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삶과 죽음의 모티브의 조형화 사례 연구
이용수 556
- 영문명
- A Case Study on the Formation of Life and Death Motif - Focused on Artworks of BIll Viola -
- 발행기관
- 한국조형디자인학회
- 저자명
- 신지혜(Shin, Ji-hye)
- 간행물 정보
- 『조형디자인연구』조형디자인연구 제21집 4권, 143~161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2.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시대에 따라 삶과 죽음에 관한 연구는 생물학적 입장만이 아닌 사회적으로 종교, 문학, 그리고 예술 등 여러 분야에서 다양하게 진행되어왔다. 그 중 예술작품에서 다루는 죽음은 삶과의 연관성 속에서만 묘사하거나 그에 대한 사유나 타인의 죽음을 경험한 바에 따라 사실적으로 기록하기도 하고 은유와 상징 등으로 변용된 이미지로 표현되어왔다.
본 논문은 삶과 죽음의 순환관계를 시공간적 이미지로 구현해온 비올라의 비디오 작업을 통해 첨단 과학과 의학의 발달에 따라 수명연장이 가속화되는 현대에서는 삶과 죽음이라는 모티브를 어떠한 방식으로 조형화하고 있는지를 고찰하였다. 우선 예술에 나타난 삶과 죽음의 모티브가 비단 한 작가의 주제가 아닌 예술에 나타나는 보편적 모티브임을 전제하기 위해 문학과 현대미술에서 다뤄진 삶과 죽음에 다양한 접근방식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다음과 같은 순서를 따라 비올라의 작업을 논의하였다. 먼저 서구인으로서 현대매체인 비디오를 이용하면서도 동양의 불교를 비롯한 다양한 종교로부터 기독교까지 아우르는 비올라의 사상적 배경을 알아보았다. 이것은 비올라 작업의 몇 가지 핵심 요소들을 파악하고 생사관의 표출로 나타나는 방식을 이해하기 위해 필수적인 기초 단계로 사료되었다. 따라서 우선 몇 작품의 예시를 통해 그 내용을 알아본 뒤에 사상적 배경을 역 추적하는 방식으로 기술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 비디오라는 매체가 갖는 시공간적 무한성을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물과 불이라는 자연 요소를 이용하여 생사의 순환 고리를 표현하는 그의 작업의 의미를 규명함으로써 비올라가 삶과 죽음에 대한 사유와 믿음을 어떤 입장과 세계관을 통해 작업에 표출하는지 고찰해 보았다.
영문 초록
Studies on life and death have been carried out in various fields such as religion, literature, and arts, not only biological aspects. Deaths dealt with in works of art have been expressed in images that have been recorded realistically, metaphorically, and symbolically as they have been depicted only in relation to life, experiences of them, and deaths of others.
In this paper, we examine how Viola s video work, which has embodied the cyclical relationship between life and death, shapes the motives of life and death in the modern age where life extension is accelerated by the development of advanced science and medicine. I first examined various approaches to life and death in literature and contemporary art in order to presume that the motif of life and death in art is a universal motif that appears in art rather than the subject of a certain one.
Then I discussed the work of the viola in the following order. First, I examined how he used a modern medium video with the ideological background that came from various religions including Christianity to Asian Buddhism. This was considered an essential step to understand some of the key elements of the viola work and to understand the way in which it appears as an expression of life and death. Therefore, I first described some of the works through an example, and then described the method of backtracking the ideological background. And through them, I investigate how video media has its temporal infinity.
Finally, by examining the meaning of his work expressing the circulation loop of life and death by using the natural elements of water and fire, I examined how Viola expresses the thoughts and beliefs about life and death through his work and world view.
목차
Ⅰ. 서 론
1. 연구목적
2. 연구내용
Ⅱ. 예술에 드러난 삶과 죽음의 모티브
1. 문학에 드러난 삶과 죽음
2. 현대미술 속의 삶과 죽음
Ⅲ. 빌 비올라 작업에 나타난 삶과 죽음의 모티브
1. 시대적, 종교적 배경
2. 비디오의 시공간성과 무한성
3. 물과 불로 나타낸 창조와 파괴
Ⅳ.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00 년대 이후 하이브리드 환경조형물의 유형 분석 연구
- 이강효의 《분청 퍼포먼스》에 관한 연구
- 1 인가구 맞춤형 IoT 융합 의자 디자인에 관한 연구
- 삶과 죽음의 모티브의 조형화 사례 연구
- 마이스터 요제프 알버스가 현대 건축유리 발전에 끼친 영향
- 앙리 베르그송의 기억 해석 이론을 바탕으로 한 루이스 부르주아의 조형 표현 연구
- 업사이클링 사례분석을 통한 리디자인 지도방안연구
- 디지털 기술을 응용한 융복합 오브제 디자인 연구
- 백동 여성수식(女性首飾) 제작방법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미술교과 내 공예교육의 흐름 연구
- 조선후기 칠궁과 내부 의장물 비교 연구
- A Study on the Formation Process of Chinese Logo Design by the Influence of Reform and Opening Policy
- 석고주형 진공주조법을 활용한 기물 제작 사례 연구
- 중국 전통 문화를 바탕으로 한 애니메이션 캐릭터 디자인 연구
- 실크 교직물의 이지케어 성능 향상 연구
- 도자브랜드의 아트 콜라보레이션 경향 연구
- 자넷 에힐만의 기류 조각에 나타난 융합공예적 특성 연구
- 비푸 스리빌라사(Vipoo Srivilasa)의 작품에 관한 연구
- 예술의 창의적 사고에 기반 한 그래픽 디자인의 창작과정 연구
- 실리콘 고무의 물리적 특성을 바탕으로 한 심미적 가능성 연구 및 작가 분석
- 조형디자인연구 제 21집 4권 목차
- 애니메이션 캐릭터에 나타난 민족성의 차이
- 혼합 현실 기술을 활용한 무형 문화유산의 디지털 보호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BEST
더보기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고전 회화기법을 활용한 미술대학 서양화 실기 교과 연구 - 템페라 기법 적용사례를 중심으로
- T. J. 디모스와 창의적 생태 센터의 활동 - 기후변화 시대 시각예술의 연구, 교육, 큐레토리얼 실천
- 고교학점제에서의 진로 탐색 미술 활동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공동 주체성(co-agency)의 가능성과 한계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