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사-학부모의 관계에 대한 어려움과 한계 -유아교사의 교사정체성 변화과정을 중심으로-
이용수 80
- 영문명
- Difficulties and limitation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Focusing on the process of changing the teacher ident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 저자명
- 장연주 오아름
- 간행물 정보
- 『한국유아교육연구』제25권 제4호, 359~388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연구자이자 연구참여자인 ‘나’의 교사정체성 변화과정을 중심으로 교사-학부모의 관계에 대한 어려움과 한계를 다룬 자전적 내러티브이다. 본 연구를 통해 교사와 학부모 역할을 바탕으로 교사-학부모의 관계를 둘러싼 다양한 사건과 그 안에서 느꼈던 감정, 생각, 관점 등의 경험을 성찰하였다. 그 결과 ‘나로서 나인 나: 교사인 나’와 ‘너로서 나인 나: 교사이자 엄마인 나’의 두 범주가 도출되었다. 첫째, ‘나로서나인 나: 교사인 나’에서 연구자는 전문성을 가진 교사라는 역할에 몰입하여 교사 정체성을 형성하며 학부모와의 관계에서 갈등을 경험하였다. ‘유아교육 전문가? 그저 어린 교사’, ‘이론적으로도 감정적으로도 불편한 교사’는 갈등을 겪는 과정 속에서 연구자가 느낀 힘듦과 어려움을 여실히 보여준다. 둘째, ‘너로서 나인 나: 교사이자 엄마인 나’에서 연구자는 학부모가 되어 자녀의 교사와 관계를 맺으며 나 자신에 대한 반성적 성찰을 하게 되었다. ‘진심으로 공감하는 교사’와 ‘자녀의 교사를 보며 성장해가는 교사’로 나타난 성찰의 내용은 역할 변화를 통해 교사정체성 변화과정을 경험하며 교사-학부모의 관계를 성찰해보는 과정을 보여준다. 이를 통해서 교사의 직업인으로서의 삶과 더불어 교사 개인의 삶에 대한 조명을 통해 교사-학부모의 관계에 대한 어려움과 한계를 극복할 실마리를 찾아보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n autobiographical narrative that deals with the difficulties and limitation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focusing on the process of changing the teacher identity of 'I', a researcher and research participant. Through this study, based on the roles of teachers and parents, various events surround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and experiences such as emotions, thoughts, and perspectives felt in it were reflected. As a result, two categories were derived: 'I as me: I am a teacher' and 'I as you: I am a teacher and mother'.
First, in 'I as me: I am a teacher', the researcher immersed herself in the role of a teacher with expertise and formed a teacher identity, and struggled with the actions and words of parents. 'Early childhood education expert? Just a young teacher' and 'a teacher who is uncomfortable both theoretically and emotionally' clearly show the hard and difficulties. Second, in 'I as you: I am a teacher and mother', the researcher became a parent and began to reflect on herself by forming a relationship with the teacher of her child. The contents of the reflection that appeared as 'a teacher who sincerely sympathizes' and 'a teacher who grows while watching a teacher of a child' show the process of the teacher's identity changing through a role change and reflect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 and parents. Through this, we tried to find implications for this by examining the difficulties and limitation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목차
Ⅰ. 들어가기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나가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어린이’와 ‘아동기연구’에 대한 비판적 성찰 -어린이를/와 사유하는 교사를 향하여-
-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유아창의인성교육의 현재에 대한 전문가 인식 연구 -FGI를 중심으로-
- 공립 유치원 교사의 방과후 과정 운영 경험 탐구
- 공립유치원 교사의 2019 개정 누리과정 해석과 실천 경험 탐색
- ‘과보호 양육행동 학부모’와 함께 살아가는 영아교사의 삶 이야기
- 교사의 놀이성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에서 놀이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 교실 속에서 나타난 이야기나누기의 가치와 의미 탐색
- 아버지의 양육 행동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자기조절 능력의 매개효과-
- 영아의 생태친화적 오감놀이에 대한 의미 탐색
- 영유아교사의 놀이중심 과학교육에 대한 인식과 어려움
- 영유아권리존중 프로그램이 교사의 심리적 안녕감과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에 미치는 영향
- 영유아기 자녀를 둔 중국 유학생 아버지가 경험하는 자녀양육의 어려움과 보람
- 유아가 참여한 실외놀이터 재구성 과정에서의 경험 탐색
- 교사-학부모의 관계에 대한 어려움과 한계 -유아교사의 교사정체성 변화과정을 중심으로-
- 유아교사의 교사협력과 교사효능감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유아권리존중에 대한 중요도-실행도 분석
-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행동이 디지털 미디어 지도방식에 미치는 영향
- 유아기후변화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요구
- 지속가능발전지향 유아인성 증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영유아교사의 인식 및 요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비교사의 가상현실(VR) 활용 교육 인식에 관한 연구
-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인공지능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분석과 개선 과제 탐색
- 대학 수업의 교수·학습 질 제고를 위한 강의평가 문항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