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기후변화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요구
이용수 58
- 영문명
- Perceptions and demand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climate chang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 저자명
- 조예진 신지연
- 간행물 정보
- 『한국유아교육연구』제25권 제4호, 450~477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기후변화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요구를 조사하여 유아기후변화교육 활성화를 위한 개선방안 및 유아기후변화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이루어졌다. 연구대상은 서울 및 경기지역 유아교사 356명이었으며 온라인으로 설문자료를 수집하였다. SPSS 25.0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여 자료를 분석했으며, ‘기후변화’의 정의를 묻는 주관식 문항은 질적분석을 통해 범주화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유아교사들은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으나 '기후변화' 개념에 대해서는 단편적인 ‘환경파괴 및 자연재해 현상’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교사의 98.8%가 유아기후변화교육이 필요하다고 하였으나 업무 부담과 교육준비시간의 부족으로 실천의 어려움이 있었다. 유아기후변화교육을 위해 우선 지원되어야 하는 것은 ‘유아 발달수준에 적합한 교수-학습 자료’ 및 ‘교사를 위한 구체적인 기후변화교육자료’의 개발 및 보급이었다. 셋째, 유아 기후변화 교육과정은 기후변화의 원인과 영향을 이해하고, 기후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며 적응해가는 실천적인 교육과정으로 요구하였다. 또한 과반수 이상의 교사가 기후변화 관련 연수경험이 없었으나, 약 80%의 교사가 추후 연수 참여 의사를 밝혔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유아기후변화교육과 교사연수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and requirements concerning climate chang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iming to inform improvements and the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climate change education programs. The research involved 356 early childhood teachers from Seoul and Gyeonggi regions, with data collected through online surveys and analyzed using SPSS 25.0. Qualitative analysis was applied to open-ended questions related to the definition of 'climate change.' Key findings include early childhood teachers demonstrating a robust awareness of climate change's gravity. However, they often perceive 'climate change' as primarily 'environmental destruction and natural disasters,' indicating a limited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Despite 98.8% recognizing the need for early childhood climate change education, the implementation is challenged by high workloads and inadequate preparation time. Vital requirements for effective implementation include the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materials suitable for young children's developmental stages and specific climate change educational resources for teachers. Teachers emphasize a proactive, practical educational approach that fosters understanding of climate change causes and impacts while promoting active responses and adaptation. Notably, even though over half of the teachers lacked prior climate change training, roughly 80% expressed intent to participate in future training. These findings lay the groundwork for discussions on early childhood climate change education and teacher training.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어린이’와 ‘아동기연구’에 대한 비판적 성찰 -어린이를/와 사유하는 교사를 향하여-
-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유아창의인성교육의 현재에 대한 전문가 인식 연구 -FGI를 중심으로-
- 공립 유치원 교사의 방과후 과정 운영 경험 탐구
- 공립유치원 교사의 2019 개정 누리과정 해석과 실천 경험 탐색
- ‘과보호 양육행동 학부모’와 함께 살아가는 영아교사의 삶 이야기
- 교사의 놀이성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에서 놀이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 교실 속에서 나타난 이야기나누기의 가치와 의미 탐색
- 아버지의 양육 행동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자기조절 능력의 매개효과-
- 영아의 생태친화적 오감놀이에 대한 의미 탐색
- 영유아교사의 놀이중심 과학교육에 대한 인식과 어려움
- 영유아권리존중 프로그램이 교사의 심리적 안녕감과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에 미치는 영향
- 영유아기 자녀를 둔 중국 유학생 아버지가 경험하는 자녀양육의 어려움과 보람
- 유아가 참여한 실외놀이터 재구성 과정에서의 경험 탐색
- 교사-학부모의 관계에 대한 어려움과 한계 -유아교사의 교사정체성 변화과정을 중심으로-
- 유아교사의 교사협력과 교사효능감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유아권리존중에 대한 중요도-실행도 분석
-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행동이 디지털 미디어 지도방식에 미치는 영향
- 유아기후변화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요구
- 지속가능발전지향 유아인성 증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영유아교사의 인식 및 요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