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斗子鼎 銘文의 史的 재구성
이용수 8
- 영문명
- Reconstructing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 Douzi Ding Inscription
- 발행기관
- 동국역사문화연구소
- 저자명
- 이유표
- 간행물 정보
- 『동국사학』제81집, 423~462쪽, 전체 4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7,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서주 초기의 청동기인 斗子鼎의 명문을 분석하여, 명문에 기록된 ‘大鿆’ 의례의 내용과 이 의례가 거행된 시공간을 재구성하고자 하였다. 기존 연구에서는 이 의례를 ‘岐陽之盟’과 연결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이를 재검토하여 ‘岐陽之盟’과 무관하다는 결론을 제시하였다. 대신 본 논문은 ‘大鿆’ 의례가 洛邑에서 개최된 국가적 전례였으며, ‘四方民大和會’와 ‘殷禮’와 같은 서주 초기의 주요 국가적 의례와 연관이 있다고 제안, 이를 통해 斗子鼎의 역사적 의미를 보다 명확히 밝히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ims to reconstruct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 ritual inscribed on the bronze vessel Douzi Ding (斗子鼎) from the early Western Zhou period. While previous studies have linked this ritual to the “Qiyang Alliance,” this paper reexamines such interpretations and concludes that the ritual is unrelated to the “Qiyang Alliance.” Instead, the study proposes that the “Great Purification” ritual was a state ceremony held at Luoyi, closely associated with major national rituals of the early Western Zhou period, such as the “Four Corners Grand Assembly” and the “Yin Rite.” This research seeks to clarify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Douzi Ding.
목차
Ⅰ. 머리말
Ⅱ. 斗子鼎 명문 고석
Ⅲ. 관련 자료 검토: 서주 시기의 殷禮
Ⅳ. 명문에 보여진 사건의 시공간
Ⅴ. 맺음말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북한의 문맹퇴치지도위원회의 조직과 활동
- 1950년대 전반기 북한 ‘영예군인’의 활동과 사회주의 이행의 결합
- 唐代 ‘羈縻’와 ‘蕃’ 개념에 관한 西田祐子의 이해
- 『新唐書』 권8, 穆宗ㆍ敬宗ㆍ文宗ㆍ武宗本紀 역주
- 高熲과 隋의 政界
- 唐代 中後期 支郡刺史의 地位에 대한 試論 -節度ㆍ觀察使와 支郡刺史의 관계를 중심으로
- 일본 사회가 바라 본 근현대 한국과 동아시아 - 2024 일본 중학교과서 검정 결과를 살펴보고
- 18세기 山林 處士의 향촌 생활 지침서 『山林經濟』의 성격과 의의
- 14세기 고려불교와 白雲景閑
- 定順王后 思陵의 조성과 운영
- 2022 교육과정 『한국사』 교과서의 아시아태평양전쟁 ‘停滯’ 서술 실태와 원인
- 과장된 황해의 은자 - 신미양요와 맞물린 추산호 사건 언론 보도 -
- 斗子鼎 銘文의 史的 재구성
- 唐 玄宗代 高句麗 遺民 王毛仲의 浮上과 沒落
- 중일전쟁 시기 중국 국제 라디오방송과 항일선전
- 金昌業의 『老稼齋燕行日記』에 나타난 盤纏과 그 의미
- 2024년 검정 통과 일본 중학교 역사 교과서 속의 한국고대사
- 2024년 검정통과 일본 중학교 교과서의 독도 관련 서술 분석
- 1930년대 중후반 이후 조선총독부의 ‘佛法硏究會’ 인식과 통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