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본 사회가 바라 본 근현대 한국과 동아시아 - 2024 일본 중학교과서 검정 결과를 살펴보고
이용수 14
- 영문명
- Examining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 and East Asia as Perceived by Japanese Society : A Review of the 2024 Japanese Middle School Textbook Certification Results
- 발행기관
- 동국역사문화연구소
- 저자명
- 안재익
- 간행물 정보
- 『동국사학』제81집, 43~78쪽, 전체 3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7,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올해 3월, 일본 문부과학성은 2024년 교과서 검정 결과를 발표했다. 일본 역사 교과서는 10년을 주기로 개정되는 『학습지도요령』에 따를 것을 요구받는다. 현행 중학 학습지도 요령은 2017년 개정된 것이며, 이번 검정은 개정된 학습지도요령에 따른 두 번째 검정 결과로, 이번 검정을 통과한 교과서들은 내년부터 일선 학교 현장에서 사용될 예정이다.
이번 검정 결과 발표와 관련해 특이한 점은, 3월 검정 결과 발표 당시 레이와서적(令和書籍)이라는 출판사가 신청한 2종의 교과서에 대해, 검정 결과 발표가 보류되었고, 뒤늦게 4월 19일에서야 이들 교과서의 검정 통과가 발표되었다는 것이다. 이처럼 특이한 검정 결과 발표 방식과 더불어, 내년부터 일선 학교에서 사용이 허가된 레이와 서적의 교과서는 기존의 교과서와 비교해 특이한 점을 상당 부분 포함하고 있어서, 이에 대한 정밀한 분석이 요구된다.
2024년 검정을 통과한 일본 중학 역사 교과서의 서술 내용을, 근현대 시기 한국 관련 기술을 중심으로 살펴 보면, 다음과 같은 해석이 가능하다. 대체적으로 현재 일본 학교 교육 현장에서 쓰이고 있는 교과서들의 개정판들은, 현행본과 비교해 서술이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그러나 일본이 동아시아 국제관계의 ‘근대화’ 과정이 지닌 역사적 의미를 강조하고 있다는 점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분석과 연구가 필요해 보인다. 이러한 일본 사회의 해석이 반드시 동아시아 근현대사와 한국의 근현대사에 대한 오해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라고 볼 수 있지만, 일본 학계가 내놓은 이러한 시각에 대한 검증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앞서 소개한 『학습지도요령』의 내용처럼, 일본 정부는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반의 역사적 전개를 통해 일본의 ‘국제적인 지위가 향상’된 것을 가르치도록 지정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자칫 균형을 잃은 시각이 대두될 위험성이 있다.
다음으로 식민지 시기 서술은 분량이 추가되거나, 사실 관계를 좀 더 뚜렷하게 드러내는 방식으로 개선되었다고 평가할 수 있는 부분도 있었다. 식민 지배와 3.1운동에 대한 서술이 그러한 사례이다. 그러나 이에 반해, 2021년 4월의 각의 결정에 따라 강제 동원과 일본군 ‘위안부’에 대한 서술은 후퇴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일본 교과서 집필진의 서술이, 검정 제도를 통해 제한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법적 책임 문제와 관련된 부분에 대해서는 강경한 태도를 유지하고 있는 일본 정부의 입장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한편 여타 교과서와 달리 특이한 형식을 취하고 있는 레이와 교과서가 검정을 통과함으로써, 이러한 역사관이 일본 국가에 의해 공인되는 형식을 취하게 되었다는 점은 여러 모로 우려스럽다. 레이와 교과서는 ‘국가의 역사’를 표방하고, 황실을 중심으로 일본 국가가 역사적 난관을 극복해 왔다는 방식의 서술을 청일전쟁, 러일전쟁, 아시아태평양전쟁 등의 사례를 통해 반복해서 강조하고 있다. 이처럼 일본이라는 국가를 중심으로 근현대사를 바라보고, 일본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를 심어주기 위해 주변국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를 심거나, 식민 통치의 성격과 식민지인들의 피해에 대해 자의적인 해석을 가하는 경우도 있었다. 부분적으로 서술상의 모순을 드러내면서까지 이 교과서가 ‘국가의 역사’를 강조하려는 태도를 지니고 있는 만큼, 이러한 근본적인 태도에 대한 분석과 대응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영문 초록
In March of this year, Japan’s Ministry of Education, Culture, Sports, Science and Technology (MEXT) announced the results of the 2024 textbook screening. Japanese history textbooks are required to adhere to the Courses of Study (Gakushu Shido Yoryo), which are revised on a ten-year cycle. The current Courses of Study for middle schools were revised in 2017, and the latest screening marks the second conducted under these revised guidelines. Textbooks that have passed this screening will be implemented in schools starting next year.
A notable aspect of this year’s screening announcement is that the results for two textbooks submitted by the publisher Reiwa Shoseki were initially withheld during the March announcement. These textbooks were only later approved on April 19. Alongside this unusual announcement process, the textbooks from Reiwa Shoseki, which have been authorized for use in classrooms beginning next year, exhibit several significant departures from existing textbooks. These deviations warrant detailed analysis.
An analysis of the 2024 Japanese middle school history textbooks, focusing on descriptions related to Korea during the modern and contemporary periods, reveals the following conclusions. Broadly speaking, the revised editions of textbooks currently used in Japanese schools show little deviation in narrative from their existing versions. However, Japan’s emphasis on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East Asia’s “modernization” of international relations warrants further analysis and study.
While this interpretation within Japanese society does not necessarily lead to misunderstandings of East Asi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or Korea’s historical trajectory, it underscores the need for critical scrutiny of perspectives advanced by Japanese academia. As outlined in the aforementioned Courses of Study, the Japanese government mandates instruction on Japan’s “enhanced international status” through historical developments of the late 19th and early 20th centuries. This approach carries the potential risk of fostering an imbalanced perspective if not carefully contextualized.
Furthermore, some descriptions of the colonial period have been improved by increasing their volume or clarifying factual details. The sections on colonial rule and the March 1st Movement are examples of such improvements. However, in contrast, the descriptions of forced labor and the Japanese military’s “comfort women” have regressed, reflecting the April 2021 Cabinet decision. This suggests that the narratives crafted by Japanese textbook authors are being constrained by the textbook screening system. This approach appears to stem from the Japanese government’s firm stance on issues related to legal accountability.
Meanwhile, the approval of the Reiwa textbook, which adopts an unusual format compared to other textbooks, raises significant concerns, as it effectively grants official recognition to this historical perspective by the Japanese state. The Reiwa textbook promotes a narrative of “national history,” repeatedly emphasizing how the Japanese state, centered on the imperial family, has overcome historical challenges through examples such as the First Sino-Japanese War, the Russo-Japanese War, and the Asia-Pacific War.
This approach frames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through the lens of the Japanese state, fostering a positive image of Japan while, in some cases, perpetuating negative portrayals of neighboring countries. It also applies arbitrary interpretations to the nature of colonial rule and the suffering of colonized peoples. At times, the textbook even reveals inconsistencies in its narrative to reinforce its emphasis on “national history.” This foundational attitude necessitates thorough analysis and a thoughtful response.
목차
Ⅰ. 머리말
Ⅱ. 일본 중학 교과서에 서술된 근현대 한국 사회의 모습
Ⅲ. ‘레이와 서적(令和書籍)’ 교과서의 근현대사 서술
Ⅳ.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북한의 문맹퇴치지도위원회의 조직과 활동
- 1950년대 전반기 북한 ‘영예군인’의 활동과 사회주의 이행의 결합
- 唐代 ‘羈縻’와 ‘蕃’ 개념에 관한 西田祐子의 이해
- 『新唐書』 권8, 穆宗ㆍ敬宗ㆍ文宗ㆍ武宗本紀 역주
- 高熲과 隋의 政界
- 唐代 中後期 支郡刺史의 地位에 대한 試論 -節度ㆍ觀察使와 支郡刺史의 관계를 중심으로
- 일본 사회가 바라 본 근현대 한국과 동아시아 - 2024 일본 중학교과서 검정 결과를 살펴보고
- 18세기 山林 處士의 향촌 생활 지침서 『山林經濟』의 성격과 의의
- 14세기 고려불교와 白雲景閑
- 定順王后 思陵의 조성과 운영
- 2022 교육과정 『한국사』 교과서의 아시아태평양전쟁 ‘停滯’ 서술 실태와 원인
- 과장된 황해의 은자 - 신미양요와 맞물린 추산호 사건 언론 보도 -
- 斗子鼎 銘文의 史的 재구성
- 唐 玄宗代 高句麗 遺民 王毛仲의 浮上과 沒落
- 중일전쟁 시기 중국 국제 라디오방송과 항일선전
- 金昌業의 『老稼齋燕行日記』에 나타난 盤纏과 그 의미
- 2024년 검정 통과 일본 중학교 역사 교과서 속의 한국고대사
- 2024년 검정통과 일본 중학교 교과서의 독도 관련 서술 분석
- 1930년대 중후반 이후 조선총독부의 ‘佛法硏究會’ 인식과 통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