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唐代 中後期 支郡刺史의 地位에 대한 試論 -節度ㆍ觀察使와 支郡刺史의 관계를 중심으로
이용수 10
- 영문명
- 발행기관
- 동국역사문화연구소
- 저자명
- 張衛東 저 劉勇 저 特浩冉 역
- 간행물 정보
- 『동국사학』제81집, 643~663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당대 중후기는 道ㆍ州라는 행정체제의 제약 하에서 지군자사의 권력이 크게 삭감ㆍ약화되었고 이로 말미암아 지방통치 국면이 악화되었다. 지방 州郡에 대한 실질적 통제를 회복하기 위해 당대 통치자들은 刺史의 지위를 제고하기 위한 여러 가지 조치를 취하였다. 그 목적은 지방에 대한 안정된 통치를 다시 실현하여 지방통치 상황을 개선하는 데 있었다. 요컨대 당대에 자사 지위를 높이려는 노력은 비록 藩鎭體制를 改變시키지 못하였지만, 또한 일정한 성공을 거두었고 그 방식은 오대와 북송 통치자들에게 계승되어 최종적으로 주군에 대한 중앙의 실질적 통제를 다시 실현하였다.
영문 초록
목차
1. 머리말
2. 당대 중후기 관찰사와 지군자사의 관계
3. 당대 중후기 조정의 자사 직권을 회복하려는 노력
4. 餘論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북한의 문맹퇴치지도위원회의 조직과 활동
- 1950년대 전반기 북한 ‘영예군인’의 활동과 사회주의 이행의 결합
- 唐代 ‘羈縻’와 ‘蕃’ 개념에 관한 西田祐子의 이해
- 『新唐書』 권8, 穆宗ㆍ敬宗ㆍ文宗ㆍ武宗本紀 역주
- 高熲과 隋의 政界
- 唐代 中後期 支郡刺史의 地位에 대한 試論 -節度ㆍ觀察使와 支郡刺史의 관계를 중심으로
- 일본 사회가 바라 본 근현대 한국과 동아시아 - 2024 일본 중학교과서 검정 결과를 살펴보고
- 18세기 山林 處士의 향촌 생활 지침서 『山林經濟』의 성격과 의의
- 14세기 고려불교와 白雲景閑
- 定順王后 思陵의 조성과 운영
- 2022 교육과정 『한국사』 교과서의 아시아태평양전쟁 ‘停滯’ 서술 실태와 원인
- 과장된 황해의 은자 - 신미양요와 맞물린 추산호 사건 언론 보도 -
- 斗子鼎 銘文의 史的 재구성
- 唐 玄宗代 高句麗 遺民 王毛仲의 浮上과 沒落
- 중일전쟁 시기 중국 국제 라디오방송과 항일선전
- 金昌業의 『老稼齋燕行日記』에 나타난 盤纏과 그 의미
- 2024년 검정 통과 일본 중학교 역사 교과서 속의 한국고대사
- 2024년 검정통과 일본 중학교 교과서의 독도 관련 서술 분석
- 1930년대 중후반 이후 조선총독부의 ‘佛法硏究會’ 인식과 통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