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xploring public preschool teachers' experiences interpreting and implementing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 저자명
- 노다솜 김언경
- 간행물 정보
- 『한국유아교육연구』제25권 제4호, 91~125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7,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공립유치원 교사의 2019 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해석과 실천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 참여자는 공립유치원 교사 3명이며, 놀이시간을 중심으로 비참여 관찰, 면담, 기타 자료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로 첫째, 교사들은 2019 개정 누리과정의 중심 가치를 유아중심, 놀이중심에 두고 유아가 놀이에 주도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이 가치를 구현하고자 하였다.
둘째, 교사는 유아의 경험을 배움으로 연결시키기 위해 2019 개정 누리과정의 내용을 통해 해석하고 지원하였다. 이 해석의 틀은 교육과정의 내용뿐만 아니라 교사 자신의 교육관, 지식 등을 통해 교육과정 해석과실천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교사의 의도에 따른 환경과의 상호작용에서 유아의 선택과 결정을 존중하며 의미있는 경험으로 발현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교사와 유아가 함께 교육과정을 만들어가는과정이고, 교육적 의도를 더해 새로운 놀이 경험으로 나아갈 수 있는 과정이라고 보았다. 결과를 바탕으로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 제고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plore public preschool teachers' interpretations and practices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Three public preschool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non-participatory observation, interviews, and other sources, focusing on playtime. The findings of the study showed that, first, the teachers aimed to implement the central values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which are child-centered and play-centered, by supporting children to take the lead in play. Second, teachers interpreted and supported the content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to connect children's experiences to learning. The framework of this interpretation was not only the content of the curriculum, but also the teacher's own educational perspective and knowledge. Finally, it was seen that supporting children's choices and decisions in interaction with the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teacher's intention, respecting them and allowing them to be expressed as meaningful experiences, was a process of creating a curriculum together with the teacher and the children, and a process that could lead to new play experiences by adding educational intentions.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kindergarten teachers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어린이’와 ‘아동기연구’에 대한 비판적 성찰 -어린이를/와 사유하는 교사를 향하여-
-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유아창의인성교육의 현재에 대한 전문가 인식 연구 -FGI를 중심으로-
- 공립 유치원 교사의 방과후 과정 운영 경험 탐구
- 공립유치원 교사의 2019 개정 누리과정 해석과 실천 경험 탐색
- ‘과보호 양육행동 학부모’와 함께 살아가는 영아교사의 삶 이야기
- 교사의 놀이성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에서 놀이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 교실 속에서 나타난 이야기나누기의 가치와 의미 탐색
- 아버지의 양육 행동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자기조절 능력의 매개효과-
- 영아의 생태친화적 오감놀이에 대한 의미 탐색
- 영유아교사의 놀이중심 과학교육에 대한 인식과 어려움
- 영유아권리존중 프로그램이 교사의 심리적 안녕감과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에 미치는 영향
- 영유아기 자녀를 둔 중국 유학생 아버지가 경험하는 자녀양육의 어려움과 보람
- 유아가 참여한 실외놀이터 재구성 과정에서의 경험 탐색
- 교사-학부모의 관계에 대한 어려움과 한계 -유아교사의 교사정체성 변화과정을 중심으로-
- 유아교사의 교사협력과 교사효능감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유아권리존중에 대한 중요도-실행도 분석
-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행동이 디지털 미디어 지도방식에 미치는 영향
- 유아기후변화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요구
- 지속가능발전지향 유아인성 증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영유아교사의 인식 및 요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