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교사의 유아권리존중에 대한 중요도-실행도 분석
이용수 41
- 영문명
- Analysis of the importance-performance discrepancy in early childhood teachers' respect for children's rights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 저자명
- 유정인
- 간행물 정보
- 『한국유아교육연구』제25권 제4호, 409~431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유아권리존중에 대한 중요도-실행도를 분석하고 향후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유아교사 176명을 대상으로 유아권리존중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대응표본 t검증을 통해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를 분석하였으며, IPA 방법을 통해 중요도-실행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중요도-실행도의 차이는 전체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IPA 분석 결과 1사분면(유지지속)에는 등원, 정리, 놀이, 의사존중, 정보제공 영역이 위치하였으며, 2사분면에 위치한 영역은 없었다. 3사분면(점진적 개선) 영역에는 소집단, 점심, 특별활동, 자율성 존중 영역이 위치하였으며, 4사분면(과잉투입)에는 기본욕구, 휴식, 개별성 존중 영역이 위치하였다.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 이루어지는 교육활동과 일상생활 속에서 유아권리존중을 실천하기 위해 개선해야 하는 내용을 제시하였으며, 유아교사가 유아의 권리존중을 실천하기 위해 고민하고 성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는데에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ortance-execution gap in the respect for children's rights by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o derive implications for future improvements.
To achieve this, a survey on the respect for children's rights was conducted with 176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for the disparity between importance and execution through paired sample t-tests, an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was employed. The research findings revealed the following: Firstly, there was a significant overall difference in the importance-execution gap. Secondly, the IPA analysis placed the areas of welfare, organization, play, self-esteem, and information provision in the first quadrant (maintain and enhance). There were no areas in the second quadrant. In the third quadrant (gradual improvement), the subgroups of subgrouping, lunch, special activities, and autonomy respect were situated. In the fourth quadrant (over-investment), the domains of basic needs, rest, and individuality respect were identified. This study provides insights into the areas that need improvement for practicing children's rights in educational activities and daily lif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offers Early childhood teachers opportunities to reflect and contemplate on how to actively uphold children's righ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어린이’와 ‘아동기연구’에 대한 비판적 성찰 -어린이를/와 사유하는 교사를 향하여-
-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유아창의인성교육의 현재에 대한 전문가 인식 연구 -FGI를 중심으로-
- 공립 유치원 교사의 방과후 과정 운영 경험 탐구
- 공립유치원 교사의 2019 개정 누리과정 해석과 실천 경험 탐색
- ‘과보호 양육행동 학부모’와 함께 살아가는 영아교사의 삶 이야기
- 교사의 놀이성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에서 놀이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 교실 속에서 나타난 이야기나누기의 가치와 의미 탐색
- 아버지의 양육 행동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자기조절 능력의 매개효과-
- 영아의 생태친화적 오감놀이에 대한 의미 탐색
- 영유아교사의 놀이중심 과학교육에 대한 인식과 어려움
- 영유아권리존중 프로그램이 교사의 심리적 안녕감과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에 미치는 영향
- 영유아기 자녀를 둔 중국 유학생 아버지가 경험하는 자녀양육의 어려움과 보람
- 유아가 참여한 실외놀이터 재구성 과정에서의 경험 탐색
- 교사-학부모의 관계에 대한 어려움과 한계 -유아교사의 교사정체성 변화과정을 중심으로-
- 유아교사의 교사협력과 교사효능감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유아권리존중에 대한 중요도-실행도 분석
-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행동이 디지털 미디어 지도방식에 미치는 영향
- 유아기후변화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요구
- 지속가능발전지향 유아인성 증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영유아교사의 인식 및 요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비교사의 가상현실(VR) 활용 교육 인식에 관한 연구
-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인공지능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분석과 개선 과제 탐색
- 대학 수업의 교수·학습 질 제고를 위한 강의평가 문항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