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넷 에힐만의 기류 조각에 나타난 융합공예적 특성 연구
이용수 308
- 영문명
- A Study on Convergence Craft Characteristics In Janet Echelman s Stream Sculpture
- 발행기관
- 한국조형디자인학회
- 저자명
- 박성림(Park, Sung-rim)
- 간행물 정보
- 『조형디자인연구』조형디자인연구 제21집 4권, 127~142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2.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은 첨단 디지털 시대에 자넷 에힐만(Janet Echelman)의 기류 조각에 나타난 융합공예의 확장적 가치를 분석한 것이다. 아날로그 감성이 가득한 공예가 첨단 디지털 기술과의 융합으로 나타나는 특징과 이것이 미치는 사회적 영향력을 살펴보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시대의 화두인 첨단 디지털 기술과 융합한 공예는 다양한 사회적 역할 제안과 미학적 담론들을 제시하며 공예의 부흥기를 이끌고 있다. 첨단 과학이 제공한 인류의 감성 상실 현상이 가증(加增)된 현시대에, 여러 분야와의 다양한 융합의 시도를 통해 우리의 감성을 치유하고 견고했던 전통성의 경계를 무너뜨리며 공예의 대중화·보편화에 기여했기 때문이다. 이와 연관하여 미국의 기류 조각가 자넷 에힐만이 시도한 전통공예 기법과 첨단 디지털 기술의 융합 과정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스튜디오 에힐만에서 이루어지는 전통성과 혁신성의 융합 그리고 이 과정에서 요구되는 협업의 중요성을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첨단 디지털 기술의 메커니즘(Mechanism)적인 효율성을 적극 활용하여 창작자의 예술 철학을 전통공예의 기법으로 구현한 새로운 시각 예술의 형태를 살펴본 것에 연구의 의의를 두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이 논문이 창작자들에게 융합공예를 통해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역할을 살펴봄에 있어 포괄적인 개관(槪觀)이 되길 바라본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expansive values of convergence craft in the stream sculptures of Janet Echelman in the advanced digital generation. The main objective is to emphasize social impacts brought by the convergence of analog craftswork and digital technology.
The convergence of sophisticated digital technology and craftswork has become a generational controversy and suggests various social roles and artistic debates, leading to its period of revival. In the current era where people’s emotional lack has been increased due to science, such convergence succeeded to break between the lines of tradition which healed human’s emotions and led to its popularization and generalization. In this connection, this study analyzes the process of convergence between traditional craft techniques and advanced digital technologies that America’s stream sculptor Janet Echelman tried. This is expected to discover new traits of convergence craft along with the importance of collaboration between the past and the future, tradition and innovation, which happened in Studio Echelma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orm of new visual art which embodies the artistic philosophy of the creator as a technique of traditional craft by making full use of the mechanism efficiency of advanced digital technology. Finally, it hopes to become a comprehensive overview of how creators can contribute to society through convergence craft.
목차
Ⅰ. 서 론
1. 연구 목적
2. 연구 방법
Ⅱ. 융합공예의 확장적 가치
Ⅲ. 전통과 혁신의 융합, 자넷 에힐만의 작품 세계
1. 전통공예 기법의 발견
2. 스튜디오 에힐만(Studio Echelman)의 역할
Ⅳ.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00 년대 이후 하이브리드 환경조형물의 유형 분석 연구
- 이강효의 《분청 퍼포먼스》에 관한 연구
- 1 인가구 맞춤형 IoT 융합 의자 디자인에 관한 연구
- 삶과 죽음의 모티브의 조형화 사례 연구
- 마이스터 요제프 알버스가 현대 건축유리 발전에 끼친 영향
- 앙리 베르그송의 기억 해석 이론을 바탕으로 한 루이스 부르주아의 조형 표현 연구
- 업사이클링 사례분석을 통한 리디자인 지도방안연구
- 디지털 기술을 응용한 융복합 오브제 디자인 연구
- 백동 여성수식(女性首飾) 제작방법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미술교과 내 공예교육의 흐름 연구
- 조선후기 칠궁과 내부 의장물 비교 연구
- A Study on the Formation Process of Chinese Logo Design by the Influence of Reform and Opening Policy
- 석고주형 진공주조법을 활용한 기물 제작 사례 연구
- 중국 전통 문화를 바탕으로 한 애니메이션 캐릭터 디자인 연구
- 실크 교직물의 이지케어 성능 향상 연구
- 도자브랜드의 아트 콜라보레이션 경향 연구
- 자넷 에힐만의 기류 조각에 나타난 융합공예적 특성 연구
- 비푸 스리빌라사(Vipoo Srivilasa)의 작품에 관한 연구
- 예술의 창의적 사고에 기반 한 그래픽 디자인의 창작과정 연구
- 실리콘 고무의 물리적 특성을 바탕으로 한 심미적 가능성 연구 및 작가 분석
- 조형디자인연구 제 21집 4권 목차
- 애니메이션 캐릭터에 나타난 민족성의 차이
- 혼합 현실 기술을 활용한 무형 문화유산의 디지털 보호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BEST
더보기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고전 회화기법을 활용한 미술대학 서양화 실기 교과 연구 - 템페라 기법 적용사례를 중심으로
- T. J. 디모스와 창의적 생태 센터의 활동 - 기후변화 시대 시각예술의 연구, 교육, 큐레토리얼 실천
- 고교학점제에서의 진로 탐색 미술 활동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공동 주체성(co-agency)의 가능성과 한계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