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앙리 베르그송의 기억 해석 이론을 바탕으로 한 루이스 부르주아의 조형 표현 연구
이용수 843
- 영문명
- A Study on the Representation of Memory Reproduction of Louise Bourgeois based on the Memory Analysis Theory of Henri Bergson
- 발행기관
- 한국조형디자인학회
- 저자명
- 김현진(Kim, Hyun-jin) 조윤진(Cho, Yun-jin) 최주현(Choi, Ju-hyun)
- 간행물 정보
- 『조형디자인연구』조형디자인연구 제21집 4권, 67~85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2.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앙리 베르그송(Henri Bergson, 1859~1941)은 기억을 정신의 본질이라 보았다. 그는 의식이 곧 기억이며, 연속되는 흐름으로 우리 경험의 전체를 의미하므로 의식상태의 지속이 곧 기억이라고 설명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루이스 부르주아(Louise Bourgeois, 1911~2010)의 작품을 분석하고 그녀의 과거에 대한 기억이 작품 속에서 어떻게 시각화 되고 표현되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기억에 대한 개념의 해석은 앙리 베르그송의 저서『물질과 기억』에서 제시한 개념을 바탕으로 고찰하였다.
첫째, 앙리 베르그송의 기억 개념을 통해 과거의 기억이 현재까지 이어져 서로 긴밀하게 미치는 상호적 관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둘째, 베르그송의 기억 개념 본질에 대해 구체적으로 고찰하였다.
셋째, 기억에 대한 오브제를 작품으로 시각화한 루이스 부르주아의 조형작품을 통해 앙리 베르그송의 기억이론을 재해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19세기 앙리 베르그송의 기억해석 이론과 현대 섬유미술의 대표주자인 루이스 부르주아의 오브제 작품 간의 연결 고리를 살펴봄으로써, 향후 다양하고 깊이 있게 표현된 시각적 작품들이 여러 철학이론으로 해석되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Henri Bergson(1859~1941) regarded memory as the essence of the mind. He explained that consciousness is a memory, and that memory represents the whole of our experience in a continuous stream, so the continuation of consciousness is a memo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Louise Bourgeois s work and learn how her past memories are visualized and expressed in her work. The interpretation of the concept of memory was based on the concepts presented by Henri Bergson s book, Material and Memory.
First, through the memory concepts of Henri Bergson, we looked at the mutual relationship in which memories of the past have continued to date and become close to each other.
Second, we specifically discussed the nature of the memory concept of Bergson. Third, I tried to reinterpret the memory theory of Henri Bergson through Louise Bourgeois sculpture, which visualized the memory object as a work.
Through this study, we hope that many philosophy theories will be expressed as diverse and deep visual works by examining the theory of memory analysis by Henri Bergson in the 19th century and the connection between works by Louise Bourgeois, the representative of contemporary textile art.
목차
Ⅰ. 서론
Ⅱ. 베르그송의 기억 개념
1. 과거와 현재
2. 기억의 본질
Ⅲ. 루이스 부르주아의 작품에 표현된 기억과 조형표현
1. 루이스 부르주아의 배경
2. 루이스 부르주아의 작품 분석
Ⅳ. 결론
⃞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00 년대 이후 하이브리드 환경조형물의 유형 분석 연구
- 이강효의 《분청 퍼포먼스》에 관한 연구
- 1 인가구 맞춤형 IoT 융합 의자 디자인에 관한 연구
- 삶과 죽음의 모티브의 조형화 사례 연구
- 마이스터 요제프 알버스가 현대 건축유리 발전에 끼친 영향
- 앙리 베르그송의 기억 해석 이론을 바탕으로 한 루이스 부르주아의 조형 표현 연구
- 업사이클링 사례분석을 통한 리디자인 지도방안연구
- 디지털 기술을 응용한 융복합 오브제 디자인 연구
- 백동 여성수식(女性首飾) 제작방법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미술교과 내 공예교육의 흐름 연구
- 조선후기 칠궁과 내부 의장물 비교 연구
- A Study on the Formation Process of Chinese Logo Design by the Influence of Reform and Opening Policy
- 석고주형 진공주조법을 활용한 기물 제작 사례 연구
- 중국 전통 문화를 바탕으로 한 애니메이션 캐릭터 디자인 연구
- 실크 교직물의 이지케어 성능 향상 연구
- 도자브랜드의 아트 콜라보레이션 경향 연구
- 자넷 에힐만의 기류 조각에 나타난 융합공예적 특성 연구
- 비푸 스리빌라사(Vipoo Srivilasa)의 작품에 관한 연구
- 예술의 창의적 사고에 기반 한 그래픽 디자인의 창작과정 연구
- 실리콘 고무의 물리적 특성을 바탕으로 한 심미적 가능성 연구 및 작가 분석
- 조형디자인연구 제 21집 4권 목차
- 애니메이션 캐릭터에 나타난 민족성의 차이
- 혼합 현실 기술을 활용한 무형 문화유산의 디지털 보호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BEST
더보기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A Data-Driven Study on Spatial Network of Learning Facilities in Urban Areas : Focusing on Centrality and Educational Disparity
- AI 기반 이미지 생성 기술이 디자인 창작과정에 미치는 영향 - 모션그래픽(Motion graphics) 디자인을 중심으로
- AI 기반 감성적 사운드 디자인 연구 - 감성 데이터와 AI 학습 모델의 융합 가능성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