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교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미술교과 내 공예교육의 흐름 연구
이용수 259
- 영문명
- A Study on the Flow of Craft Education in Art Subject by the Changes of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 발행기관
- 한국조형디자인학회
- 저자명
- 강정현(Kang, Jung-hyun)
- 간행물 정보
- 『조형디자인연구』조형디자인연구 제21집 4권, 31~5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2.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 초등학교 공교육의 흐름 속에서 공예교육의 특성을 고찰하고 분석한다. 교과교육 중심으로 진행된 우리나라 공교육에서 공예교육은 별도의 교과가 아니라 주로 미술교과에 포함되어 교육되어져 왔다. 처음에는 미술의 영역이 아니라 직업교육의 성격을 가진 ‘수공’이라는 별도의 교과로 출발하였으며, 이후 미술 영역에 진입하였으나 내용면에서 기계·기구의 조정과 분해 및 수리를 지향하는 등 정체성의 혼란을 겪으며 ‘공작’이라는 명칭으로 불리었다. 국가와 교육부의 주도로 교육과정이 시작되면서 1, 2차 교육과정에서의 공예교육은 조형적인 입체 활동 전반을 아우르는 종합적인 ‘만들기’로, 3~6차 교육과정에서는 장르로서의 ‘공예’로, 그리고 7차 교육과정 이후 현재까지 ‘탈장르와 통합교육 위한 역할’로 변화되어 왔다.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인식이 더 중요해지고 있는 현 시점 1) 에, 시기별로 다른 특성을 보여준 공예교육의 발자취를 쫒는 것은 향후 공예교육의 방향성을 설정하는 데 밑거름이 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and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craft education in the current of the public elementary school education. In the public education practiced focusing on subjects, Korean craft education has been taught mainly as a part of art subject, not a independent subject. It started as a different subject from art, ‘hand-craft’, which overlapped in many ways with vocational education. Though craft education entered to art area late, it was called ‘handiwork’ with an identity crisis e.g. to pursue adjusting and mending of machines and devices. After government and the Educational Department had a lead of the implementing of educational courses, craft education has acted in different as from the comprehensive ‘making’ encompassing various formative 3-dimensional activities in the 1st and 2nd educational courses, to the specialized area of ‘craft’ in 3-6th educational courses, to the mean of post-genre and comprehensive education since 7th educational course. In times when the importance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have been enforced, to track down the steps of craft education revealing different characteristics by era can be fundamentals to decide the direction of the future craft education.
목차
Ⅰ. 서 론
1. 연구 배경과 목적
2. 연구 범위와 방법
Ⅱ. 초등 미술교과 내 공예교육의 흐름
1. ‘교육과정’ 이전
2. 미술교과 ‘교육과정’
Ⅲ. 공예교육 비교분석
1. 공예교육 흐름 분석
2. 공예교육별 특성 분석 3. 공예교육 시사점
Ⅳ. 결 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00 년대 이후 하이브리드 환경조형물의 유형 분석 연구
- 이강효의 《분청 퍼포먼스》에 관한 연구
- 1 인가구 맞춤형 IoT 융합 의자 디자인에 관한 연구
- 삶과 죽음의 모티브의 조형화 사례 연구
- 마이스터 요제프 알버스가 현대 건축유리 발전에 끼친 영향
- 앙리 베르그송의 기억 해석 이론을 바탕으로 한 루이스 부르주아의 조형 표현 연구
- 업사이클링 사례분석을 통한 리디자인 지도방안연구
- 디지털 기술을 응용한 융복합 오브제 디자인 연구
- 백동 여성수식(女性首飾) 제작방법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미술교과 내 공예교육의 흐름 연구
- 조선후기 칠궁과 내부 의장물 비교 연구
- A Study on the Formation Process of Chinese Logo Design by the Influence of Reform and Opening Policy
- 석고주형 진공주조법을 활용한 기물 제작 사례 연구
- 중국 전통 문화를 바탕으로 한 애니메이션 캐릭터 디자인 연구
- 실크 교직물의 이지케어 성능 향상 연구
- 도자브랜드의 아트 콜라보레이션 경향 연구
- 자넷 에힐만의 기류 조각에 나타난 융합공예적 특성 연구
- 비푸 스리빌라사(Vipoo Srivilasa)의 작품에 관한 연구
- 예술의 창의적 사고에 기반 한 그래픽 디자인의 창작과정 연구
- 실리콘 고무의 물리적 특성을 바탕으로 한 심미적 가능성 연구 및 작가 분석
- 조형디자인연구 제 21집 4권 목차
- 애니메이션 캐릭터에 나타난 민족성의 차이
- 혼합 현실 기술을 활용한 무형 문화유산의 디지털 보호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BEST
더보기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고전 회화기법을 활용한 미술대학 서양화 실기 교과 연구 - 템페라 기법 적용사례를 중심으로
- T. J. 디모스와 창의적 생태 센터의 활동 - 기후변화 시대 시각예술의 연구, 교육, 큐레토리얼 실천
- 고교학점제에서의 진로 탐색 미술 활동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공동 주체성(co-agency)의 가능성과 한계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