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omparative Study of Chilgung(the seven shrine) and the Ceremonial Objects in the Latter Part of Joseon
- 발행기관
- 한국조형디자인학회
- 저자명
- 박금진(Park, Geum-jin)
- 간행물 정보
- 『조형디자인연구』조형디자인연구 제21집 4권, 111~126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2.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칠궁 영역은 영조 사친 숙빈 최씨룰 모시는 육상궁이었으나 여섯 분이 합사되면서 불러진 명칭이다. 조선 왕실은 종묘에 예를 올리는 것을 가장 중요하게 여겼다. 선대를 향사하는 것은 예를 행하는 것이지만 자신의 종통 계승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후궁 출생 왕들은 궁원제에 의해 생모를 불천위 향사 하였다.
칠궁은 종묘 다음으로 중요한 조선 왕실문화로 공간 구성에 변화가 있었다. 정당은 정면 3칸에 3~4단의 장대석 기단을 갖춘 맞배지붕이고, 화려한 단청을 장식한 것이 특징이다.
정당 내부는 신주가 모셔진 감실이 자리한다. 감실은 문양을 투각 기법으로 새겨 육상궁, 저경궁, 대빈궁은 단청을 장식하였고 선희궁과 덕안궁은 주칠만 되어 있는 것으로 구별된다. 이처럼 단청을 장식한 사당과 감실은 장엄하면서도 여성이 모셔진 곳임을 암시했다고 볼 수 있다.
영문 초록
Chilgung(the seven shrines) is the name addressing the Yuksang-gung that enshrines the birth mother of King Youngjo, the Consort Choi-ssi after the six other female royal family members were enshrined together. The royal family observed respecting the Jongmyo with the utmost importance. Though performing the ancestral worship rituals were not only for observing respects but showing the lineage of the main family. In that regard, the Kings birthed by Consorts performed the specified and consistent worship rituals to their biological mothers through Gungwon ceremony.
Chilgung is an important Joseon royal family culture next to Jongmyo and has changed its formation construction.
The main building is of a three-room facade and gable roof with three to four levels of long pedestal stone platform and has brilliant multi-color paintings, which is distinctive. The shrine resides inside the main building, and each of the shrines is distinguished by the painted colors where Yuksang-gung, Jeokyung-gung and Daebin-gung are painted with the Danchung (red and green, multicolor paintings) whereas Seonhee-gung and Deokan-gung only with the Juchil. These colors are painted over the drilled carvings of various patterns. As such, the brilliantly colored shrines express both the magnificence and femininity.
목차
Ⅰ. 머리말
Ⅱ. 육상궁의 칠궁으로 공간 변화과정
Ⅲ. 칠궁 건물 배치와 내부 의장물 비교
Ⅳ. 맺음말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00 년대 이후 하이브리드 환경조형물의 유형 분석 연구
- 이강효의 《분청 퍼포먼스》에 관한 연구
- 1 인가구 맞춤형 IoT 융합 의자 디자인에 관한 연구
- 삶과 죽음의 모티브의 조형화 사례 연구
- 마이스터 요제프 알버스가 현대 건축유리 발전에 끼친 영향
- 앙리 베르그송의 기억 해석 이론을 바탕으로 한 루이스 부르주아의 조형 표현 연구
- 업사이클링 사례분석을 통한 리디자인 지도방안연구
- 디지털 기술을 응용한 융복합 오브제 디자인 연구
- 백동 여성수식(女性首飾) 제작방법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미술교과 내 공예교육의 흐름 연구
- 조선후기 칠궁과 내부 의장물 비교 연구
- A Study on the Formation Process of Chinese Logo Design by the Influence of Reform and Opening Policy
- 석고주형 진공주조법을 활용한 기물 제작 사례 연구
- 중국 전통 문화를 바탕으로 한 애니메이션 캐릭터 디자인 연구
- 실크 교직물의 이지케어 성능 향상 연구
- 도자브랜드의 아트 콜라보레이션 경향 연구
- 자넷 에힐만의 기류 조각에 나타난 융합공예적 특성 연구
- 비푸 스리빌라사(Vipoo Srivilasa)의 작품에 관한 연구
- 예술의 창의적 사고에 기반 한 그래픽 디자인의 창작과정 연구
- 실리콘 고무의 물리적 특성을 바탕으로 한 심미적 가능성 연구 및 작가 분석
- 조형디자인연구 제 21집 4권 목차
- 애니메이션 캐릭터에 나타난 민족성의 차이
- 혼합 현실 기술을 활용한 무형 문화유산의 디지털 보호에 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