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유아창의인성교육의 현재에 대한 전문가 인식 연구 -FGI를 중심으로-
이용수 97
- 영문명
- A study on expert perception of the current status of early childhood creative character education i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Focusing on FGI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 저자명
- 윤정진 임홍남
- 간행물 정보
- 『한국유아교육연구』제25권 제4호, 29~67쪽, 전체 3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7,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유아창의인성교육의 현재에 대한 전문가의 인식을 살펴보기 위해 유아교육전문가 FGI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전문가 5명이며, FGI는 2023년 4월부터 8월까지 3회기에 걸쳐 진행되었다. 본 연구결과, 연구참여자들은 2019 개정 누리과정의 내용에 창의성과 인성의 중요성을 담고 있지만 분리되어 제시되고 있으며, 그 결과 교육현장에서도 분리되어 특성화하거나 실행되고 있지만, 유아교육 내에서는 창의성과 인성교육이 같은 방향을 바라보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특히 창의인성교육이 놀이 속에서 서로 엮이며 실행되는 경우가 많다는 점에서 전문가들은 2019 개정 누리과정이 유아창의인성교육을 실행하기에 보다 적합한 환경을 마련해주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아울러 전문가들은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유아창의인성교육이 실현될 수는 있지만 교사의 역량과 교육기관 및 기관장의 교육철학과 분위기에 의해 좌우되는 경향이 있다고 답하였다. 본 연구는 미래사회에 요구되는 역량이라고 할 수 있는 창의인성교육을 누리과정 내에서 어우러져 운영할 수 있는 접근을 모색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onducted an FGI stud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experts to examine experts' perceptions of the current status of early childhood creative character education i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The study participants were 5 experts, and FGI was conducted over 3 sessions from April to August 2023.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research participants said that although the content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contains the importance of creativity and character, they are presented separately, and as a result, they are also implemented separately in educational settings. However, experts recognized that creativity education and character education are being carried out in the same direction with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particular, given that creative character education is often intertwined and implemented in play, experts recognized that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provides a more suitable environment for implementing early childhood creative character education. In addition, experts responded that although early childhood creative character education can be realized based on the curriculum, it tends to be influenced by the teacher's capabilities and the educational philosophy and atmosphere of the educational institution and the head of the institu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ought an approach that could integrate and operate creative character education, which can be said to be a competency required for the future society, within the Nuri curriculum.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어린이’와 ‘아동기연구’에 대한 비판적 성찰 -어린이를/와 사유하는 교사를 향하여-
-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유아창의인성교육의 현재에 대한 전문가 인식 연구 -FGI를 중심으로-
- 공립 유치원 교사의 방과후 과정 운영 경험 탐구
- 공립유치원 교사의 2019 개정 누리과정 해석과 실천 경험 탐색
- ‘과보호 양육행동 학부모’와 함께 살아가는 영아교사의 삶 이야기
- 교사의 놀이성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에서 놀이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 교실 속에서 나타난 이야기나누기의 가치와 의미 탐색
- 아버지의 양육 행동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자기조절 능력의 매개효과-
- 영아의 생태친화적 오감놀이에 대한 의미 탐색
- 영유아교사의 놀이중심 과학교육에 대한 인식과 어려움
- 영유아권리존중 프로그램이 교사의 심리적 안녕감과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에 미치는 영향
- 영유아기 자녀를 둔 중국 유학생 아버지가 경험하는 자녀양육의 어려움과 보람
- 유아가 참여한 실외놀이터 재구성 과정에서의 경험 탐색
- 교사-학부모의 관계에 대한 어려움과 한계 -유아교사의 교사정체성 변화과정을 중심으로-
- 유아교사의 교사협력과 교사효능감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유아권리존중에 대한 중요도-실행도 분석
-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행동이 디지털 미디어 지도방식에 미치는 영향
- 유아기후변화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요구
- 지속가능발전지향 유아인성 증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영유아교사의 인식 및 요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비교사의 가상현실(VR) 활용 교육 인식에 관한 연구
-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인공지능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분석과 개선 과제 탐색
- 대학 수업의 교수·학습 질 제고를 위한 강의평가 문항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