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교사의 교사협력과 교사효능감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이용수 25
- 영문명
- The mediating effect of gri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cooperation and teacher effic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 저자명
- 이혜원 정재은
- 간행물 정보
- 『한국유아교육연구』제25권 제4호, 389~40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교사협력과 그릿을 선정하고, 교사협력과 교사효능감 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 역할을 확인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241명을 대상으로 ‘교사협력척도’, ‘교사효능감척도’, ‘Grit-O 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교사협력과 교사효능감 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교사의 교사협력, 교사효능감, 그릿 간의 상관관계에서 세 가지 변인 모두 서로 유의한 정적상관이 나타났으며, 유아교사의 교사협력과 교사효능감간의 관계에서 그릿은 부분매개효과가 있었다. 이는 교사협력이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며, 그릿이 추가되어 심리적 역량으로서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유아교사의 효능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동료교사와협력적인 관계를 통해 그릿 역량을 증진할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자율적으로 교사학습공동체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와 시간을 정책적으로 보장하는 등 다양한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lect teacher cooperation and grit as variables that affect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er efficacy and to confirm the mediating role of gri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cooperation and teacher efficacy.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using the ‘Teacher Cooperation Scale’, ‘Teacher Efficacy Scale’, and ‘Grit-O Scale’ targeting 241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4.0 program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gri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cooperation and teacher efficacy.
As a result of the study, in the correlation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er cooperation, teacher efficacy, and grit, all three variable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each other. In addition, grit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er cooperation and teacher efficacy. This means that teacher cooperation affects teacher efficacy, and grit can contribute to this as a psychological competency. In order to improve the effic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efforts are needed to enhance grit through cooperative relationships with fellow teachers. To this end, various suggestions are discussed, such as policy guaranteeing opportunities and time to autonomously participate in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어린이’와 ‘아동기연구’에 대한 비판적 성찰 -어린이를/와 사유하는 교사를 향하여-
-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유아창의인성교육의 현재에 대한 전문가 인식 연구 -FGI를 중심으로-
- 공립 유치원 교사의 방과후 과정 운영 경험 탐구
- 공립유치원 교사의 2019 개정 누리과정 해석과 실천 경험 탐색
- ‘과보호 양육행동 학부모’와 함께 살아가는 영아교사의 삶 이야기
- 교사의 놀이성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에서 놀이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 교실 속에서 나타난 이야기나누기의 가치와 의미 탐색
- 아버지의 양육 행동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자기조절 능력의 매개효과-
- 영아의 생태친화적 오감놀이에 대한 의미 탐색
- 영유아교사의 놀이중심 과학교육에 대한 인식과 어려움
- 영유아권리존중 프로그램이 교사의 심리적 안녕감과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에 미치는 영향
- 영유아기 자녀를 둔 중국 유학생 아버지가 경험하는 자녀양육의 어려움과 보람
- 유아가 참여한 실외놀이터 재구성 과정에서의 경험 탐색
- 교사-학부모의 관계에 대한 어려움과 한계 -유아교사의 교사정체성 변화과정을 중심으로-
- 유아교사의 교사협력과 교사효능감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유아권리존중에 대한 중요도-실행도 분석
-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행동이 디지털 미디어 지도방식에 미치는 영향
- 유아기후변화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요구
- 지속가능발전지향 유아인성 증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영유아교사의 인식 및 요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비교사의 가상현실(VR) 활용 교육 인식에 관한 연구
-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인공지능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분석과 개선 과제 탐색
- 대학 수업의 교수·학습 질 제고를 위한 강의평가 문항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