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esearch on Digital Protec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by Using Mixed Reality Technology
- 발행기관
- 한국조형디자인학회
- 저자명
- 부 요(Fu, yao) 안혜신(Ahn, Hye-shin)
- 간행물 정보
- 『조형디자인연구』조형디자인연구 제21집 4권, 349~365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2.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디지털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뉴미디어 시대의 디지털 기술 발전은 문화유산의 변화를 촉진했으며 무형 문화 유산(Intangible Cultural Heritage)의 합리적인 개발, 사용 및 보호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즉 무형 문화 유산의 효과적인 보호와 보급에 현대 과학적 및 기술적 수단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특히 중요하다.
본 논문은 무형 문화유산의 디지털 보호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혼합 현실 기술을 이용한 무형 문화유산의 디지털 개발에 대해 논의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디지털 보호와 무형 문화 유산의 확산을 위한 혼합 현실 기술의 장점에 대해 살펴보고 혼합 현실 기술을 활용한 무형 문화유산 보급 및 확산의 가능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를 통해 혼합 현실 기술에 대한 개념과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국내외 무형 문화유산의 혼합 현실 기술 적용 현황을 사례 연구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분석을 바탕으로 연구 결과에서는 혼합 현실 기술을 활용한 무형 문화유산 보급의 특징과 장점에 대해 논의하고, 혼합 현실 기술을 활용한 무형 문화유산 보급의 가능성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혼합 현실 기술에 기반한 무형 문화 유산의 디지털 보호는 다양한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혼합 현실 기술과 무형 문화 유산의 적절한 조합은 효과적으로 문화 보급을 촉진하고 문화 경험의 의미를 고양하며 문화의 부가가치를 높이고 더 많은 사람들이 무형 문화 유산의 보호와 유산에 참여하도록 한다.
영문 초록
The rapid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has prompted changes in cultural heritage in the new media era. Also it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rational development, use, and protec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other words, it is particularly important to use modern scientific and technical means effectively to effectively protect and distribut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This paper analyzes the status and problems of digital protection of intangible cultural assets and discusses digital development of intangible cultural assets using mixed reality technologies. Also it purports to analyze the advantages of mixed reality technologies for digital protection and the spread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the possibility of dissemination and diffusion of intangible cultural assets using mixed reality technologies.
Fot that, through literatur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mixed reality technologies are reviewed and the status of application of mixed reality technologies of intangible cultural assets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as case study a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study, characteristics and advantages of the dissemination of intangible cultural assets using mixed real-world technologies, based on the result of analysis, are shown and the possibility of disseminating intangible cultural assets using mixed real-world technologies are suggested.
목차
Ⅰ. 서론
1. 연구배경 및 목적
2. 연구 방법 및 범위
Ⅱ. 혼합 현실 기술과 무형 문화유산
1. 혼합 현실 기술의 개념
2. 혼합 현실 기술의 특징
3. 혼합 현실 시스템의 구성
Ⅲ. 국내외 무형 문화유산의 혼합 현실 기술 적용
1. 해외 무형 문화유산의 디지털 보호 현황
2. 국내 무형 문화유산의 디지털 보호 현황
Ⅳ. 혼합 현실 기술 기반의 무형 문화유산 보급
1. 혼합 현실 기술을 활용한 무형 문화유산 보급의 특징
2. 혼합 현실 기술을 활용한 무형 문화유산 보급의 가능성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00 년대 이후 하이브리드 환경조형물의 유형 분석 연구
- 이강효의 《분청 퍼포먼스》에 관한 연구
- 1 인가구 맞춤형 IoT 융합 의자 디자인에 관한 연구
- 삶과 죽음의 모티브의 조형화 사례 연구
- 마이스터 요제프 알버스가 현대 건축유리 발전에 끼친 영향
- 앙리 베르그송의 기억 해석 이론을 바탕으로 한 루이스 부르주아의 조형 표현 연구
- 업사이클링 사례분석을 통한 리디자인 지도방안연구
- 디지털 기술을 응용한 융복합 오브제 디자인 연구
- 백동 여성수식(女性首飾) 제작방법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미술교과 내 공예교육의 흐름 연구
- 조선후기 칠궁과 내부 의장물 비교 연구
- A Study on the Formation Process of Chinese Logo Design by the Influence of Reform and Opening Policy
- 석고주형 진공주조법을 활용한 기물 제작 사례 연구
- 중국 전통 문화를 바탕으로 한 애니메이션 캐릭터 디자인 연구
- 실크 교직물의 이지케어 성능 향상 연구
- 도자브랜드의 아트 콜라보레이션 경향 연구
- 자넷 에힐만의 기류 조각에 나타난 융합공예적 특성 연구
- 비푸 스리빌라사(Vipoo Srivilasa)의 작품에 관한 연구
- 예술의 창의적 사고에 기반 한 그래픽 디자인의 창작과정 연구
- 실리콘 고무의 물리적 특성을 바탕으로 한 심미적 가능성 연구 및 작가 분석
- 조형디자인연구 제 21집 4권 목차
- 애니메이션 캐릭터에 나타난 민족성의 차이
- 혼합 현실 기술을 활용한 무형 문화유산의 디지털 보호에 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