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金方慶(1212~1300)의 當代, 死後 후대 평가와 의미
이용수 0
- 영문명
- Kim Bang-gyeong(1212~1300)'s contemporary and posthumous evaluation and significance
- 발행기관
- 북악사학회
- 저자명
- 홍영의(Young-Eui Hong)
- 간행물 정보
- 『북악사론』제21집, 269~312쪽, 전체 4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1.30
8,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김방경은 1212년(강종 원) 태어나 1300년(충렬왕 26) 89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16세에 蔭敍로 관직에 나아가 72세에 사직할 때까지 56년 동안중앙과 지방의 여러 文·武職을 歷任하면서 左遷과 몇 차례의 讒訴와 誣告로인한 流配 생활 등 온갖 苦草를 겪었다. 그리고 몽골과의 전쟁과 三別抄 鎭 壓, 2차례의 日本征伐을 치루어 냈으며, 또 11차례나 원나라에 使⾂ 등의 일로 왕래하였다. 이는 이 시기 고려 관료와는 다른 삶이었다.
이렇게 무인집권기와 몽골침입, 그리고 원의 간섭기를 살아오면서 국가의安危를 책임져야 했던 김방경은 文官이자, 將帥로서 또한 國政을 책임지는宰相으로 國難을 이겨내기 위해 동분서주하며 전쟁터에 나가서는 名將帥가되고 朝庭에 들어와서는 名宰相이 될 수 있는 ‘出將⼊相’의 ‘文武兼全한 인물로 알려져 있다. 또한 武將으로 알려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학문에 뜻을 두었고, 儒學과 佛敎·⽼莊에 대한 이해, 그리고 周易과 兵法에 능했으며, 글씨와文章에도 남다른 솜씨를 보였다.
김방경은 파란만장한 戰亂의 시대였던 13세기 한 세기를 살며, 역사의 소용돌이 그 중심에 있었던 인물이다. 몽골과의 전란, 삼별초의 항전과 진압, 日本征伐 등 굵직한 대외관계와 관련된 事件의 중심에서 일관된 삶을 살았다. 그는 생애 89년의 삶 속에서 16세에 蔭敍로 관직에 나아가 72세에 사직할 때까지 56년 동안 중앙과 외방의 여러 文·武職을 역임하면서 고려왕조를위해 粉骨碎身하였다.
고려후기와 조선시대 그리고 근·현대를 거치면서 평가된 김방경의 論贊과함께 우리는 21세기 새로운 역사의식의 변화와 더불어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 원 세계제국의 壓制와 國難克服史의 관점에서 그의 삶을 바라보기 보다는 고려왕조의 유지와 민의 安危를 먼저 생각하고 處身한 그의 실천적 행동을 우리는 오늘날 ‘노블리스 오블리제(貴族은 의무를 진다)’인 ‘최고위 관료로서 의무’를 다한 인물로 보아야 하지 않을까 한다,
영문 초록
Kim Bang-gyeong was born in 1212 (the first year of King Gangjong’s reign) and died in 1300(the 26th year of King Chungnyeol’s reign) at the age of 89. He entered public service through hereditary appointment at the age of 16 and held various civil and military posts in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for 56 years until he resigned at the age of 72. He suffered all kinds of hardships, including demotion, several false accusations, and exile. He fought in the war with Mongolia, suppressed the Sambyeolcho, and went on two expeditions to Japan. He also traveled to the Yuan Dynasty as an envoy 11 times. This was a different life from that of Goryeo officials at the time. Kim Bang-gyeong, who had to take responsibility for the nation's security while living through the period of military rule, the Mongol invasion, and the period of Yuan intervention, was known as a “well-rounded man of both literature and martial arts” who was a civil servant, a general, and a prime minister in charge of state affairs, running around from east to west to overcome national crises, becoming a famous general on the battlefield and a famous prime minister in the court. Also, despite being known as a military general, he was interested in learning, and was skilled in Confucianism, Buddhism, Taoism, and the Book of Changes and military strategy. He also showed ex traordinary skills in calligraphy and writing. Kim Bang-gyeong lived during the turbulent 13th century, a century of war, and was a person who was at the center of the whirlpool of history. He lived a consistent life at the center of major events in foreign relations, such as the war with Mongolia, the resistance and suppression of the Sambyeolcho, and the conquest of Japan. Nevertheless, during his 89-year life, he served in various civil and military posts in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for 56 years from the time he entered office through hereditary appointment at the age of 16 until he resigned at the age of 72, and devoted himself to the Goryeo Dynasty. Along with the evaluation of Kim Bang-gyeong through the late Goryeo Dynasty, Joseon Dynasty, modern and contemporary times, how should we evaluate Kim Bang-gyeong in the new historical consciousness of the 21st century? Rather than looking at his lif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oppression of the Yuan Empire and the history of overcoming national crises, shouldn't we view his practical actions, in which he thought of the maintenance of the Goryeo Dynasty and the safety of the people first, as a person who fulfilled his 'duty as a high-ranking official', which is today's 'noblesse oblige (the noble have duties)'?
목차
Ⅰ. 머리말
Ⅱ. 김방경의 행적과 위상
Ⅲ. 김방경의 당대 평가
Ⅳ. 김방경 死後 후대 평가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북악사론 제21집 목차
- 金方慶(1212~1300)의 當代, 死後 후대 평가와 의미
- 드라마 「여명의 눈동자」에 투영된 강제동원 서사 - 사이판 섬 동원 묘사를 중심으로
- 1920년 전후 만주(滿洲)·연해도(沿海島) 지역 마적단의 활동과 성격 - 대중매체 속의 마적 활동과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신라 內省私臣 설치배경에 대한 새로운 시각 - 部體制와 葛文王制의 終焉과 관련하여
- 일본 영화 <후쿠다무라사건>을 통해 본 ‘간토(關東)대학살'
- 영화로 서사되는 임시정부와 의열투쟁 - 영화 <아나키스트>·<암살>을 중심으로
-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백제인식
- 9세기 전후 신라의 대당외교와 淮南藩鎭
- 원 사신 왕적옹(王積翁)의 五言詩를 통해 본 1284년 대일본 사행로 상에서의 전라도 해로의 중요성
- 백제의 대열과 전렵 의례 재검토
- 조선 후기 北漢山城 연구의 성과 검토와 제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