considered. It was intende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on silk fabrics with a commercial easy-care performance. We examined the effects of continuous salt shrinkage processing on the stretch and wrinkle recovery of silk union fabrics. The results were improved in stretch and wrinkle recovery and improved shrinkage of washing and washing fastness. It is hoped that further studies are conducted to increase demand by improving the practicality of silk fabrics and to enhance productivity of the salt shrinkage process.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시료 및 시약
2. 실험방법
Ⅲ. 결과 및 고찰
1. 실크직물의 최적 조건 검토
2. 연속처리장치
3. 방추도와 스트레치
4. 치수변화율 및 세탁견뢰도
Ⅳ.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00 년대 이후 하이브리드 환경조형물의 유형 분석 연구
- 이강효의 《분청 퍼포먼스》에 관한 연구
- 1 인가구 맞춤형 IoT 융합 의자 디자인에 관한 연구
- 삶과 죽음의 모티브의 조형화 사례 연구
- 마이스터 요제프 알버스가 현대 건축유리 발전에 끼친 영향
- 앙리 베르그송의 기억 해석 이론을 바탕으로 한 루이스 부르주아의 조형 표현 연구
- 업사이클링 사례분석을 통한 리디자인 지도방안연구
- 디지털 기술을 응용한 융복합 오브제 디자인 연구
- 백동 여성수식(女性首飾) 제작방법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미술교과 내 공예교육의 흐름 연구
- 조선후기 칠궁과 내부 의장물 비교 연구
- A Study on the Formation Process of Chinese Logo Design by the Influence of Reform and Opening Policy
- 석고주형 진공주조법을 활용한 기물 제작 사례 연구
- 중국 전통 문화를 바탕으로 한 애니메이션 캐릭터 디자인 연구
- 실크 교직물의 이지케어 성능 향상 연구
- 도자브랜드의 아트 콜라보레이션 경향 연구
- 자넷 에힐만의 기류 조각에 나타난 융합공예적 특성 연구
- 비푸 스리빌라사(Vipoo Srivilasa)의 작품에 관한 연구
- 예술의 창의적 사고에 기반 한 그래픽 디자인의 창작과정 연구
- 실리콘 고무의 물리적 특성을 바탕으로 한 심미적 가능성 연구 및 작가 분석
- 조형디자인연구 제 21집 4권 목차
- 애니메이션 캐릭터에 나타난 민족성의 차이
- 혼합 현실 기술을 활용한 무형 문화유산의 디지털 보호에 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