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인허가 의제규정의 효력 범위와 지방세법상 분리과세대상 규정의 관계

이용수 3

영문명
Relationship between the scope of effect of the provisoins on deeming authorization or permission and the separate taxation provisions of the Local Tax Act. : Supreme Cour Decision 2021Du40027 delivered on Sept. 14, 2021
발행기관
한국조세법학회
저자명
윤현준(Hyunjun Yun)
간행물 정보
『조세논총』제9권 제1호, 5~40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법학 > 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3.30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최근 대법원은 2023. 9. 14. 선고 2021두40027 판결(이하 ‘대상판결’)에서 집단에너지사업법에 따른 인허가 의제 규정의 효력이 재산세 분리과세대상 규정까지 미치지 않는다고 판시하였다. 집단에너지사업법 제48조에서는 집단에너지사업법에 따라 사업의 허가를 받은 경우에는 ‘전기사업법 제7조 제1항에 따른 발전사업의 허가를 받은 것으로 본다’는 의제 규정을 두고 있고, 구 지방세법 시행령에서는 ‘전기사업법에 따른 전기사업자’가 기반시설용으로 사용하는 토지에 대하여 분리과세대상으로 규정하고 있다. 대법원은 위 분리과세대상 규정을 해석함에 있어 집단에너지사업법에 따른 허가를 받은 자와 전기사업법에 따른 허가를 받은 자를 동일하게 볼 수 없다고 판시한 것이다. 재산세 분리과세규정은 납세자에게 영구적인 조세지원 혜택을 부여하는 규정이기 때문에 그 해석에 있어 엄격해석의 원칙을 견지할 필요가 있다. 대법원은 2006두2626 판결에서 재산세 분리과세대상의 효력범위를 사실상 넓게 인정하려는 태도를 보였지만, 대법원 2011두5551 전원합의체 판결로 다른 법률의 인허가 의제규정의 효력이 세법에 그대로 적용할 수 없다는 입장으로 변경하였다. 이후 하급심 법원은 대법원 2011두5551 전원합의체 판결과 같은 취지로 판결을 하고 있다. 그리고 최근 대법원은 대상판결에서 재산세 분리과세규정 해석에 있어 대법원 2011두5551 전원합의체 판결보다 더 엄격하고 완고한 태도를 보였다. 인허가 의제 규정의 효력범위를 재산세 분리과세대상 규정까지 확대하지 않은 대법원의 입장은 합리적이라 생각하고, 앞으로도 유지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한다. 특히 대상판결에서는 관계 법령의 절차적, 실체적 요건을 갖추었는지 판단하기에 앞서 집단에너지사업법과 전기사업법을 비교하였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즉 대법원은 각 법률의 입법취지가 무엇인지, 절차적인 요건과 실체적인 요건에서 동등한 법적 효력을 인정하는 것이 타당한지 살피고 있다. 또한 용도별, 소유자별로 구체화된 재산세 분리과세대상 규정을 체계적으로 해석하려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법원의 입장은 지방세법의 법문과 입법취지를 우선적으로 존중하겠다는 입장으로 해석된다.

영문 초록

Recently, the Supreme Court of Korea ruled in a decision dated September 14, 2023, 2021Du40027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Subject Judgment”) that the effect of the provisions on deeming authorizations, or permissions under the Integrated Energy Supply Act does not extend to the provisions on Classification of Land and Houses Subject to Taxation under Local Tax Act. Article 48 of the Integrated Energy Supply Act stipulates that if a business is licensed under this act, it is deemed to be obtained a license under Article 7 (1) of the Electric Utility Act, and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former Local Tax Act stipulates that land used for infrastructure by an electricity business under the Electric Utility Act is subject to separate taxation. In interpreting the above former Local Tax Act separate taxation provisions, the Supreme Court held that a person licensed under the Integrated Energy Supply Act cannot be treated as the same as who licensed under the Electric Utility Act. It is necessary that the provisions on separate taxation under Local Tax Act should be strictly construed because those provisions provide taxpayers with permanent benefit of tax reduction or exemption. Supreme Court, in its 2006Du2626 decision, had been inclined to recognize a broad scope of effect of the separate taxation in property tax. However, Supreme Court, in its 2011Du5551 en banc decision, has shifted its position on the scope of effect of the separate taxation in property tax. In that decision, Supreme Court held that the effect of deeded authorization or permission under the other Acts cannot be applied to the Acts related taxation. After Supreme Court’s 2011Du5551 decision, inferior courts have followed Supreme Court’s rulling. Recently Supreme Court, in the subject judgment, was even more strict and rigid in its interpretation of the provisions of separate taxation in property tax than the 2011Du5551 en banc decision. It is believed that the recent Supreme Court's position of not extending the scope of deeming authorizations, or permissions to separate taxation in property tax is reasonable and should be maintained. In particular, it is worth noting that the subject judgment compared the Integrated Energy Supply Act and the Electric Utility Act before determining whether the procedural and substantive requirements of the relevant laws were met. In other words, Supreme Court focuses on the legislative intent of each law and examines closely whether it is reasonable to give equal legal effect in terms of procedural and substantive requirements. Supreme Court is showing a willingness to try to interpret the provisions on separate taxation in property tax that are specified to each usage and owner in a way that conforms to the scheme. This Supreme Court's position is interpreted as willing to give preference to the plain language and legislative intent of the Local Tax Act.

목차

Ⅰ. 서 론
Ⅱ. 대상판결의 개관
Ⅲ. 최근 조세심판원 결정
Ⅳ. 재산세 분리과세대상의 해석론
Ⅴ. 인허가 의제 규정의 의미
Ⅵ. 대상판결의 당부 : 재산세 분리과세규정의 합리적인 해석론
Ⅶ.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윤현준(Hyunjun Yun). (2024).인허가 의제규정의 효력 범위와 지방세법상 분리과세대상 규정의 관계. 조세논총, 9 (1), 5-40

MLA

윤현준(Hyunjun Yun). "인허가 의제규정의 효력 범위와 지방세법상 분리과세대상 규정의 관계." 조세논총, 9.1(2024): 5-4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