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후기 칠궁과 내부 의장물 비교 연구

이용수 264

영문명
A Comparative Study of Chilgung(the seven shrine) and the Ceremonial Objects in the Latter Part of Joseon
발행기관
한국조형디자인학회
저자명
박금진(Park, Geum-jin)
간행물 정보
『조형디자인연구』조형디자인연구 제21집 4권, 111~126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12.30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칠궁 영역은 영조 사친 숙빈 최씨룰 모시는 육상궁이었으나 여섯 분이 합사되면서 불러진 명칭이다. 조선 왕실은 종묘에 예를 올리는 것을 가장 중요하게 여겼다. 선대를 향사하는 것은 예를 행하는 것이지만 자신의 종통 계승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후궁 출생 왕들은 궁원제에 의해 생모를 불천위 향사 하였다. 칠궁은 종묘 다음으로 중요한 조선 왕실문화로 공간 구성에 변화가 있었다. 정당은 정면 3칸에 3~4단의 장대석 기단을 갖춘 맞배지붕이고, 화려한 단청을 장식한 것이 특징이다. 정당 내부는 신주가 모셔진 감실이 자리한다. 감실은 문양을 투각 기법으로 새겨 육상궁, 저경궁, 대빈궁은 단청을 장식하였고 선희궁과 덕안궁은 주칠만 되어 있는 것으로 구별된다. 이처럼 단청을 장식한 사당과 감실은 장엄하면서도 여성이 모셔진 곳임을 암시했다고 볼 수 있다.

영문 초록

Chilgung(the seven shrines) is the name addressing the Yuksang-gung that enshrines the birth mother of King Youngjo, the Consort Choi-ssi after the six other female royal family members were enshrined together. The royal family observed respecting the Jongmyo with the utmost importance. Though performing the ancestral worship rituals were not only for observing respects but showing the lineage of the main family. In that regard, the Kings birthed by Consorts performed the specified and consistent worship rituals to their biological mothers through Gungwon ceremony. Chilgung is an important Joseon royal family culture next to Jongmyo and has changed its formation construction. The main building is of a three-room facade and gable roof with three to four levels of long pedestal stone platform and has brilliant multi-color paintings, which is distinctive. The shrine resides inside the main building, and each of the shrines is distinguished by the painted colors where Yuksang-gung, Jeokyung-gung and Daebin-gung are painted with the Danchung (red and green, multicolor paintings) whereas Seonhee-gung and Deokan-gung only with the Juchil. These colors are painted over the drilled carvings of various patterns. As such, the brilliantly colored shrines express both the magnificence and femininity.

목차

Ⅰ. 머리말
Ⅱ. 육상궁의 칠궁으로 공간 변화과정
Ⅲ. 칠궁 건물 배치와 내부 의장물 비교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금진(Park, Geum-jin). (2018).조선후기 칠궁과 내부 의장물 비교 연구. 조형디자인연구, 21 (4), 111-126

MLA

박금진(Park, Geum-jin). "조선후기 칠궁과 내부 의장물 비교 연구." 조형디자인연구, 21.4(2018): 111-12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