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唐 玄宗代 高句麗 遺民 王毛仲의 浮上과 沒落
이용수 16
- 영문명
- Rise and Fall of Goguryo Diaspora Wang Maozhong during the Reign of Emperor Xuan-zong of Tang
- 발행기관
- 동국역사문화연구소
- 저자명
- 정병준
- 간행물 정보
- 『동국사학』제81집, 463~497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7,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당대에 높은 지위에 오른 고구려 유민은 여러 명이 있었지만, 왕모중만큼 권력의 핵심부에 진입하여 실권을 행사한 인물은 없다. 이는 그가 현종(이융기)의 최측근 호위무사로 있다가 현종이 일으킨 두 차례의 궁중정변에서 큰 공을 세웠기 때문에 가능하였다. 이후 그는 정변에서 결정적 역할을 수행한 북아금군과의 밀접한 관계를 바탕으로 최고 실세로 부상하니 諸王과 환관들도 두려워하게 되었다. 하지만 왕모중은 권력의 정점에서 초심을 잃고 점차 교만해졌다. 그 틈을 이용하여 환관들이 반격에 나섰고 마침내 왕모중이 권력 다툼에서 패해 주살되었다.
현종의 1차 정변에는 왕모중 이외에 북아금군 계열에 속한 5인의 고구려 유민이 참여하였고 그 중 몇 명은 2차 정변에도 참가한 것이 새로 출토된 墓誌銘에 보인다. 이는 기록에는 보이지 않지만 더 많은 고구려 유민이 북아금군에 속해 있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왕모중은 그들 고구려 유민과 유대의식을 가지고 서로 협력하였을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된다.
영문 초록
Among the Goguryeo diaspora who rose to high positions during the Tang Dynasty, no one entered the core of power and wielded real authority like Wang Maozhong. This was possible because he served as Xuanzong(Li Longji)’s closest bodyguard and made significant contributions during the two coups led by Xuanzong. Subsequently, he rose to become the most powerful figure based on his influence over the Northern Command, which played a decisive role in the coups, to the point where even members of the royal family and eunuchs feared him. However, at the height of his power, Wang Maozhong gradually became arrogant. Seizing this opportunity, the eunuchs launched a counterattack, and Wang Maozhong ultimately lost the power struggle and was executed.
In addition to Wang Maozhong, five members of the Goguryeo diaspora from the Northern Command participated in Xuanzong’s first coup. Newly excavated tomb epitaphs reveal that some of them also took part in the second coup. This suggests the possibility that more Goguryeo diaspora members were part of the Northern Command, even though they do not appear in the records. It is reasonable to assume that Wang Maozhong maintained a sense of solidarity with these Goguryeo diaspora members and cooperated with them.
목차
Ⅰ. 머리말
Ⅱ. 현종(李隆基)의 1차 정변과 왕모중의 출세
Ⅲ. 현종의 2차 정변과 왕모중의 권력 실세 부상
Ⅳ. 왕모중의 몰락
Ⅴ.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북한의 문맹퇴치지도위원회의 조직과 활동
- 1950년대 전반기 북한 ‘영예군인’의 활동과 사회주의 이행의 결합
- 唐代 ‘羈縻’와 ‘蕃’ 개념에 관한 西田祐子의 이해
- 『新唐書』 권8, 穆宗ㆍ敬宗ㆍ文宗ㆍ武宗本紀 역주
- 高熲과 隋의 政界
- 唐代 中後期 支郡刺史의 地位에 대한 試論 -節度ㆍ觀察使와 支郡刺史의 관계를 중심으로
- 일본 사회가 바라 본 근현대 한국과 동아시아 - 2024 일본 중학교과서 검정 결과를 살펴보고
- 18세기 山林 處士의 향촌 생활 지침서 『山林經濟』의 성격과 의의
- 14세기 고려불교와 白雲景閑
- 定順王后 思陵의 조성과 운영
- 2022 교육과정 『한국사』 교과서의 아시아태평양전쟁 ‘停滯’ 서술 실태와 원인
- 과장된 황해의 은자 - 신미양요와 맞물린 추산호 사건 언론 보도 -
- 斗子鼎 銘文의 史的 재구성
- 唐 玄宗代 高句麗 遺民 王毛仲의 浮上과 沒落
- 중일전쟁 시기 중국 국제 라디오방송과 항일선전
- 金昌業의 『老稼齋燕行日記』에 나타난 盤纏과 그 의미
- 2024년 검정 통과 일본 중학교 역사 교과서 속의 한국고대사
- 2024년 검정통과 일본 중학교 교과서의 독도 관련 서술 분석
- 1930년대 중후반 이후 조선총독부의 ‘佛法硏究會’ 인식과 통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