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원 사신 왕적옹(王積翁)의 五言詩를 통해 본 1284년 대일본 사행로 상에서의 전라도 해로의 중요성
이용수 3
- 영문명
- The Importance of the Jeolla Maritime Route in 1284 as Seen Through the Five-Character Poetry of Yuan Envoy Wang Jiweng
- 발행기관
- 북악사학회
- 저자명
- 신윤철(Yoon-chul Shin)
- 간행물 정보
- 『북악사론』제21집, 229~268쪽, 전체 4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1.30
7,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에서는 1284년 절강성 경원(慶元)에서 일본으로 향했던 원나라 사신왕적옹의 사행 관련 기록을 검토했다. 그의 오언시(五⾔詩)에 나타난 도양(道 陽)이라는 지명을 통해, 그가 제주도와 합포 지역뿐만 아니라 전라도 연해 지역을 거쳐 갔다는 것을 확인하고 이를 상세히 고찰하고자 했다. 이를 위하여, 먼저 그의 사행 관련 문헌을 확인하고, 다음으로 그가 한반도 사행 해로로한반도 연해를 선택한 배경 및 한반도와 제주도 간의 교통에서 전라도 연해지역의 활용 양상을 검토하며, 마지막으로 전근대 고흥반도 연안 지역 해로의 활용 양상을 분석했다.
왕적옹의 여러 사행 관련 기록 중에서 나타나는 고려의 지역 명칭은 “탐라(躭羅, 眈羅)”, “합포(合浦)”, “도양”이며, 이 세 지역의 명칭을 통해서 그가경원에서 출발하여 대마도에 이르기까지 거쳐 간 곳이 제주도-전라도-경상도 지역이며, 그가 전형적인 북로를 활용하였음을 유추했다.
고려 시기 전라도 해안은 한반도와 제주도 간의 주요 교통로로 활용되었고, 이는 당시 제주도를 지배하고 있던 원나라도 마찬가지였다. 제주도에 체류하던 다루가치는 나주와 해남 지역에 역참(站⾚)을 설치했고, 때때로 전라도 지역으로 나와 소요를 일으키기도 했다. 왕적옹이 제주도에 도착했을 때, 원래 탐라에 살던 고려인과 상주하던 원나라의 다루가치 모두 전라도와 제주도 간 항로에 익숙했으며, 일반적으로 고려시기 제주도에서 경상도로 이동할때 전라도 해안을 지나쳤기 때문에, 왕적옹도 제주도에서 합포로 이동할 때전라도를 거쳐 갔을 것이라 보았다.
또한, 고흥반도는 해남과 합포의 중간에 위치하며, 고흥반도의 도양 연해지역은 전근대에 주요 해로로 활용되었다. 비록 조선시대의 사례이기는 하지만, 충청도와 제주도에서 표류한 왜인들을 동래부로 이송하는 경로에는 녹도진이 설치된 고흥반도와 거금도 사이의 해로가 포함되어 있었다. 또한, 1970 년대까지 강진에서 옹기배를 운항하며 남해안을 항해한 신연호 사공의 항로에도 고흥반도와 거금도 사이의 해로가 포함되어 있었다. 요컨대, 전라도 해안 및 전라도 내 고흥반도의 도양지역은 전근대 주요 해로 중의 하나였으며, 왕적옹은 이러한 해로들을 활용하여 일본으로 건너가려 한 것이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the records related to the diplomatic mission of Wang Jiweng (王積翁), an envoy of the Yuan Dynasty, who headed to Japan from Qingyuan (慶元) in Zhejiang Province in 1284, are examined. Through the place name “Doyang”(道陽) mentioned in his five-character poetry (五⾔詩), it is confirmed that he passed through not only Jeju Island and Happo region but also the coastal areas of Jeolla Provinc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is in detail. To this end, the study first ex amines the literature related to his diplomatic missions. Subsequently, it investigates the background behind his selection of the Korean coastal route for travel to the peninsula and explores the patterns of utilizing the coastal regions of Jeolla Province in the context of transportation between the Korean Peninsula and Jeju Island. Finally, it analyzes the utilization of waterways in the coastal areas of the Goheung Peninsula during the premodern period.
Among the various records related to Wang Jiweng's diplomatic missions, the Goryeo regional names that appear are “Tamna” (躭羅, 眈羅), “Happo” (合 浦), and “Doyang”. Through these three regional names, it is inferred that the places he passed through from Qingyuan to Tsushima Island were Jeju Island, Jeolla Province, and Gyeongsang Province, indicating that he utilized the typical northern route.
During the Goryeo period, the coastal areas of Jeolla Province were used as a major transportation route between the Korean Peninsula and Jeju Island. This was also the case for the Yuan Dynasty, which had stationed Darughachis in Jeju Island. These Darughachis had established relay stations (站⾚) in areas such as Naju (羅州) and Haenam (海南), and sometimes ventured into Jeolla Province, causing disturbances. By the time Wang Jiweng arrived in Jeju Island, both the Goryeo people originally residing in Tamna and the Yuan Dynasty’s Darughachi stationed there were already well-acquainted with the maritime routes between Jeolla Province and Jeju Island. Given that, during the Goryeo period, travel from Jeju Island to Gyeongsang Province generally involved passing along the coast of Jeolla Province, it is presumed that Wang Jiweng also traveled via Jeolla Province when moving from Jeju Island to Happo.
Additionally, the area called Doyang in the Goheung Peninsula was used as a major official sea route and navigation route in pre-modern times. Although it is an example from the Joseon Dynasty, the route for transferring the drifting Japanese from Chungcheong Province and Jeju Island to Dongnae included the waterway between the Goheung Peninsula and Geogeumdo Island, where Nokdo garrison post (⿅島鎭) was established. Furthermore, in the 1970s, the same waterway was included in the route of Pottery boats operating from Gangjin, navigating the southern coast. In summary, the coastal areas of Jeolla Province and the Doyang area in the Goheung Peninsula were among the major navigation routes in pre-modern times. Wang Jiweng likely utilized these routes to travel to Japan.
목차
Ⅰ. 머리말
Ⅱ. 왕적옹의 대일 사행 문헌에 나온 한반도 지명 검토
Ⅲ. 왕적옹의 제주도·한반도 경유 원인과 환경
Ⅳ. 조선 시기 고흥반도 연안 해로 활용 양상
Ⅴ. 맺음말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북악사론 제21집 목차
- 金方慶(1212~1300)의 當代, 死後 후대 평가와 의미
- 드라마 「여명의 눈동자」에 투영된 강제동원 서사 - 사이판 섬 동원 묘사를 중심으로
- 1920년 전후 만주(滿洲)·연해도(沿海島) 지역 마적단의 활동과 성격 - 대중매체 속의 마적 활동과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신라 內省私臣 설치배경에 대한 새로운 시각 - 部體制와 葛文王制의 終焉과 관련하여
- 일본 영화 <후쿠다무라사건>을 통해 본 ‘간토(關東)대학살'
- 영화로 서사되는 임시정부와 의열투쟁 - 영화 <아나키스트>·<암살>을 중심으로
-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백제인식
- 9세기 전후 신라의 대당외교와 淮南藩鎭
- 원 사신 왕적옹(王積翁)의 五言詩를 통해 본 1284년 대일본 사행로 상에서의 전라도 해로의 중요성
- 백제의 대열과 전렵 의례 재검토
- 조선 후기 北漢山城 연구의 성과 검토와 제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