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金昌業의 『老稼齋燕行日記』에 나타난 盤纏과 그 의미
이용수 14
- 영문명
- The Meaning of ‘BanJeon(盤纏)’ in Kim Chang-up’s Nogajae Yeonhaeng Diary
- 발행기관
- 동국역사문화연구소
- 저자명
- 표시목
- 간행물 정보
- 『동국사학』제81집, 231~280쪽, 전체 5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8,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은 金昌業의 『老稼齋燕行日記』를 중심으로, 연행의 盤纏 物目 및 사용 양상을 고찰함에 연구의 목적을 둔다. 연행사는 청에서 화폐를 대신해 사용할 조선의 각종 물품을 ‘盤纏’의 명목으로 가져갔다. 이는 鴨綠江 渡江 후 宿食을 해결하거나, 遊覽에 쓰는 등 개인 旅費의 목적으로 사용됐다. 연행사가 공적 임무를 위해 파견되는 외교 사절단인 만큼, 조선 조정에서도 盤纏은 ‘먼 길 가는 사람에 대한 禮’의 차원에서 지급됐다. 다만, 이는 신분에 따라 차등적으로 주어졌기에, 三使 이하 사절단은 순조로운 연행을 위해 개인적으로 盤纏을 마련해 들고 가야 했다. 1712년 打角 신분으로 동행해 작성된 김창업의 연행록에는 그가 연행에 들고 간 각종 물품이 ‘盤纏’의 용어로써 정리되어 있고, 구체적인 사용 양상 역시 기록되어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이 글에서는 김창업의 盤纏이 그의 가문에서부터 비롯됐음을 밝히고, 盤纏으로 사용된 丸藥ㆍ紙ㆍ扇ㆍ南草ㆍ烟竹ㆍ筆ㆍ墨ㆍ火鐵ㆍ鞘刀ㆍ銀ㆍ乾糧 등의 물품을 상세히 살펴보았다. 盤纏의 사용 양상은 크게 宿食과 遊覽의 목적으로 구분해 검토했다. 그 결과 숙식비로 사용된 반전의 경우, 여타 이유를 들어 正使와 路程을 달리했을 때 사용됐음을 알 수 있었다. 유람을 위해 사용된 반전은 세부 목적에 따라 膳物ㆍ謝禮ㆍ購入ㆍ娛樂ㆍ請託ㆍ積善ㆍ喝取의 7가지로 분류했다. 그리고 김창업이 연행에 동행한 목적이 청 유람에 있는 만큼, 유람에서 다량의 반전이 사용됐음을 확인했다. 이 글을 통해 그간 주목받지 못했던 연행에서의 사적 경비에 관해 고찰하고, 연행의 실상을 폭넓게 바라보는 도약으로 삼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research in this article is to consider the list of objects used for BanJeon(盤纏) and the usage patterns during Yeonhaeng( 燕行), focusing on Kim Chang-up(金昌業)’s Nogajae Yeonhaeng Diary[老稼齋燕行日記] . The Yeonhaeng delegation(燕行使) took various objects of Joseon with them in the name of BanJeon to use such objects in place of money in the territory of the Qing Dynasty. These were used for personal traveling expenses, including the cost of meals and lodging and the cost of sightseeing after crossing the Amnokgang River. As a Yeonhaeng delegation was a diplomatic mission being dispatched there to carry out their official duties, Joseon Dynasty provided them with BanJeon out of courtesy to those going on a long journey. However, since BanJeon were provided to them differentially according to their status, the members of the delegation lower in status than the top three high-ranking delegates(三使) had to personally prepare BanJeon to ensure their smooth Yeonhaeng. In Kim Chang-up’s Yeonhaeng record he wrote while accompanying the Yeonhaeng delegation as a military officer in 1712, various objects he took with him are listed as the terms for BanJeon, together with written specific usage patterns, thereby drawing attention. This article reveals that Kim Chang-up’s BanJeon originated from his family, and examines in detail such objects as pills(丸藥), paper(紙), folding fans(扇), tobaccos(南草), tobacco pipes(烟竹), writing brushes(筆), ink sticks(墨), iron(火鐵), swords(鞘刀), silver(銀), and dry food(乾糧), which were used as BanJeon. The usage patterns of BanJeon were examined by dividing them into the purpose of meals and lodging and the purpose of sightseeing. As a result, it has been found that the BanJeon used for the cost of meals and lodging were used when his travel route was different from that of the chief delegate for other reasons. The BanJeon used for sightseeing were classified into seven categories according to their detailed purposes: gifting(膳物), rewarding(謝禮), purchasing(購入), amusement(娛樂), solicitation( 請託), charity(積善), and extortion(喝取). It has been confirmed that a lot of BanJeon were used for sightseeing, as the purpose of Kim Chang-up accompanying the Yeonhaeng delegation was sightseeing in the territory of the Qing Dynasty. Through this article, the author would like to further consider the personal expenses in Yeonhaeng, which have not received much attention so far, and use it as a leap forward to look at the reality of Yeonhaeng in a broader way.
목차
Ⅰ. 머리말
Ⅱ. 김창업의 연행과 반전
1. 연행 경위와 『노가재연행일기』
2. 반전 준비와 물목
Ⅲ. 반전 사용 양상
1. 宿食 경비로서의 반전
2. 遊覽과 반전
Ⅳ. 반전 기록의 의미와 한계
Ⅴ.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북한의 문맹퇴치지도위원회의 조직과 활동
- 1950년대 전반기 북한 ‘영예군인’의 활동과 사회주의 이행의 결합
- 唐代 ‘羈縻’와 ‘蕃’ 개념에 관한 西田祐子의 이해
- 『新唐書』 권8, 穆宗ㆍ敬宗ㆍ文宗ㆍ武宗本紀 역주
- 高熲과 隋의 政界
- 唐代 中後期 支郡刺史의 地位에 대한 試論 -節度ㆍ觀察使와 支郡刺史의 관계를 중심으로
- 일본 사회가 바라 본 근현대 한국과 동아시아 - 2024 일본 중학교과서 검정 결과를 살펴보고
- 18세기 山林 處士의 향촌 생활 지침서 『山林經濟』의 성격과 의의
- 14세기 고려불교와 白雲景閑
- 定順王后 思陵의 조성과 운영
- 2022 교육과정 『한국사』 교과서의 아시아태평양전쟁 ‘停滯’ 서술 실태와 원인
- 과장된 황해의 은자 - 신미양요와 맞물린 추산호 사건 언론 보도 -
- 斗子鼎 銘文의 史的 재구성
- 唐 玄宗代 高句麗 遺民 王毛仲의 浮上과 沒落
- 중일전쟁 시기 중국 국제 라디오방송과 항일선전
- 金昌業의 『老稼齋燕行日記』에 나타난 盤纏과 그 의미
- 2024년 검정 통과 일본 중학교 역사 교과서 속의 한국고대사
- 2024년 검정통과 일본 중학교 교과서의 독도 관련 서술 분석
- 1930년대 중후반 이후 조선총독부의 ‘佛法硏究會’ 인식과 통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