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사의 놀이성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에서 놀이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이용수 52
- 영문명
- The mediating effect of play teaching efficacy between teachers’ playfulness and teacher-child interactions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 저자명
- 최윤경 채진영
- 간행물 정보
- 『한국유아교육연구』제25권 제4호, 150~173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교사의 사회인구학적 배경 변인에 따른 놀이성, 놀이교수효능감,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수준의 차이와 교사의 놀이성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서 놀이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영유아교사 231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21.0 version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상관관계를 알아보았고 놀이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The PROCESS macro v.4.0 for SPSS를 활용하여 Hayes(2018)가 제시한 Model 4를 적용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인구학적 배경 변인중 교사의 연령에 따른 놀이성 수준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교사-영유아 상호작용과 놀이교수효능감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둘째, 놀이성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서 놀이교수효능감의 하위요인 중 놀이교수효능에 대한 신념이 완전매개하였으며, 또 다른 하위요인인 놀이교수결과에 대한 기대는 매개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는 2019 개정 누리과정과 제4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에서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이 주요하게 다루어짐에 따라 질 높은 상호작용을 위해 교사의 놀이성과 놀이교수효능감의 향상을 지원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differences in teachers' playfulness, play teaching efficacy, and teacher-child interactions based on sociodemographic background variables and to explore the mediating effect of play teaching 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playfulness and teacher-child interactions. To accomplish thi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231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in kindergarten and childcare centers from various region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version 21.0, including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and correlation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play teaching efficacy, Model 4 from the PROCESS macro v.4.0 for SPSS, as proposed by Hayes (2018), was employed for analysis. The study results revealed the following: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in playfulness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based on their age, while other variable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Second, beliefs in play teaching efficacy, a sub-factor of play teaching efficacy, fully mediated the influence of playfulness on teacher-child interactions, while expectations regarding play teaching outcomes did not mediate this relationship. These research findings emphasize the increasing importance of teacher-child interactions, particularly follow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revised 2019 early childhood curriculum and the 4th revision of childcare center standard curriculum.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support the enhancement of playfulness and play teaching efficacy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to improve teacher-child interaction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어린이’와 ‘아동기연구’에 대한 비판적 성찰 -어린이를/와 사유하는 교사를 향하여-
-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유아창의인성교육의 현재에 대한 전문가 인식 연구 -FGI를 중심으로-
- 공립 유치원 교사의 방과후 과정 운영 경험 탐구
- 공립유치원 교사의 2019 개정 누리과정 해석과 실천 경험 탐색
- ‘과보호 양육행동 학부모’와 함께 살아가는 영아교사의 삶 이야기
- 교사의 놀이성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에서 놀이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 교실 속에서 나타난 이야기나누기의 가치와 의미 탐색
- 아버지의 양육 행동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자기조절 능력의 매개효과-
- 영아의 생태친화적 오감놀이에 대한 의미 탐색
- 영유아교사의 놀이중심 과학교육에 대한 인식과 어려움
- 영유아권리존중 프로그램이 교사의 심리적 안녕감과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에 미치는 영향
- 영유아기 자녀를 둔 중국 유학생 아버지가 경험하는 자녀양육의 어려움과 보람
- 유아가 참여한 실외놀이터 재구성 과정에서의 경험 탐색
- 교사-학부모의 관계에 대한 어려움과 한계 -유아교사의 교사정체성 변화과정을 중심으로-
- 유아교사의 교사협력과 교사효능감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유아권리존중에 대한 중요도-실행도 분석
-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행동이 디지털 미디어 지도방식에 미치는 영향
- 유아기후변화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요구
- 지속가능발전지향 유아인성 증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영유아교사의 인식 및 요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비교사의 가상현실(VR) 활용 교육 인식에 관한 연구
-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인공지능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분석과 개선 과제 탐색
- 대학 수업의 교수·학습 질 제고를 위한 강의평가 문항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