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1920년 전후 만주(滿洲)·연해도(沿海島) 지역 마적단의 활동과 성격 - 대중매체 속의 마적 활동과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Activities and Characteristics of bandits in Manchuria(滿洲) and Yeonhaedo(沿海島) around 1920
- 발행기관
- 북악사학회
- 저자명
- 오세호(Se-ho Oh)
- 간행물 정보
- 『북악사론』제21집, 5~42쪽, 전체 3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1.30
7,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1920년 ‘독립전쟁’ 시기를 전후하여 연해도 지역에서 활동한 마적 영화와드라마와 같은 대중매체뿐만 아니라, 문학 작품 등에서도 일제강점기부터 현재까지 주요 소재로 활용되었다. 이 과정에서 연해도 지역 마적단은 ‘금전적인 이득을 취하기 위해 산발적·개별적으로 활동하는 무법적 집단’의 이미지로 활용되었다. 이는 본 연구에서 주목한 드라마 「도적(刀嚁): 칼의소리」에등장하는 장기룡 마적단에서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1920년 ‘독립전쟁’ 시기 연해도 지역에서 무장독립운동을 전개한한인 참여자들의 평가와 같이 연해도 지역의 마적단은 정세 변화에 따라 일제와 정치적 관계를 맺고 통일된 군사 집단으로 활동하기도 했다.
1920년 전후 연해도 지역에서 활동한 마적단은 청일전쟁과 러일전쟁, 신해혁명, 만몽독립운동, 러시아 내전 등 연해도 지역의 정치적 사건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191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대규모 마적단으로 변모하기 시작했다. 이 과정에서 연해도 지역 일부 마적단은 러일전쟁 이후 만주지역에 진출한 일본인 마적단, 일제 시베리아 파견군 등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활동했다. 1920년 서간도 지역에서 한인 무장독립운동 세력을 공격한 장강호 마적단과제2차 훈춘사건을 주도한 고산 마적단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이러한 마적단의 활동은 1920년 ‘독립전쟁’ 시기 연해도 지역의 한국 무장독립운동과 한인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activities and political characteristics of the Manchuria and Yeonhaedo(沿海島)’s bandits in the area around 1920.
During the 1910-1920’s period, Manchuria and Yeonhaedo’s bandits has been used as a major material in literary works as well as in popular media such as movies and dramas since Japanese colonial era to the present day. In this process, bandits used as an image of ‘a lawless group that operates sporadically and individually to make monetary gains’. However, like the evaluation of Korean participants who participated independence movement in the Far east Russia around 1920, bandits formed political relations with the Japanese imperialism and acted as a united military group in response to change to changes in the situation.
The bandits, which was active in Manchuria around 1920, began to transform into a large-scale bandits in the 1910s, closely related to political events such as the Sino-Japanese War, the Russo-Japanese War, and the 1911 Revolution etc. In this process, some bandits in the Yeonhado region worked closely with Japanese bandits, and the military group of Japanese intervention in Siberia. The case of Jang Gang-ho’s bandits, which attacked Korean armed independence movement forces in the West Gando region in 1920, and Gosan badits, which led the second Hunchun incident. These activities of the bandits greatly influenced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and the Korean community in the Yeonhado area during the ‘Independence War in 1920’.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1910년대 ‘만몽분리운동(滿蒙分離運動)’과 만주지역 마적
Ⅲ. 1920년 전후 연해도(沿海島) 지역 마적단의 구성과 성격
Ⅳ. 고산(靠山) 마적단의 연해도 지역 활동과 성격
Ⅴ. 나가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북악사론 제21집 목차
- 金方慶(1212~1300)의 當代, 死後 후대 평가와 의미
- 드라마 「여명의 눈동자」에 투영된 강제동원 서사 - 사이판 섬 동원 묘사를 중심으로
- 1920년 전후 만주(滿洲)·연해도(沿海島) 지역 마적단의 활동과 성격 - 대중매체 속의 마적 활동과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신라 內省私臣 설치배경에 대한 새로운 시각 - 部體制와 葛文王制의 終焉과 관련하여
- 일본 영화 <후쿠다무라사건>을 통해 본 ‘간토(關東)대학살'
- 영화로 서사되는 임시정부와 의열투쟁 - 영화 <아나키스트>·<암살>을 중심으로
-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백제인식
- 9세기 전후 신라의 대당외교와 淮南藩鎭
- 원 사신 왕적옹(王積翁)의 五言詩를 통해 본 1284년 대일본 사행로 상에서의 전라도 해로의 중요성
- 백제의 대열과 전렵 의례 재검토
- 조선 후기 北漢山城 연구의 성과 검토와 제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