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의 문맹퇴치지도위원회의 조직과 활동
이용수 8
- 영문명
- Organization and activities of North Korea’s Literature Leadership Council
- 발행기관
- 동국역사문화연구소
- 저자명
- 이주환
- 간행물 정보
- 『동국사학』제81집, 339~385쪽, 전체 47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8,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북한의 지도부는 인민위원회를 비롯한 각급 행정 체계를 빠르게 재정비하면서 문맹퇴치운동을 주도하여 나갔다. 임시인민위원회 교육국은 1946년 10월 230만 명에 이르는 주민들의 문맹타파를 위하여 성인교육부를 사회교육부로 개편하는 등 문맹퇴치 교육을 위한 일원적인 행정체계를 갖추어 갔다.
1946년 11월 25일 채택된 결정 제113호 ‘동기농촌문맹퇴치운동에 관한 결정서’는 산발적으로 진행되던 문맹퇴치 교육을 전군중적 운동 방식으로 전환하는 계기가 되었다. 교육국장의 책임과 지도하에 각 도ㆍ시ㆍ군ㆍ면의 인민위원회 교육책임자는 동기문맹퇴치사업을 조직적으로 실시하여야 하였다. 이 과정에서 각급 인민위원회 별로 각계각층이 참여하는 비상설기구로서 각급 ‘문맹퇴치지도위원회’와 ‘문맹퇴치검열위원회’가 조직되었다.
하지만 교육책임자의 준비성과 한글학교 취학자의 열성 여하에 따라 문맹퇴치의 성과는 지역별로 그 차이가 매우 컸다. 한글학교의 취학자 대비 수료자가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중요한 문제로 제기되었다. 북조선인민위원회는 1947년 11월 12일 제53차 회의에서 결정 제83호 ‘문맹퇴치운동 추동에 관한 결정서’를 채택하였다. 결정 제83호는 기존의 교육국뿐만 아니라 전 행정계통에 행정적 책임을 지웠을 뿐만 아니라, 민간의 각 정당 및 사회단체까지 동원을 의무화하는 규정이었다. 이 결정에 의하면 교육국장은 각 정당ㆍ사회단체를 망라한 문맹퇴치위원회를 중앙에서부터 지방에 이르기까지 통일적으로 조직하여야 하였다. 또한 인민위원회 산업국장과 상업국장 등에게 각국 소관 각 직장 내의 한글학교 설치와 문맹자 퇴치에 책임을 부여하는 것이었다. 또한 각급 인민위원회위원장의 책임의 범위도 확대하였다. 먼저 면ㆍ리(동)인민위원장은 기존의 의무뿐만 아니라, 소관 지역 내 문맹자를 재조사하여야 했으며, 조사된 문맹자의 80% 이상을 한글학교에 취학시켜야 하였다. 또한 사회단체와 내무기관과 협조하여 취학한 문맹자의 ‘출석’을 확인할 의무가 부과되었다. 경찰 기구인 내무기관을 동원하여 출석을 확인하게 하였다.
또한 문맹퇴치운동의 통일적 지도를 위하여 ‘문맹퇴치중앙지도위원회’를 발족하였다. ‘문맹퇴치중앙지도위원회’는 교육국장 한설야를 위원장으로 북조선민전에 속해 있는 제 단체의 대표들로 구성하였다. 또한 13명으로 구성된 상무위원회도 따로 구성하였다. 이는 기존의 비상설 기구였던 ‘문맹퇴치지도위원회’를 상설화하여 사회단체들과의 유기적 협조를 이끌어 내기 위한 조치였다. 이 과정에서 북조선 로동당은 각 사회단체 내에 조직되어 있었던 ‘당조’를 적극 활용하여 사회단체들을 추동하였다. 1946년부터 국가주도로 진행된 문맹퇴치운동은 북조선 로동당, 각급 인민위원회, 각 사회단체가 총동원된 거대한 사회운동이었으며, 현재 북한 사회 원형의 시발점이었다고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North Korea’s leadership quickly reorganized its administrative system at all levels, including the People’s Committee, and led a campaign to eliminate illiteracy. In addition, the People’s Committees of metropolises, cities, and counties correspond to the Social Education Department of the Education Bureau. A unified administrative system was established to eradicate illiteracy by establishing a social education division and a social education circle. Decision No. 113, “Decision on the Movement to Eliminate Illiteracy in Rural Areas,’’ adopted on November 25, 1946, was the trigger for converting the sporadic education to eliminate illiteracy into a military-wide campaign. Under the responsibility and guidance of the Director-General of Education, the Education Officers of the People’s Committees of each city, city, county, and county were to systematically carry out the project to eradicate illiteracy. During this process, “Illiteracy Extermination Guidance Committees’’ and “Illiteracy Extermination Censorship Committees’’ were established as temporary bodies of People’s Committees at various levels, with the participation of people from all walks of life. However, the results of eradicating illiteracy were very different by region depending on the preparation of the education manager and the enthusiasm of the Korean language school students. It has been raised as an important issue to solve the problem of less than half of the graduates of Hangul School compared to those who have completed it. On November 12, 1947, the North Korean People’s Commission adopted the 83rd “Decision on Autumn and Winter of the Movement for the Elimination of Literacy” at the 53rd meeting. Decision No. 83 not only placed administrative responsibility on the entire administrative system as well as the existing education bureau, but also required mobilization of political parties and social organizations in the private sector. According to the decision, the education director had to organize a literacy committee covering political parties and social organizations in a unified manner from the center to the provinces. It also gave responsibility to the director-general of the Industrial and Commercial Affairs Bureau of the People’s Commission for the establishment of Hangul schools in each workplace under the jurisdiction of each country and for the eradication of illiterates. The responsibilities of the chairmen of the People’s Commission at various levels have also been expanded. First of all, Myeon and Ri, chairman of the People’s Committee, had to re-examine illiterates in their jurisdiction as well as their existing obligations, and more than 80% of the illiterates surveyed had to go to Korean schools. In addition, it was obliged to check the attendance of illiterates who attended school in cooperation with social organizations and internal organizations. In addition, the obligation to mobilize intellectuals in the jurisdiction to participate as teachers of Hangul schools and censor their service status was added. A police organization, an internal organization, was mobilized to confirm the attendance. In addition, the Central Guidance Committee on the Elimination of Literacy was established to provide unified guidance on the movement to eradicate illiteracy. The “Central Leadership Committee for the Elimination of Literacy” consisted of representatives from various organizations belonging to the North Korean Civil War, headed by Han Seol-ya, the director of the education bureau. A 13-member standing committee was also formed separately. The establishment of the Standing Committee was a measure to promote organic cooperation with social organizations by establishing a permanent “Literacy Guidance Committee,” an existing emergency organization. In the process, the North Korean Workers’ Party actively used the “Tang Dynasty” organized within each social o
목차
Ⅰ. 서론
Ⅱ. 1946년 동기 농촌 문맹퇴치운동과 문맹퇴치지도위원회 조직
Ⅲ. 문맹퇴치운동 체계의 정비
Ⅳ. 사회단체의 추동과 문맹퇴치지도위원회 활동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북한의 문맹퇴치지도위원회의 조직과 활동
- 1950년대 전반기 북한 ‘영예군인’의 활동과 사회주의 이행의 결합
- 唐代 ‘羈縻’와 ‘蕃’ 개념에 관한 西田祐子의 이해
- 『新唐書』 권8, 穆宗ㆍ敬宗ㆍ文宗ㆍ武宗本紀 역주
- 高熲과 隋의 政界
- 唐代 中後期 支郡刺史의 地位에 대한 試論 -節度ㆍ觀察使와 支郡刺史의 관계를 중심으로
- 일본 사회가 바라 본 근현대 한국과 동아시아 - 2024 일본 중학교과서 검정 결과를 살펴보고
- 18세기 山林 處士의 향촌 생활 지침서 『山林經濟』의 성격과 의의
- 14세기 고려불교와 白雲景閑
- 定順王后 思陵의 조성과 운영
- 2022 교육과정 『한국사』 교과서의 아시아태평양전쟁 ‘停滯’ 서술 실태와 원인
- 과장된 황해의 은자 - 신미양요와 맞물린 추산호 사건 언론 보도 -
- 斗子鼎 銘文의 史的 재구성
- 唐 玄宗代 高句麗 遺民 王毛仲의 浮上과 沒落
- 중일전쟁 시기 중국 국제 라디오방송과 항일선전
- 金昌業의 『老稼齋燕行日記』에 나타난 盤纏과 그 의미
- 2024년 검정 통과 일본 중학교 역사 교과서 속의 한국고대사
- 2024년 검정통과 일본 중학교 교과서의 독도 관련 서술 분석
- 1930년대 중후반 이후 조선총독부의 ‘佛法硏究會’ 인식과 통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