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영아의 생태친화적 오감놀이에 대한 의미 탐색
이용수 106
- 영문명
- Exploring the meaning of eco-friendly five senses play in infants and toddlers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 저자명
- 권장희 구수연
- 간행물 정보
- 『한국유아교육연구』제25권 제4호, 222~253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어린이집의 시설과 자연환경 등 생태친화보육을 실천할 여건이 조성되지 못한 어린이집을 위한 대안적인 생태친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함에 따라 생태친화적 오감놀이를 적용한 사례를 문화기술지적방법으로 탐색하여 알아보았다. 연구를 통해 생태친화보육의 가능성을 살펴보고, 영아의 생태친화 보육을활성화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를 위해 가정어린이집의 0세에서 2세까지의 영아를 대상으로 생태친화적오감놀이를 진행하고 참여관찰하였다. 생태친화적 오감놀이 전개는 1단계 주제물과 친해지기, 2단계 주도적 통합놀이, 3단계 연계 및 확장 놀이하기로 진행되었고 순환하여 전개되었다. 연구결과는 어린이집 일과에서 영아의 생태친화적 오감놀이가 영아에게 갖는 의미와 교사에게 갖는 의미로 도출되었다.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태친화적 오감놀이가 영아에게 갖는 의미는 교사와 또래의 놀이 모방, 더 다양한 상호작용의 기회, 이전경험과 현재 경험을 연결하기, 특정 사물에 대한 개념의 확대, 예술적 경험으로 정리되었다. 둘째, 생태친화 놀이가 교사에게 갖는 의미는 영아와 함께 배우기, 영아의 놀이 친구 되기, 영아의 경험을 공유하는 존재 되기, 경험의 재인을 통한 학습 기회 제공, 놀이 중심 표준보육과정 내용의 자연스러운 통합 기회로 정리되었다. 이로써 주거지역의 어린이집에서도 생태친화적 오감놀이의 구성하여 생태친화적 보육을 운영할 수 있으며, 소규모 가정어린이집이나 영아전담 어린이집에서 자연물을 교실에 비치하여 오감을 충분히 활용한 상호작용과 놀이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to develop alternative eco-friendly programs for daycare centers that do not have the conditions to practice eco-friendly childcare, such as daycare facilities and natural environments applying eco-friendly five sense play using an ethnography study. For this study, eco-friendly five-sensory play was conducted for infants aged 0 to 2 years old at a home-based daycare center, and participant observation was conducted. The development of eco-friendly five senses play was carried out in the first stage of becoming familiar with the subject matter, the second stage of leading integrated play, and the third stage of connection and expansion play, and was developed in a circular manner. The research results were derived from the meaning that infants' eco-friendly five-sensory play has on the infants and teachers in the daily routine of the daycare center.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eaning of eco-friendly five-sensory play for infants was summarized as imitating the play of teachers and peers, opportunities for more interactions, connecting previous and current experiences, expanding the concept of specific objects, and artistic experience. Second, the meaning of eco-friendly play to teachers is learning together with infants, becoming a playmate for infants, being a person who shares infants' experiences, providing learning opportunities through recognition of experiences, and opportunities for natural integration of the contents of the play-centered Standard Child Care Curriculum.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is daycare centers in residential areas and small home daycare centers can provide opportunities for interaction and play that fully utilizes the five senses by providing natural objects in the classroom.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어린이’와 ‘아동기연구’에 대한 비판적 성찰 -어린이를/와 사유하는 교사를 향하여-
-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유아창의인성교육의 현재에 대한 전문가 인식 연구 -FGI를 중심으로-
- 공립 유치원 교사의 방과후 과정 운영 경험 탐구
- 공립유치원 교사의 2019 개정 누리과정 해석과 실천 경험 탐색
- ‘과보호 양육행동 학부모’와 함께 살아가는 영아교사의 삶 이야기
- 교사의 놀이성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에서 놀이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 교실 속에서 나타난 이야기나누기의 가치와 의미 탐색
- 아버지의 양육 행동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자기조절 능력의 매개효과-
- 영아의 생태친화적 오감놀이에 대한 의미 탐색
- 영유아교사의 놀이중심 과학교육에 대한 인식과 어려움
- 영유아권리존중 프로그램이 교사의 심리적 안녕감과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에 미치는 영향
- 영유아기 자녀를 둔 중국 유학생 아버지가 경험하는 자녀양육의 어려움과 보람
- 유아가 참여한 실외놀이터 재구성 과정에서의 경험 탐색
- 교사-학부모의 관계에 대한 어려움과 한계 -유아교사의 교사정체성 변화과정을 중심으로-
- 유아교사의 교사협력과 교사효능감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유아권리존중에 대한 중요도-실행도 분석
-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행동이 디지털 미디어 지도방식에 미치는 영향
- 유아기후변화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요구
- 지속가능발전지향 유아인성 증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영유아교사의 인식 및 요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비교사의 가상현실(VR) 활용 교육 인식에 관한 연구
-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인공지능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분석과 개선 과제 탐색
- 대학 수업의 교수·학습 질 제고를 위한 강의평가 문항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