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공립 유치원 교사의 방과후 과정 운영 경험 탐구
이용수 57
- 영문명
- Inquiry on after-school class operation experiences of public kinergarten teachers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 저자명
- 오아름 장연주
- 간행물 정보
- 『한국유아교육연구』제25권 제4호, 68~90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공립 유치원 교사의 방과후 과정 운영 경험을 살펴보고 내재 된 의미를 찾아내어 방과후과정 운영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유치원 방과후 과정 교사를 대상으로 2023년 4월부터 9월까지 내러티브 연구 방법을 실시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단설 공립유치원에 근무하는 교직 경력 10년 이상의 방과후 과정 운영 교사 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두 참여자의 내러티브에서 방과후과정 운영 경험을 전환, 균형, 발견의 세 가지 주제로 구성했다. 먼저 방과후 과정을 운영하며 과거의 교육과정교사에서 현재의 방과후 과정 교사로서 달라진 상황과 관계들의 간극을 인식하고 마주 서는 전환이 발견되었다. 둘째 방과후 과정 교사가 되어 유아들과 함께 호흡하고 생활하며 바라보게 된 돌봄과 교육 간의 균형을 마주하게 되었으며, 마지막으로 방과후 과정 운영의 가치를 발견하고 자신의 정체성을 찾아내며 성장하였다.
본 연구로 공립 유치원 교사의 방과후 과정 경험을 이해할 수 있었으며, 내실있는 방과후 과정 운영을 위한 교사 전문성 성장의 기초자료로서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quire the after-school class operation experience of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and to understand the meaning and context inherent in it. For this purpose, a narrative research method was conducted targeting kindergarten after-school program teachers from April to September 2023.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teachers who run after-school courses in public kindergartens with more than 10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In the two participant narratives, their experiences were organized into three themes: conversion, balance, and discovery. First, the transition from curriculum teacher to after-school teacher, second, the balance between caring and education, and finally, the discovery of finding the value of after-school courses were found. This study was able to understand the after-school experience of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and tried to find implications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teacher professionalism.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어린이’와 ‘아동기연구’에 대한 비판적 성찰 -어린이를/와 사유하는 교사를 향하여-
-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유아창의인성교육의 현재에 대한 전문가 인식 연구 -FGI를 중심으로-
- 공립 유치원 교사의 방과후 과정 운영 경험 탐구
- 공립유치원 교사의 2019 개정 누리과정 해석과 실천 경험 탐색
- ‘과보호 양육행동 학부모’와 함께 살아가는 영아교사의 삶 이야기
- 교사의 놀이성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에서 놀이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 교실 속에서 나타난 이야기나누기의 가치와 의미 탐색
- 아버지의 양육 행동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자기조절 능력의 매개효과-
- 영아의 생태친화적 오감놀이에 대한 의미 탐색
- 영유아교사의 놀이중심 과학교육에 대한 인식과 어려움
- 영유아권리존중 프로그램이 교사의 심리적 안녕감과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에 미치는 영향
- 영유아기 자녀를 둔 중국 유학생 아버지가 경험하는 자녀양육의 어려움과 보람
- 유아가 참여한 실외놀이터 재구성 과정에서의 경험 탐색
- 교사-학부모의 관계에 대한 어려움과 한계 -유아교사의 교사정체성 변화과정을 중심으로-
- 유아교사의 교사협력과 교사효능감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유아권리존중에 대한 중요도-실행도 분석
-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행동이 디지털 미디어 지도방식에 미치는 영향
- 유아기후변화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요구
- 지속가능발전지향 유아인성 증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영유아교사의 인식 및 요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비교사의 가상현실(VR) 활용 교육 인식에 관한 연구
-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인공지능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분석과 개선 과제 탐색
- 대학 수업의 교수·학습 질 제고를 위한 강의평가 문항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