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Based on the Creative Thinking of Art A Study on the Creative Process of Graphic Design
- 발행기관
- 한국조형디자인학회
- 저자명
- 황윤정(Hwang, Youn-jung)
- 간행물 정보
- 『조형디자인연구』조형디자인연구 제21집 4권, 319~331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2.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20세기 후반에 이르러 디자인은 예술분야와 융합하며 새로운 디자인 담론을 형성하기 시작했다. 디자이너는 작가주의를 표방하며 제품을 넘어서 디자인과 순수미술 사이에 있던 구분을 통합시켰으며 효율적인 제품을 만드는 역할에서 벗어나 개념과 과정까지도 디자인에 포함시키며 디자이너의 새로운 역할을 제안했다. 그리고 20세기 후반 포스트모더니즘이 그래픽디자인에 영향을 끼치며 그래픽디자인 역시 예술과 결합하기 시작했다. 그래픽 디자이너는 ‘저자성’ 개념을 기반으로 상업적 기능에서 벗어나 스스로의 자의식을 표현하였고 예술과 디자인을 구분 지으려는 시도를 거부하며 기존의 전통적인 디자인 개념에 의문을 제기했다. 이러한 표현주의적 경향은 디자이너의 영역을 확장시키고 디자인 담론을 형성한다는 점에서 유의미하다. 그러나 현재 그래픽디자인의 예술적 표현에 대한 연구는 디자이너 개별연구와 해석에 대한 연구만 진행되어 있을 뿐, 예술적 표현의 구체적 과정이나 체계적 방법에 대한 연구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현대 디자이너들이 디자인의 예술적 표현을 시도하는데 있어 한계를 지닌다. 이에 연구자는 예술분야에서 연구한 창작과정이론을 통해 표현적 디자인의 창작과정을 구체적으로 수립하고 향후 디자인작업을 행할 때 중요한 이론적 전거로 활용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By the end of the 20th century, designs began to converge with art and form new design discourse. Designers under the pretext of writerism combined distinctions between design and pure art, and suggested the role of a new designer by incorporating concepts, systems, and processes into the design, away from creating efficient products. And postmodernism influenced graphic design in the late 20th century and graphic design began to combine with art. Graphic designers expressed their self-consciousness away from commercial functions based on the concept of autonomy , and questioned the traditional design concept, refusing to attempt to distinguish art from design. This tendency toward expressionism in graphic design is very significant in that it expands the domain of designers and forms new design discourse.
Currently, however, there is no study on specific processes or systematic methods of artistic expression, with only designer individual studies and analytical possibilities being conducted.
Therefore, modern designers have limitations in trying to express the art of design. Therefore, researchers want to establish a concrete process for creating expressive designs through creative process theory that has been studied in the art field and use it as an important theoretical precursor for conducting design tasks in the future.
목차
Ⅰ. 서 론
1. 연구배경과 목적
2. 연구대상과 연구방법
Ⅱ. 그래픽 디자인의 예술적 표현방법
1. 그래픽 디자인과 예술의 담론
2. 그래픽 디자인의 예술적 표현
3. 표현적 그래픽디자인의 연구현황
Ⅲ. 예술의 창의적 사고에 기반한 그래픽 디자인의 창작과정
1. 예술의 창의적 사고 및 창작과정
2. 예술의 창의적 사고모형에 기반한 그래픽 디자인 창작과정
Ⅳ. 결 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00 년대 이후 하이브리드 환경조형물의 유형 분석 연구
- 이강효의 《분청 퍼포먼스》에 관한 연구
- 1 인가구 맞춤형 IoT 융합 의자 디자인에 관한 연구
- 삶과 죽음의 모티브의 조형화 사례 연구
- 마이스터 요제프 알버스가 현대 건축유리 발전에 끼친 영향
- 앙리 베르그송의 기억 해석 이론을 바탕으로 한 루이스 부르주아의 조형 표현 연구
- 업사이클링 사례분석을 통한 리디자인 지도방안연구
- 디지털 기술을 응용한 융복합 오브제 디자인 연구
- 백동 여성수식(女性首飾) 제작방법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미술교과 내 공예교육의 흐름 연구
- 조선후기 칠궁과 내부 의장물 비교 연구
- A Study on the Formation Process of Chinese Logo Design by the Influence of Reform and Opening Policy
- 석고주형 진공주조법을 활용한 기물 제작 사례 연구
- 중국 전통 문화를 바탕으로 한 애니메이션 캐릭터 디자인 연구
- 실크 교직물의 이지케어 성능 향상 연구
- 도자브랜드의 아트 콜라보레이션 경향 연구
- 자넷 에힐만의 기류 조각에 나타난 융합공예적 특성 연구
- 비푸 스리빌라사(Vipoo Srivilasa)의 작품에 관한 연구
- 예술의 창의적 사고에 기반 한 그래픽 디자인의 창작과정 연구
- 실리콘 고무의 물리적 특성을 바탕으로 한 심미적 가능성 연구 및 작가 분석
- 조형디자인연구 제 21집 4권 목차
- 애니메이션 캐릭터에 나타난 민족성의 차이
- 혼합 현실 기술을 활용한 무형 문화유산의 디지털 보호에 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