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定順王后 思陵의 조성과 운영

이용수 8

영문명
The Construction and Administration of Queen Jeongsun’s Sareung
발행기관
동국역사문화연구소
저자명
김충현
간행물 정보
『동국사학』제81집, 147~176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옛 양주에는 많은 왕실 묘역이 조성되었다. 그 중 定順王后 思陵은 해주정씨 묘역에 조성된 독특한 왕릉이다. 端宗이 魯山君으로 강봉되어 강원도 영월에 유배된 후 서거했기 때문에 그 비였던 정순왕후 역시 魯山君婦人으로 강봉되었다. 출궁한 이후 淨業院에서 생활하다 생을 마감하였다. 노산군부인은 시누이 敬惠公主의 아들 鄭眉壽를 侍養子로 삼았다. 그 과정에서 자신 소유의 재산을 정미수에게 증여하였고, 정미수가 먼저 세상을 떠나자 그 아내인 전의이씨에게 상속하였다. 이러한 배경에서 노산군부인의 무덤은 해주정씨 묘역에 마련될 수 있었다. 노산군부인의 무덤은 임진왜란 이전까지 조정에서 예물을 보내 한식 때 제사를 지냈다. 그러나 임진왜란으로 정지되었고, 광해군 즉위 후 기일과 네 명절의 제사가 다시 복설되었다. 현종은 守墓軍과 祭田을 지급하면서 왕실 묘역으로 관리가 될 수 있도록 조치하기도 했다. 이는 이후 숙종이 노산군과 노산군부인을 복위하는데 영향을 주었다. 1698년(숙종 24) 노산군과 노산군부인이 각각 단종과 정순왕후로 추상이 이루어지자 그 무덤도 莊陵과 사릉으로 격을 높여 조성되었다. 장릉은 단독으로 조성되어 있었던 것에 비해 사릉은 해주정씨 묘역에 속했기 때문에 해주정씨 분묘들의 처분에 대한 논의가 있었다. 숙종은 해주정씨 묘역의 존치를 결정하면서 그 후손을 陵官으로 녹용하는 조치를 내렸다. 영조가 사릉으로 행행하기 앞서 鄭運熙는 思陵叅奉에 임명되었고, 능행 후 참봉에서 奉事가 되었다. 이 때 한시적으로 ‘令-奉事’로 운영되었는데 이는 다른 왕릉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사례이다. 이후 정조와 순조 등 후대 국왕 역시 사릉으로 행행을 할 때 정미수의 자손으로 능관을 임명하는 등 해주정씨가에 특혜를 주었다.

영문 초록

The tomb of Queen Jeongsun(定順王后), known as Sareung, is a unique royal tomb located in the cemetery of the Haeju Jeong clan(海 州鄭氏). After King Danjong(端宗) was demoted to Prince Nosan(魯山君) and exiled to Yeongwol in Gangwon Province, where he passed away, his queen, Jeongsun, was similarly demoted to the wife of Prince Nosan. After leaving the palace, she lived at Jeongyeowon(淨業院) until her death. The Lady of Prince Nosan(魯山君婦人) adopted Jeong Misu(鄭眉壽), the son of her sister-in-law, Princess Gyeonghye(敬惠公主), as her adopted son. During this process, she transferred her property to Jeong Misu, and upon his premature death, it was inherited by his wife, Lady Jeonui Yi(全義李氏). This background allowed the tomb of the Lady of Prince Nosan to be established in the Haeju Jeong clan cemetery. Until the Japanese invasions of Korea in 1592, the court sent offerings for rituals performed during Hansik(寒食) at the tomb of the Lady of Prince Nosan. However, these were discontinued due to the invasions. After King Gwanghaegun’s accession, the rituals were reinstated on the anniversary of her death and during four major festivals. King Hyeonjong(顯宗) provided guards and ritual lands for the tomb’s maintenance as a royal burial site, which later influenced King Sukjong(肅宗) in restoring the titles of Prince Nosan and his wife. In 1698, during the 24th year of King Sukjong’s reign, Prince Nosan and his wife were posthumously restored as King Danjong and Queen Jeongsun, respectively, and their tombs were designated as Jangneung(莊 陵) and Sareung(思陵). Since Sareung was part of the Haeju Jeong clan cemetery, discussions arose regarding the disposition of the clan’s burial grounds. King Sukjong decided to preserve the Haeju Jeong clan cemetery and appointed its descendants as tomb officials. Before King Yeongjo’s visit to Sareung, Jeong Yun-hui(鄭運熙) was appointed as a Sareung Cham-bong(叅奉, a tomb official), and after the royal visit, he was promoted to Bongsa(奉事, a tomb official). This temporary operation as ‘Ryung-Bongsa(令-奉事)’ was unprecedented among other royal tombs. Subsequently, future monarchs like King Jeongjo(正祖) and King Sunjo(純祖) continued to extend privileges to the Haeju Jeong clan by appointing descendants of Jeong Misu as tomb officials during their visits to Sareung.

목차

Ⅰ. 머리말
Ⅱ. 定順王后의 가계와 생애
Ⅲ. 定順王后의 복위와 왕릉 조영
Ⅳ. 思陵의 운영
Ⅴ.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충현. (2024).定順王后 思陵의 조성과 운영. 동국사학, (), 147-176

MLA

김충현. "定順王后 思陵의 조성과 운영." 동국사학, (2024): 147-17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