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과장된 황해의 은자 - 신미양요와 맞물린 추산호 사건 언론 보도 -
이용수 20
- 영문명
- The Misunderstood Hermit of the Yellow Sea : Media Narratives of the Chusan Incident Interwoven with the Shinmiyangyo
- 발행기관
- 동국역사문화연구소
- 저자명
- 손성욱
- 간행물 정보
- 『동국사학』제81집, 499~532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1871년 백령도에서 발생한 독일 상선 추산호 사건은 전통적 동아시아 질서와 서구 근대 국제법 질서가 충돌하는 과정을 선명하게 보여주는 사례이다. 이 글은 《노스-차이나 데일리 뉴스》 및 영국ㆍ미국 언론의 관련 보도를 분석하여, 조선에 대한 서구의 편견과 오해가 어떻게 형성되고 확산되었는지, 정보 전달의 한계가 동북아시아에서 이 사건을 ‘국제적’으로 뉴스화하는 데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고찰한다. 《노스-차이나 데일리 뉴스》는 톈진교안 이후 고조된 지역적 불안을 반영하며 사건을 상세히 보도했으나, 영국ㆍ미국 본국 언론은 신미양요라는 군사적 충돌에 초점을 맞추어 자국의 전략적 이해관계에 따라 사건을 선별적으로 다루었다.
특히 본국과의 원활하지 않은 소통 속에서 이루어진 현장 관리들의 독자적 판단은 영국의 성공적인 원정을 가능하게 했으나, 이는 조선에서 군사적 개입에 실패한 미국의 사례와 선명한 대조를 이루었다. 추산호 사건은 동아시아 국제 질서의 전환기적 성격을 드러내는 동시에, 이러한 질서의 와해가 단순한 이행이 아니라 지역별 이해관계와 인식 차이에서 비롯된 역동적 변화의 과정이었음을 보여준다.
영문 초록
The shipwreck of the German merchant ship Chusan in 1871 off Baengnyeong Island serves as a significant case study of how the traditional East Asian order clashed with the Western modern international law order. This study analyzes reports from the North-China Daily News and British and American media to examine how Western biases and misunderstandings about Joseon’s exclusivity and isolationism, along with limitations in information transmission, shaped the news portrayal of an ‘international’ incident in Northeast Asia. The detailed coverage by the Shanghai-based North-China Daily News, reflecting heightened anxieties after the Tianjin Massacre, contrasted sharply with the selective reporting by British and American homeland media, which focused on their nations’ strategic interests in the context of the military conflict known as the Shinmiyangyo (1871 U.S. expedition to Korea). Notably, the successful British expedition, conducted independently by field officials due to communication delays with their home government, stood in stark contrast to the failed U.S. military intervention, prompting a reevaluation of diplomatic approaches toward Joseon. This incident reveals the transitional nature of the East Asian international order in the late 19th century, demonstrating that its transformation was not a simple transition but rather a dynamic process shaped by regional interests and perceptual differences.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요동치는 황해상 추산호 사건
Ⅲ. ‘극동’ 상하이의 시선과 불안
Ⅳ. 미국과 영국에서의 ‘늦은’ 보도
Ⅴ. 영국 ‘원정’의 성공과 지연된 시선의 전환
Ⅵ. 나가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북한의 문맹퇴치지도위원회의 조직과 활동
- 1950년대 전반기 북한 ‘영예군인’의 활동과 사회주의 이행의 결합
- 唐代 ‘羈縻’와 ‘蕃’ 개념에 관한 西田祐子의 이해
- 『新唐書』 권8, 穆宗ㆍ敬宗ㆍ文宗ㆍ武宗本紀 역주
- 高熲과 隋의 政界
- 唐代 中後期 支郡刺史의 地位에 대한 試論 -節度ㆍ觀察使와 支郡刺史의 관계를 중심으로
- 일본 사회가 바라 본 근현대 한국과 동아시아 - 2024 일본 중학교과서 검정 결과를 살펴보고
- 18세기 山林 處士의 향촌 생활 지침서 『山林經濟』의 성격과 의의
- 14세기 고려불교와 白雲景閑
- 定順王后 思陵의 조성과 운영
- 2022 교육과정 『한국사』 교과서의 아시아태평양전쟁 ‘停滯’ 서술 실태와 원인
- 과장된 황해의 은자 - 신미양요와 맞물린 추산호 사건 언론 보도 -
- 斗子鼎 銘文의 史的 재구성
- 唐 玄宗代 高句麗 遺民 王毛仲의 浮上과 沒落
- 중일전쟁 시기 중국 국제 라디오방송과 항일선전
- 金昌業의 『老稼齋燕行日記』에 나타난 盤纏과 그 의미
- 2024년 검정 통과 일본 중학교 역사 교과서 속의 한국고대사
- 2024년 검정통과 일본 중학교 교과서의 독도 관련 서술 분석
- 1930년대 중후반 이후 조선총독부의 ‘佛法硏究會’ 인식과 통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