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영유아교사의 놀이중심 과학교육에 대한 인식과 어려움
이용수 60
- 영문명
-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and difficulties of play-based science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 저자명
- 성영주 정혜인
- 간행물 정보
- 『한국유아교육연구』제25권 제4호, 254~278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놀이중심 과학교육에 대한 영유아교사의 인식과 실행의 어려움을 분석하여 과학교육의 시사점 및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A 지역의 직장어린이집 4곳에 재직 중인 담임교사 11명(영아반 교사 5명, 유아반 교사 6명)을 대상으로 약 4개월 동안 13회기에 걸쳐 교사학습공동체를 운영하였다. 연구자는 연구 참여 교사들로부터 과학활동 동영상, 과학교육자료, 보육일지, 저널 등을 수집하였으며 주제별 약호화(coding) 분석 방법을 적용하였다. 과학교육에 대한 영유아교사의 인식을 주제어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 ‘놀이중심 과학교육에 대한 이해’, ‘지식 전달을 목적으로 하는 과학교육’, 그리고‘어렵고 부담스러운 과학교육’으로 범주화하였다. 또한, ‘놀이중심 과학교육을 실행하면서 겪는 교사의 어려움’에는 ‘놀이 속에서 과학을 찾고 지원하는 것에 대한 어려움’, ‘교사의 심리적, 신체적 요인으로 인한 어려움’, 그리고 ‘기관장, 동료 교사 및 학부모와의 어려움’ 등의 하위 범주가 나타났다. 이는 과학교육에 대한 영유아교사의 인식을 이해하고 교사의 과학에 대한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the perceptions and challenges fac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regarding play-based science education and seeks to explore implications and strategies for enhancing science education. To achieve these goals, the study conducted a collaborative learning community with 11 teachers (5 for toddlers and 6 for kindergartners) working in 4 childcare centers in A City. The researchers collected scientific activity videos, educational materials, childcare records, teachers’ journals, and other data from the participating teachers. Using a thematic coding analysis method, the study categorized the perception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regarding science education into three main themes: 'Understanding play-based science education,' 'Science education with the goal of knowledge transmission,' and 'Challenges and difficulties in science education.' Furthermore,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were found to recognize difficulties in implementing play-based science education. These difficulties included challenges related to "Finding and supporting science within play," "Psychological and physical challenges faced by teachers," and "Challenges with principals, other teachers, and parent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its potential to serve as foundational material for understanding teachers' perceptions of science education and addressing the challenges they face in teaching scienc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어린이’와 ‘아동기연구’에 대한 비판적 성찰 -어린이를/와 사유하는 교사를 향하여-
-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유아창의인성교육의 현재에 대한 전문가 인식 연구 -FGI를 중심으로-
- 공립 유치원 교사의 방과후 과정 운영 경험 탐구
- 공립유치원 교사의 2019 개정 누리과정 해석과 실천 경험 탐색
- ‘과보호 양육행동 학부모’와 함께 살아가는 영아교사의 삶 이야기
- 교사의 놀이성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에서 놀이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 교실 속에서 나타난 이야기나누기의 가치와 의미 탐색
- 아버지의 양육 행동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자기조절 능력의 매개효과-
- 영아의 생태친화적 오감놀이에 대한 의미 탐색
- 영유아교사의 놀이중심 과학교육에 대한 인식과 어려움
- 영유아권리존중 프로그램이 교사의 심리적 안녕감과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에 미치는 영향
- 영유아기 자녀를 둔 중국 유학생 아버지가 경험하는 자녀양육의 어려움과 보람
- 유아가 참여한 실외놀이터 재구성 과정에서의 경험 탐색
- 교사-학부모의 관계에 대한 어려움과 한계 -유아교사의 교사정체성 변화과정을 중심으로-
- 유아교사의 교사협력과 교사효능감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유아권리존중에 대한 중요도-실행도 분석
-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행동이 디지털 미디어 지도방식에 미치는 영향
- 유아기후변화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요구
- 지속가능발전지향 유아인성 증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영유아교사의 인식 및 요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비교사의 가상현실(VR) 활용 교육 인식에 관한 연구
-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인공지능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분석과 개선 과제 탐색
- 대학 수업의 교수·학습 질 제고를 위한 강의평가 문항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