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헌법상 근로자의 권리에 관한 연구

이용수 665

영문명
A Study on Laborer's Right in Constitutional Law
발행기관
세계헌법학회 한국학회
저자명
정상익(Jeong Sang Ik)
간행물 정보
『세계헌법연구』世界憲法硏究 第16卷 第2號, 461~508쪽, 전체 48쪽
주제분류
법학 > 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6.30
8,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근로자는 임금을 목적으로 근로를 제공하는 자이기 때문에 사용자에 비하여 지위에 있어서 불안정하거나 힘이 약한 경우가 발생하는데 이러한 경우 일정한 보호를 필요로 하게 된다. 국가는 일정한 경우 근로자를 보호하는 입장을 취하는 데, 국가가 취하는 입장은 국가에 따라 서로 차이가 있기 마련이다. 국가에 따라서는 최고의 법규범인 헌법에 근로자의 보호에 관한 규정을 마련하기도 하고, 헌법에 근로자의 보호에 관한 규정을 마련하고 있지는 않지만 개별 법률에 근로자의 보호에 관한 규정을 마련하기도 한다. 한 국가에서 헌법을 제정 또는 개정할 때에 어떠한 사항들, 내용들을 헌법에 규정할 것인가 하는 것은 중요한 문제인데, 각국마다 헌법에 규정하는 사항들, 내용들에는 차이가 있다. 헌법에 규정된 사항들, 내용들은 헌법이 최고의 법규범인 관계로 위헌법률심사시 개별 법률 또는 법률 조항의 위헌심사의 기준으로서의 역할과 기능을 하게 된다. 근로자의 보호, 근로 또는 노동의 보호에 관한 문제는 이념성을 내포하고 있는바, 주장 하는 이념의 차이에 의하여 근로자의 보호, 근로 또는 노동의 보호에 관한 문제를 헌법에 규정할 것인가 아니면 헌법에 규정하지 않을 것인가 하는 입장의 차이가 발생하기도 한다. 우리 나라의 경우 근로자의 보호, 근로 또는 노동의 보호에 관하여 헌법에 규정을 마련하고 있다. 근로자의 보호, 근로 또는 노동의 보호에 관하여 헌법에 규정을 마련하고 있으면 이로부터 헌법상 근로자의 권리들이 발생하게 된다. 헌법이 어떠한 규정을 마련하고 있는가에 따라서 헌법상 근로자의 권리들은 내용을 달리 하게 된다. 역사적으로 노동조합에 대한 국가의 입장에는 변화가 있어 왔다. 서양국가들에 있어서 노동조합은 처음에는 적극적으로 환영할만한 대상이 아니었다. 결사란 것은 연대의 결과 단결력을 발휘하기 때문에 국가의 입장에서 보면 위험스러운 것이었고, 특히 노동조합의 경우 전국적인 조직망을 갖추고 있고, 이해관계를 공유하고 있었기 때문에 단결력이 엄청나며, 노동조합 자체가 자본의 소유자인 사용자와 어느 정도는 대립적인 관계에 있었고, 노동조합이 수행하는 활동이 국가 경제 전체에 미치는 영향이 지대하였기 때문에 서양국가들은 처음에 노동조합에 대하여 경계의 태도를 가지고 있었다. 그러다가 역사의 전개와 사회와 환경의 변화에 따라 노동조합을 허용하기에 이르렀고, 그 후 근로자의 노동과 근로 3권을 보호하기에 이르렀다. 국가가 근로자의 노동과 근로 3권을 보호하는 것은 국가 자체에도 이로운 점이 있었다. 국가는 근로자의 임금인상의 요구를 직접적으로 책임질 필요가 없으며, 그것은 근로자와 사용자 차원의 문제인 것이다. 근로자의 임금인상의 요구에 대하여 국가는 거리를 두고 근로자와 사용자 사이에서 객관적이고 중립적인 입장을 견지할 수 있게 된 것이다. 국가가 근로자의 소득에 대하여 사회보장적인 차원에서 전적으로 책임을 진다는 것은 국가에게 있어서 큰 부담이다. 국가는 근로자의 노동의 보호, 근로 3 권의 보장을 통하여 근로자의 임금 등 근로조건의 향상을 근로자 스스로에게 맡기면서 근로자의 소득보장에 대한 부담을 덜어 낼 수 있었던 것이다. 우리 나라의 경우 헌법 제32조 제1항이 근로의 권리, 최저임금제에 관하여 규정하고 있고, 제2항은 근로의 의무에 관하여 규정하고 있으며, 제3항은 근로조건의 기준에 관하여 규정하고 있고, 제4항과 제5항은 여자의 근로와 연소자의 근로에 관하여 규정하고 있다. 헌법 제33조는 근로 3권에 관하여 규정하고 있다. 근로자의 노동은 사용자의 자본과 함께 경제질서를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근로자의 노동의 보호, 근로자의 권리의 보호는 사회국가의 원리의 중요한 한 축이 되고 있다. 그리고 근로자의 권리는 사회적 기본권의 중요한 한 축이 되고 있다. 근로자의 노동의 보호, 근로자의 권리의 보호를 실현시키기 위하여 여러 법령들이 마련되어 있기는 하지만 아직도 개선되어야 할 것이 많이 있는 형편이다. 근로자의 노동의 보호, 근로자의 권리의 보호를 위하여 법령들을 제정하거나 개정할 경우 항상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은 어떻게 하면 헌법질서의 내용을 제대로 구현시킬 수 있을까 하는 점이다. 근로의 권리, 최저임금제, 근로의 의무, 근로조건의 기준, 여자의 근로와 연소자의 근로, 근로 3권 등 헌법에 규정되어 있는 노동질서의 내용을 제대로 구현시키기 위한 연구와 노력은 계속적으로 시도되어야 하고 모색되어야 한다. 근로자의 노동, 근로자의 권리에 관한 법령들은 여러 예민한 문제들에 직면하게 된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has studied laborer's right in the constitutional law including the concept and the type of laborer's right in the constitutional law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The laborer has numerous rights to have relations with labor. They include the right to work, the right to join and form the trade union, the right to bargain collectively with employer, and the right to strike, boycott, and picketing to improve the conditions of work. The Korean Constitutional Law provides that laborer has the right to work, the right to join and form the trade union, the right to bargain collectively with employer, and the right to strike, boycott, and picketing to improve the conditions of work. The Constitutional Law Court deals with the disputes relating to the interpretation of articles of the constitutional law about laborer's right. The disputes relating to the interpretation of articles of the constitutional law about laborer's right are very difficult. As the results, so many legal problems have come in the history of the Constitutional Law Court in Korea. Many people have interests about these legal problems. Articles of the constitutional law about laborer's right have very important meanings for improving the conditions of work. This article has tried to analyse many legal problems about the laborer's right in the constitutional law. Of many legal problems, the matters about the the right to join and form the trade union, the right to bargain collectively with employer, and the right to strike, boycott, and picketing to improve the conditions of work are very important. This article has the purpose to give perspectives about the laborer's right in the constitutional law.

목차

Ⅰ. 서 론
Ⅱ. 노동조합에 대한 각국의 입장의 변화
Ⅲ. 각국의 헌법 규정의 의미
Ⅳ. 근로 3권에 관한 헌법재판소의 결정과 대법원의 판결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상익(Jeong Sang Ik). (2010).헌법상 근로자의 권리에 관한 연구. 세계헌법연구, 16 (2), 461-508

MLA

정상익(Jeong Sang Ik). "헌법상 근로자의 권리에 관한 연구." 세계헌법연구, 16.2(2010): 461-50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